다계통 위축증 연합 (MSA Coalition) 에서 다계통 위축증 향후 치료제 개발 목록을 보면 이중에서 ATH434 의 치료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있습니다
임상 Phase 1 은 끝났습니다
2022 년도 초기에 Phase 2 들어간답니다
참고로 다계통 연합에서도 닐로티닙은 부정적으로 보고 있으며 향후 계획은 없는 것으로 보고 있는 거 같네요
ATH 회사 광고 ㅡ 뉴질랜드
https://alteritytherapeutics.com/pipeline/
다계통 위축증 치료제 개발 현황 (부분발췌)
다계통 위축 연합(Multiple System Atrophy Coalition)은 현재 MSA에 대해 개발 중인 30개 이상의 잠재적 치료법 목록을 작성했습니다. 아래 그래픽을 통해 약물 개발 과정 에서 얼마나 진행되고 있는지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 . 보다 자세한 정보를 찾는 데 도움이 되도록 목록을 임상 시험 및 실험실 연구로 나누었습니다. 아래 링크를 탐색하여 자세히 알아보세요.
2021년 11월 8일: Lundbeck은 다계통 위축증의 잠재적인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2상 연구 시작
2021년 10월 26일: Teva와 MODAG, 신경퇴행성 질환 약물 후보에 대한 라이선스 협력 발표
2021년 10월 19일: Alterity Therapeutics, 확장된 ATH434 2상 임상 개발 프로그램 발표
2021년 10월 15일: 화합물 ATH434는 다계통 위축의 쥐 모델에서 알파-시누클레인 독성을 예방합니다
2021년 9월 29일: Florey 신경 과학 및 정신 건강 연구소에서 The Multiple System Atrophy Coalition의 자금 지원을 받은 연구 발표
2021년 9월 29일: Lupine, 미국에서 Droxidopa 캡슐 출시
2021년 9월 27일: Biohaven, 임상 3상 및 다계통 위축(MSA) 프로그램에 대한 업데이트 제공
2021년 9월 23일: Inhibikase Therapeutics, 다계통 위축증 치료를 위한 IkT-148009 평가를 위해 미국 국립 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2021년 9월 22일: ICBII,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기타 신경퇴행성 질환에 대한 약물에 대한 임상 시험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혈액뇌장벽 투과성 기술에 대한 7번째 특허 승인 발표
첫댓글 우리나라가 치매안심국가로 지정이 되어 치매질환은 날로 날로 환경이 조성되어지고 있어요..그것에 비해 파킨슨병 특히나 증훈군은 더 찬밥신세로 몰락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요양 등급, 장애 등급이 예전보다 엄격해졌습니다
치매도 힘들지만 더 힘든 병이 많은데
장애등급 가진분들 불평이 많은걸로 압니다
타시그나에 실망하지 마시고 운동 열심히 하며 기다려 봐요
자료 감사합니다..다계통위축증 환우들에게 희망이 생기기를 기도합니다.
치매는 보호자가 힘들고 장애는 환자 본인 (그리고 보호자도) 힘들어요
희망적인 소식이 있으면 올릴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