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麗史99卷-列傳12-林民庇-000
林民庇 임민비
#高麗史99卷-列傳12-林民庇-001
○林民庇字德明甫州人少沈訥以門蔭
임민비의 자는 덕명(德明)이며 보주(甫州) 사람으로서 어려서부터 말이 극히 적었다.
補禮部主事
그는 음사로 예부 주사(禮部主事)에 임명되었다.
毅宗朝擢第出守溟州浚渠漑田以廉勤稱
의종 때에 명주(溟州) 원으로 있으면서 보도랑을 쳐서 밭에 물을 관개하게 하였으며 청렴하고 근실하였으므로 칭송을 받았다.
入爲*大常府錄事孤立無援九歲
그러다가 태상부 녹사(太常府 錄事)로 임명되어 중앙으로 들어왔으나 원조하여 주는 사람도 없이 외롭게 9년간을 지냈다.
乃遷四門博士轉閣門祗候及倅晉州有惠政.
그러다가 사문박사(四門博士)로 승직되어 합문지후(閤門祗候)로 전임되었다가 진주(晋州) 원으로 나갔는데 백성에게 혜택을 끼치는 정사를 하였다.
明宗召拜右正言累遷諫議大夫國子祭酒拜樞密院承宣箴諫出納多所稱旨王恨相知之晩
명종이 그를 소환하여 우정언(右正言)으로 삼고 여러 번 승진하여 간의대부 국자제주(諫議大夫國子祭酒)로 되었다가 추밀원 승선(樞密院承宣)으로 임명되었는데 그가 바른 말로 간하고 또 왕의 명령을 출납함에 있어서 많은 경우에 왕의 의도를 잘 체득하였으므로 왕이 그와 늦게 상봉한 것을 한하게까지 되었다.
陞知奏事. 有李居正者少與民庇同學無他才能
지주사(知奏事)로 승진되었는데 그때 이거정(李居正)이란 사람이 있었다. 이거정은 젊어서부터 임민비의 동창이었고 별다른 재능은 없었다.
王欲授正言問民庇曰:
왕이 이거정을 정언(正言)으로 임명하려고 임민비에게 묻기를
"居正何如人
“이거정(李居正)은 어떤 인물인가?
能沈默不臧否人物者乎?"
그가 능히 말이 없고 남의 흉을 끄집어 내지 않는 그런 사람이겠는가?”라고 하였다.
對曰: "居正性和平且訥默非耿介者也."
임민비가 대답하기를“이거정은 성질이 부드럽고 또 말이 적으며 쾌활한 편은 아닙니다.”라고 하니
王曰: "若爾宣爲正言." 乃授之
“그렇다면 정언(正言)으로 삼을 수 있다”라고 하고 드디어 이거정을 정언으로 임명하였다.
民庇後爲樞密使御史大夫性佞佛常寫佛經.
임민비는 후에 추밀사 어사대부(樞密使御史大夫)로 되었는데 그는 불교를 신앙하여 일상 불경을 필사하는 공부를 하였다.
#高麗史99卷-列傳12-林民庇-002
有僧日嚴在全州自謂能使眇者復視死者復生
당시 일엄(日嚴)이란 승려가 전주(全州)에 있었는데 스스로 선전하기를 눈 먼 사람을 뜨게 하고 죽은 사람을 다시 살릴 수 있다고 하였다.
王遣內侍琴克儀迎之
그래서 왕이 내시 금극의(琴克儀)를 보내 영접하여 오게 하였다.
在道冒綵*氎巾乘駁馬以綾扇障其面徒衆遮擁人不得正視
서울로 오는 도중에 그는 머리에 채색한 첩건(면사로 짠 두건)을 쓰고 얼룩말을 탔으며 비단 부채로 얼굴을 가리고 제자 중(僧)들이 전후좌우로 옹위하여서 일반 사람들은 그를 바로 볼 수도 없게 하였다.
來寓普賢院都人無貴賤老幼奔走謁見里巷一空
보현원(普賢院)에 숙소를 정하였는데 서울 사람들로서 귀한 사람, 천한 사람, 노인, 어린아이들을 물론하고 모두 달아 가서 일엄을 보려 하므로 동네가 텅 비었다.
凡盲聾躄啞有廢疾者狼*籍{藉}於前僧
무릇 장님, 귀머거리, 벙어리, 절름발이 등 여러 가지 병신이 그의 앞으로 밀려 들어왔다.
以扇揮之迎入天壽寺居南門樓上宰輔大臣亦趍謁士女競布髮以籍僧足.
일엄이 부채로 지휘하여 불구자들을 천수사(天壽寺)로 맞아 들여 놓고 자기는 그 절 남문 문루 위에 올라가서 앉으니 재상과 대신들도 그 앞에 공손히 뵈었으며 사대부의 부녀들은 다투어 가며 머리털을 풀어 놓고 중의 발로 자기 머리털을 밟기를 원하였다
僧令唱阿彌陁佛聲聞十里
일엄이 그들에게 아미타불을 부르게 하니 그 소리가 십 리 밖에까지 들렸다.
其盥漱沐浴之水苟得涓滴貴如千金無不掬飮稱爲法水能理百病
그리고 일엄의 세수한 물, 양치한 물, 목욕한 물을 한 방울만 얻어도 천 금이나 얻은 듯이 귀중히 여기고 마시지 않는 자가 없었으며 이것을 법수(法水)라고 하면서 이 물을 마시면 무슨 병이든지 고쳐지는 약수라고 하였다.
男女晝夜雜處醜聲播聞祝髮爲徒不可勝數
그래서 남자와 여성들이 밤낮으로 한 곳에서 섞여 있었으므로 추잡한 소문도 전파되었으며 머리를 깎고 일엄의 제자로 된 자도 그 수효를 헤아릴 수 없었다.
時無一人諫止者
그런데 그때 어느 한 사람도 이 일에 대하여 왕에게 간언을 하여 제지시키려는 자가 없었다.
明宗漸驗僧詐放還其鄕.
명종이 점차 일엄의 거짓을 징험하여 깨닫고서 그 중을 고향으로 돌려 보냈다.
初僧誑人曰:
일엄이 당초 사람을 속일 때에 말하기를
"萬法唯一心汝
“만 가지의 법(法)은 오직 마음 하나에 달렸다.
若勤念佛曰: '我病已愈.' 則病隨而愈愼勿言疾之不愈."
네가 만일 염불을 부지런히 하면서 내 병은 이미 완치되었다고 생각하면 병은 즉시 저절로 완치될 것이니 아예 병이 완치되지 않았다고 말해서는 안 된다.”라고 하였다.
於是盲者言已視聾者亦言已聞
그리하여 장님은 눈이 벌써 보인다고 말하였으며 귀머거리도 말이 들린다고 거짓말을 하였다.
以故人易惑.
이 까닭에 사람들이 모두 어울리게 되었다.
中書侍郞文克謙以微服致禮民庇亦拜於樓下.
그리하여 중서 시랑 문극겸도 사복을 입고 찾아가서 예를 드리었고 임민비도 문루(門樓) 아래에서 배례하였다.
#高麗史99卷-列傳12-林民庇-003
十八年參知政事進中書平章事
임민비는 18년에 참지정사(參知政事)로서 평장사(平章事)에 올랐다.
有池得琴者代民庇爲*大常錄事得琴尙在*大常民庇已爲平章世誇其遷擢之速.
지득금(池得琴)이란 자가 임민비의 후임으로 태상 녹사로 임명되었는데 지득금이 아직 그 자리에 있을 때 임민비는 벌써 평장사로 등용되었으므로 사람들이 그의 승진과 등용이 빠른 것을 부러워하였다.
民庇爲相挺然有古風三掌貢擧得人尤多
임민비는 상(相)으로 되어 특출하게 옛날 재상의 품도를 가졌으며 세 번이나 공거(貢擧)를 장악하여 인재를 가장 많이 얻었다.
好善周急確實無華故武夫悍卒亦知景仰.
그는 남의 급한 사정을 잘 돌봐 주고 착한 일을 좋아하였으며 일에 실속이 있고 겉치레를 하지 않았으므로 무관이나 사나운 병사들까지도 그를 우러러볼 줄 알았다.
年七十三上表乞骸特授守司空中書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致仕
나이 73세 때에 왕에게 글을 올려 은퇴할 것을 청하니 왕이 특별히 수 사공 중서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守司空中書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로 올려 주고 치사케 하였다.
二十三年卒謚文靖無子.
23년(1193년)에 죽으니 문정(文靖)이란 시호를 주었으며 아들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