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을숙도 생태공원 입구
오전에 동백섬을 일주하고 2호선 전철로 동백역에서 서면역으로 와서 1호선으로 환승하여 하단역으로 갔다. 오후에는 을숙도를 탐방하기로 했다. 먼저 하단역 근처에서 맛있는 두부정식으로 중식을 했다. 골고루 풍성한 식단으로 차려준 밥상에 감사했다. 하단역에서 버스로 한 정거장을 가니 을숙도다. 낙동강 하구둑을 건너온 것이다. 을숙도는 매우 방대하여서 오늘은 내륙 쪽의 일부만 보기로 했다. 을숙도 생태공원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을숙도 조각공원도 있다. 조금 더 걸어가니 을숙도에 대한 자세한 안내도가 있어 살펴 보았다. 을숙도 공원은 하단 지역과 명지 지역을 잇는 다리를 기준으로 하단부의 을숙도 철새공원과 상단부의 을숙도 생태공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을숙도 철새공원은 문화재보호구역(천연기념물 제179호-낙동강하류철새도래지)내 을숙도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과거 을숙도는 경작지, 분뇨처리장, 쓰레기매립장, 준설토적치장 등으로 이용되던 곳이다. 1999년 을숙도생태공원조성기본계획을 통해 3단계에 걸쳐 을숙도 습지복원사업을 진행하였다. 그 공사를 2005년에 완료하고, 2009년에는 일부 습지의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습지확대개선사업이 추진되어 현재 습지모습이 완성되었다. 을숙도 철새공원은 낙동강하구 철새도래지와 낙동강하구 생태관광의 중심지역의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복원된 습지에는 겨울철 많은 철새가 찾아와 장관을 이룬다. 낙동강하구 에코센터에서는 낙동강하구의 다양한 정보와 하구를 터전으로 살아가는 식물, 저서생물, 어류, 조류, 포유류 등에 대한 전시와 해설을 들을 수 있다. 에코센터에 속해있는 야생동물치료센터는 부상당한 야생동물을 구조, 치료, 재활하는 곳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낙동강하구 탐방체험장에서는 다양한 교육체험활동을 통해 낙동강하구와 생태계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다. 을숙도 생태공원은 을숙도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공원이다. 1983년 낙동강 하구둑 조성사업을 위해 일부 구역이 문화재보호구역에서 해제되어 주차장, 광장, 체육시설, 건물 등 편의시설이 들어섰다. 을숙도 생태공원의 조성은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2009년~2012년 공사하던 중 수자원공사의 낙동강준설토 적치장으로 이용되던 을숙도 상단부를 생태공원으로 조성하였다. 생태 호수, 양서류 서식지, 나루 데크, 중앙 광장 등을 구비하고 있다. 우리 부부가 오늘 가고자 하는 곳은 상단부의 을숙도 생태공원이다. 꼭 와 보고 싶었던 을숙도였는데 오늘 그 소망이 이루어진 것에 대하여 매우 기쁘고 흐뭇하다. 다음에는 을숙도 하단의 을숙도 철새공원을 꼭 볼 것이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10C3A5DEC59322D)
![](https://t1.daumcdn.net/cfile/cafe/9946223A5DEC59352E)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1C33A5DEC59382D)
![](https://t1.daumcdn.net/cfile/cafe/9945AB3A5DEC593A2E)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17D3A5DEC593D2D)
![](https://t1.daumcdn.net/cfile/cafe/9946A83A5DEC593F2E)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0923A5DEC59DD2E)
![](https://t1.daumcdn.net/cfile/cafe/9944B93A5DEC59E02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