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창(大倉)-정몽주(鄭夢周)
幽人夜不寐(유인야불매) :
은자가 이 밤에 잠 못 이루니
秋氣颯以涼(추기삽이량) :
가을 바람 소리는 싸늘하구나.
曉來眄庭樹(효래면정수) :
새벽 뜨락의 나무 골똘히 바라보니
枝葉半已黃(지엽반이황) :
가지와 잎이 벌써 반은 누렇도다
白雲從東來(백운종동래) :
흰 구름이 동에서 오려니
悠然思故鄕(유연사고향) :
아득한 고향 땅 그리워진다
故鄕萬餘里(고향만여리) :
고향은 만리밖인데
思歸不可得(사귀불가득) :
그리워 가고파도 그리 못하고
手把古人書(수파고인서) :
옛 사람의 책을 손에 들고서
憂來聊自讀(우래료자독) :
근심스레 홀로 읽는다.
憂來縈中腸(우래영중장) :
수심이 몰려와 창자에 얽히니
廢書長嘆息(폐서장탄식) :
책을 덮고 길게 탄식한다
人生百歲內(인생백세내) :
인생은 백년을 못 넘기니
光景如過隙(광경여과극) :
섬광처럼 스쳐 가리라
胡爲不自安(호위불자안) :
어이해 홀로 편치 못하고
而作遠遊客(이작원유객) :
멀리 떠도는 나그네가 되었는가
사미인사(思美人辭)-정몽주(鄭夢周)
그리운 사람을 부르는 노래
思美人兮如玊(사미인혜여숙) :
옥 같은 님을 그려봅니다
隔蒼海兮共明月(격창해혜공명월) :
푸른 바다 사이에 두고 밝은 달을 함께 봅니다
顧茫茫兮九州(고망망혜구주) :
망망한 중원 대륙을 바라보노라니
豺狼當道兮龍野戰(시랑당도혜룡야전) :
늑대는 길을 막고 용이 들에서 싸웁니다.
紲余馬兮扶桑(설여마혜부상) :
내 말을 동쪽 바다에 매어두었나니
悵何時兮與遊讌(창하시혜여유연) :
슬프도다, 언제 더불어 잔치에 노닐까
進以憹兮退以義(진이뇌혜퇴이의) :
그대는 괴로움으로 나아가며 의로써 물러나니
搢紳笏兮戴華簮(진신홀혜대화簮) :
신과 홀에 화잠을 꽂았었지요.
願一見兮道余意(원일견혜도여의) :
한 번 만나 내 뜻을 전하고 싶어도
君何爲兮江之南(군하위혜강지남) :
님께선 어이 강남에만 있는가요
강남류(江南柳)-정몽주(鄭夢周)
강남 버들
江南柳江南柳(강남류강남류) :
강남 버들아, 강남 버들아
春風裊裊黃金絲(춘풍뇨뇨황금사) :
봄바람에 하늘거리며 황금 실 늘어진다.
江南柳色年年好(강남류색년년호) :
강남의 버들빛은 해마다 좋으련만
江南行客歸何時(강남행객귀하시) :
강남의 나그네는 언제나 돌아가리
蒼海茫茫萬丈波(창해망망만장파) :
망망한 푸른 바다에 만 길 물결 높이 일어
家山遠在天之涯(가산원재천지애) :
고향 산은 멀리 하늘 끝에 닿은 곳이어라.
天涯之人日夜望歸舟(천애지인일야망귀주) :
하늘 끝의 아내는, 돌아올 배 밤낮으로 바라보며
坐對落花空長嘆(좌대락화공장탄) :
앉아 낙화를 보며 길이 탄식하리라.
但識相思苦(단식상사고) :
서로 보고 싶은 그리움에 고통스러워도
肯識此間行路難(긍식차간행로난) :
이곳의 행로난도 기꺼이 알리.
人生莫作遠遊客(인생막작원유객) :
사람들아, 부디 먼 길 나그네 되지 말라
少年兩鬢如雪白(소년량빈여설백) :
소년의 두 귀밑머리 눈처럼 희어졌네.
영주고우(永州故友)-정몽주(鄭夢周)
영주 옛친구
霧冷驚秋夕(무냉경추석) :
안개 차가워져 추석에 놀라
雲飛戀故丘(운비련고구) :
구름 날자 고향 언덕 보고파라
魚肥香稻熱(어비향도열) :
물고기 살찌우고 향기로운 벼는 익어가니
鳥宿翠林稠(조숙취림조) :
빼곡한 푸른 숲에 새는 깃든다
다경루증계담(多景樓贈季潭)-정몽주(鄭夢周)
다경루에서 계담에게 주다
欲展平生氣浩然(욕전평생기호연) :
평생에 기른 호연지기를 펴고자하면
須來甘露寺樓前(수래감로사루전) :
모름지기 감로사 누각 앞에 서보라.
瓮城畫角斜陽裏(옹성화각사양리) :
옹성의 화각 소리 지는 해 속에 울리고
苽浦歸帆細雨邊(고포귀범세우변) :
과포의 돌아가는 돛단배 가랑비에 젖고
古鑊尙留梁歲月(고확상류량세월) :
옛 가마솥엔 아직껏 양 나라 시절 남았나니
高軒直壓楚山川(고헌직압초산천) :
높은 누각은 곧 바로 초나라 산천을 누른다.
登臨半日逢僧話(등림반일봉승화) :
올라서 반나절 동안 스님과 대화하다가
忘却東韓路八千(망각동한로팔천) :
고국 가는 팔천리 길을 잊어버렸구나.
정주중구한상명부(定州重九韓相命賦)-정몽주(鄭夢周)
정주에서 중양절에 한상이 지으라 하여
定州重九登高處(정주중구등고처) :
정주에서 중양절에 높은 곳에 오르니
依舊黃花照眼明(의구황화조안명) :
예와 같은 국화 보며 눈이 밝아진다
浦溆南連宣德鎭(포서남련선덕진) :
갯벌은 남쪽으로 선덕진에 이어지고
峯巒北倚女眞城(봉만북의녀진성) :
산봉우리는 북으로 여진의 성에 기대어있다.
百年戰國興亡事(백년전국흥망사) :
백년 나라 전쟁에 흥하고 망한 일들
萬里征夫慷慨情(만리정부강개정) :
만 리 밖에 나그네에겐 비분강개 정이 인다
酒罷元戎扶上馬(주파원융부상마) :
술 파하고 원융은 부축 받아 말에 오르니
淺山斜日照紅旌(천산사일조홍정) :
얕은 산, 비낀 해가 붉은 기를 비춘다.
등전주망경대(登全州望景臺)-정몽주(鄭夢周)
전주 망경대에 올라
千仞岡頭石徑橫(천인강두석경횡) :
천 길 벼랑끝에 돌 길 비껴있는데
登臨使我不勝情(등림사아불승정) :
오르고 임하여 끝 없는 정에 젖는다
靑山隱約扶餘國(청산은약부여국) :
청산은 보일 듯 말듯한 부여국이요
黃葉繽紛百濟城(황엽빈분백제성) :
누른 잎이 우수수 지는 백제성이로다.
九月高風愁客子(구월고풍수객자) :
구월 높은 바람에 나그네 시름겨워
百年豪氣誤書生(백년호기오서생) :
백년 호방한 기색 서생은 아니로다
天涯日沒浮雲合(천애일몰부운합) :
하늘 가에 해는 지고 뜬 구름 어우러져
怊悵無由望玉京(초창무유망옥경) :
까닭없이 서글퍼져 서울을 바라본다.
금산사(金山寺)-정몽주(鄭夢周)
金山宛在碧波間(금산완재벽파간) :
금산은 푸른 물결 새로 완연히 있거니
山下扁舟信往還(산하편주신왕환) :
산 아래 일엽편주 오가며 교신한다
眼底已窮眞面目(안저이궁진면목) :
눈 아래 이미 진면목이 끝까지 다보이니
不須脚力更登攀(불수각력갱등반) :
모름지기 다리 힘들여 다시 올라 매달릴 것 없어라
강상억주좌참1(江上憶周左參1)-정몽주(鄭夢周)
강 위에서 주좌참이 생각나서
江上玉人何處遊(강상옥인하처유) :
강 위의 아름다운 님 어디서 노닐까
江聲日暮向東流(강성일모향동류) :
강물 소리 해는 져서 동/쪽 향해 흐르고
春風萬里孤舟客(춘풍만리고주객) :
봄 바람 만리길에 외론 배 탄 나그네여
一夜相思欲白頭(일야상사욕백두) :
하룻 밤 그리움에 머리가 희어진다
강상억주좌참2(江上憶周左參2)-정몽주(鄭夢周)
강 위에서 주좌참이 생각나서
黃金臺客鬢靑靑(황금대객빈청청) :
황금대의 나그네 귀밑머리 푸르련만
千首詩名海內驚(천수시명해내경) :경
천 수의 시의 명성 나라 안을 놀래키니
入掌絲綸應不遠(입장사륜응불원) :
조칙을 지을 날도 응당 멀지 않을지니
觀光他日話離情(관광타일화리정) :
구경한 다음 날에 별리의 정을 나누리라
발해회고(渤海懷古)-정몽주(鄭夢周)
발해를 회고하며
唐室勞師定海東(당실노사정해동) :
당나라 군사를 괴롭혀 해동을 평정하고
大郞隨起作王宮(대랑수기작왕궁) :
대장부 바로 따라 일어나 나라를 세웠도다
請君莫說關邊策(청군막설관변책) :
그대 청컨데, 변방의 정책을 말하지 말라
自古伊誰保始終(자고이수보시종) :
자고로 그 누가 처음과 끝을 보장하리
탕욕(湯浴)-정몽주(鄭夢周)
목욕
雨行泥汚遍(우행니오편) :
비 내려 모두가 진흙탕 세상
熱走汗霑頻(열주한점빈) :
열나게 다니다 땀에 자주 젖는다
沂浴思春暮(기욕사춘모) :
기수에 목욕하니 저문 봄 그리워져
湯銘誦日新(탕명송일신) :
탕왕 비명의 “날로 새롭다‘를 읊조린다
氤氳喜有水(인온희유수) :
하늘 땅 기운 서린 물이 있어 좋으니
淸淨洗無塵(청정세무진) :
청정히 씿어내니 먼지가 없구나
頓覺精神爽(돈각정신상) : 상
문득 깨달으니 정신이 쇄락하고
臨風更網巾(임풍경망건) :
바람을 맞으며 망건을 다시 쓴다
야흥(夜興)-정몽주(鄭夢周)
밤의 흥취
夜氣生公館(야기생공관) :
밤기운 이는 공관에서
空庭雨乍收(공정우사수) :
빈 뜰의 비는 잠깐 멈추니
飛螢帶秋思(비형대추사) :
날으는 반딧불 무리에 가을이 생각난다
宿客抱情愁(숙객포정수) :
잠자는 나그네 아련한 정에 사로잡혀
露葉聞餘滴(노엽문여적) :
이슬 맺힌 나뭇잎에 물방울 소리 듣는다
星河看欲流(성하간욕류) :
은하는 흐르는 듯 보이는데
明朝還北去(명조환북거) :
내일 아침이면 다시 북으로 갈지니
數起問更籌(수기문갱주) :
수 차례 일어나 시간을 묻는다
음시(吟詩)-정몽주(鄭夢周)
시를 읊으며
終朝高詠又微吟(종조고영우미음) :
아침내내 크게 읊고 또 작게 읊으니
苦似披沙欲鍊金(고사피사욕연금) :
괴롭기가 모래 헤쳐 금을 찾는 격이라
莫怪作詩成太瘦(막괴작시성태수) :
시 짓다가 삐적 말라도 괴이타 말라
只綠佳句每難尋(지록가구매난심) :
아름다운 싯귀 찾는 것은 매양 어려워라
문효고(聞曉鼓)-정몽주(鄭夢周)
새벽 북소리 들으며
更深耿耿抱愁懷(갱심경경포수회) :
깊어가면 더욱 또릿 또릿 수심에 사로잡혀
城上俄聞曉鼓催(성상아문효고최) :
성에 올라 잠시 새벽 북소리를 듣는다
客路半年孤枕上(객로반년고침상) :
반 년 나그네 길 외로운 베갯머리
窓欞依舊送明來(창령의구송명래) :
창의 불빛 변함없이 밝게 비친다
동양역벽화응웅가용진교유운
(僮陽驛壁畵鷹熊歌用陳敎諭韻)
정몽주(鄭夢周)
동양역 벽에 그린 송골매 양태를
진교유의 운을 빌어 노래하다
波濤龍騰凌碧虛(파도용등릉벽허) :
물결은 용 승천하듯 하늘에 사무치고
紅旌渡淮風卷舒(홍정도회풍권서) :
붉은 깃발은 회수 건너 바람에 펄럭인다
人言大將受節鉞(인언대장수절월) :
사람들 말하네, 임금의 임명 받은 대장은
許國不復思全軀(허국불복사전구) :
나라 위해 제 몸 생각 않는 법이라 했다
車騎徐驅臨楚岸(차기서구림초안) :
수레와 말 천천히 몰아 초나라 언덕으로 가고
雷霆已殷齊東隅(뇌정이은제동우) :
천둥은 이미 제동에까지 울리는구나
猛士股栗聽指揮(맹사고률청지휘) :
용맹하던 군사들도 다리 떨며 지휘를 받고
縣尹首縮爭來趨(현윤수축쟁래추) :
고을 원님들은 목 움츠려 다투어 와 항복한다
君不見鳥中有鷹兮(군불견조중유응혜) :
그대는 모르는가, 새 중에 매가 있어
衆鳥翶翔莫能及(중조고상막능급) :
뭇 새들 높이 날아도 미칠 수 없는 것을.
又不見獸中有熊兮(우불견수중유웅혜) :
또 모르는가, 짐승 중에 곰이 있어
百獸懾伏不敢立(백수섭복불감립) :
온갖 짐승 두려워서 감히 서있지도 못하는 것을
將軍本是萬人敵(장군본시만인적) :
장군이란 원래가 만 사람과 맞서는 것
氣味吾知與之協(기미오지여지협) :
그 기세와 멋이 매와 곰에 어울리는 것을 나는 아노라
撫劍思從沙漠游(무검사종사막유) :
칼 어루만지며 생각은 사막에 노닐고
撚箭志在陰山獵(연전지재음산렵) :
화살 부비며 음산의 사냥에 뜻을 두노라
僮陽驛中住半月(동양역중주반월) :
동양역에 반달 동안 머물다가
適見畵工精所業(적견화공정소업) :
마침 정한 화공을 만났도다
高堂大壁(고당대벽) :
높다란 집 큰 벽에
使之揮筆展其才(사지휘필전기재) :
그림 그리게 하여 그 재주를 펴 보게 하니
郭熙韓幹眞輿臺(곽희한간진여대) :
곽 희와 한 간은 참으로 그 하수이로다
維熊昂頭兮鷹奮翼(유웅앙두혜응분익) :
곰은 머리 쳐들고 매는 날개 떨치는데
精神妙處不在矩與規(정신묘처부재구여규) :
정신의 오묘함은 법도 넘어선 곳에 있도다
政逢盛代修武備(정봉성대수무비) :
정히 성세에 서로 만나 무비를 닦음에
我亦獻馬過海陲(아역헌마과해수) :
나 또한 말을 바치고 이 해변을 지나노라
日長公館綠陰合(일장공관록음합) :
해 긴 공관에는 녹음이 어우러졌는데
閉門看畵仍低佪(폐문간화잉저회) :
문 닫고 그림 보며 오락가락 거니는구나
盤飛須臾灑毛血(반비수유쇄모혈) :
빙빙 날아도는가 싶었는데 어느새 새의 털에 피 뿌린다
顧盻髣髴生風威(고혜방불생풍위) :
힐끗이 돌아보는 모습에 위풍이 생동하도다
鷹兮熊兮(응혜웅혜) :
매여, 곰이여
我當效汝於丹靑之外兮(아당효여어단청지외혜) :
내 마땅히 그림 밖에서 너를 본받아
決吾之勇兮起吾衰(결오지용혜기오쇠) :
나의 용기 끊어내어 나의 쇠약함을 떨리로다
又安得壯士如汝二物之神俊者
(우안득장사여여이물지신준자) :
어찌하면, 너희 두 무리같이 빼어난 장사 얻어
死生終始莫相違(사생종시막상위) :
생사간에 끝과 시작 어김없이 되어서
繫頸匈奴之頑黠(계경흉노지완힐) :
완악하고 교활한 흉노의 목 홀쳐 끌고와
勒銘燕然之崔巍(륵명연연지최외) :
연연산 높은 곳에 빗돌 세워 기록하리라
功成歸來報天子(공성귀래보천자) :
공 이루고 돌아와 천자에게 아뢴 뒤에
乞身試向山中回(걸신시향산중회) :
산속으로 돌아가 쉬겠다고 이몸 한 번 청해 볼까.
贈禮部主事胡璉 (贈禮部主事胡璉 )-정몽주(鄭夢周)
예부 주사 호련에게
男子平生愛遠遊(남자평생애원유) :
사나이 평생을 멀리 떠다니기 좋아하지
異鄕胡乃歎淹留(이향호내탄엄유) :
어찌 낮선 땅에서 머무는 것 탄식하리오
無人更掃陳蕃榻(무인갱소진번탑) :
진번의 의자 쓸어줄 사람 아무도 없고
有客獨登王粲樓(유객독등왕찬루) :
왕찬의 누대에 올라갈 사람만 있구나
萬戶砧聲明月夜(만호침성명월야) :
달 밝은 밤 집집마다 들리는 다듬질 소리
一竿帆影白鷗洲(일간범영백구주) :
흰 갈매기 나는 모래섬에는 흰 돗단배 그림자
時來飮酒城南市(시래음주성남시) :
성남에서 때때로 술을 마시나니
豪氣猶能塞九州(호기유능새구주) :
호탕한 기운 여전히 구주를 채울 수 있도다
음시(吟詩)-정몽주(鄭夢周)
시를 읊는다는 것
終朝高詠又微吟(종조고영우미음) :
아침내내 읊조리다 또 다시 음미하려니
若似披沙欲練金(약사피사욕련금) :
모래판 파헤쳐 금싸라기 찾는 것 같네요
莫怪作詩成太瘦(막괴작시성태수) :
시짓느라 삐쩍 말라버림을 괴이타 마세요
只緣佳句每難尋(지연가구매난심) :
오로지 좋은 싯귀란 어렵게 찾는 것이라오
홍무정사봉사일본작2(洪武丁巳奉使日本作2)
정몽주(鄭夢周)
홍무 정사년 일본으로 사신가 짓다
僑居寂寞閱年華(교거적막열년화) :
타향살이 적막한 채로 한 해를 사는데
苒苒窓櫳日影過(염염창롱일영과) :
천천히 창밖의 해는 지나가는구나
每向春風爲客遠(매향춘풍위객원) :
매향 봄바람 불면 머언 나그네 되어
始知豪氣誤人多(시지호기오인다) :
호기가 사람 일 그르치는 시발점임을 알겠노라
桃紅李白愁中艶(도홍이백수중염) :
복사꽃 붉고 오얏 하얗거니 수심중에 요염하고
地下天高醉裏歌(지하천고취리가) :
땅은 낮고 하늘은 높은데 취해 노래부른다
報國無功身已病(보국무공신이병) :
보국할 공도 없이 몸은 이미 병들었으니
不如歸去老烟波(불여귀거로연파) :
차라리 돌아가 자연 속에서 늙어감만 못하리라
봉사일본(奉使日本)- 정몽주(鄭夢周)
일본에 사신 와서
水國春光動(수국춘광동) :
섬나라에 봄기운 감도는데
天涯客未行(천애객미행) :
하늘 끝 나그네 아직 돌아가지 못 하네
草連千里綠(초련천리록) :
풀은 천 리에 연해 푸르고
月共兩鄕明(월공양향명) :
달은 두 고을 모두 밝히네
遊說黃金盡(유설황금진) :
사행길에 황금도 다 썼나니
思歸白髮生(사귀백발생) :
고국 갈 생각에 백발만 는다
男兒四方志(남아사방지) :
천하를 다스리려는 장부의 큰 뜻이
不獨爲功名(불독위공명) :
공명을 위함은 아니라오
야객(夜客)-정몽주(鄭夢周)
客夜人誰問(객야인수문) :
나그네를 밤에 누가 찾으리
沈吟欲二更(침음욕이경) :
조용히 읊조리니 이경이 되려 한다
詩從枕上得(시종침상득) :
시는 베개 위 쫓아 얻고
燈在壁間明(등재벽간명) :
등잔불은 벽 사이에 있어 밝구나
默默思前事(묵묵사전사) :
묵묵히 지난 일을 생각하며
遙遙計去程(요요계거정) :
곰곰이 앞으로 갈길을 헤아려본다
俄然睡一覺(아연수일각) :
깜빡 졸다가 깨어보니
童僕報鷄鳴(동복보계명) :
아이놈이 닭이 운다 알려주는구나
우제(偶題)-정몽주(鄭夢周)
우연히 짓다
今日知何日(금일지하일) :
오늘이 무슨 날인고 하니
春風動客衣(춘풍동객의) :
봄바람이 나그네 옷깃 날리는구나
人遊千里遠(인유천리원) :
사람들과 어우러짐 천리나 멀어지고
雁過故山飛(안과고산비) :
기러기는 고국의 산으로 날아간다
許國寸心苦(허국촌심고) :
나라에 바친 한조각 마음 괴롭건만
感時雙淚揮(감시쌍루휘) :
시절을 느끼니 두 줄기 눈물이 흐른다
登樓莫回首(등루막회수) :
누각에 올라 머리를 돌리지 않아도
芳草正菲菲(방초정비비) :
꽃다운 풀이 한창이구나
홍무정사봉사일본작1(洪武丁巳奉使日本作1)
정몽주(鄭夢周)
홍무 정사년에 일본으로 사신가서 짓다
水國春光動(수국춘광동) :
섬나라에 봄기운 감도는데
天涯客未行(천애객미행) :
하늘 끝 나그네 아직 돌아가지 못 하네
草連千里綠(초련천리록) :
풀은 천 리에 연이어 푸르고
月共兩鄕明(월공양향명) :
달은 두 고을 모두 밝히네
遊說黃金盡(유설황금진) :
사행길에 비용도 다 썼고
思歸白髮生(사귀백발생) :
고국 갈 생각에 흰머리만 느네
男兒四方志(남아사방지) :
세상을 다스리려는 나의 큰 뜻이
不獨爲功名(불독위공명) :
다만 공명만을 위함은 아니라오
기이정언(寄李正言)-정몽주(鄭夢周)
이정언에게
春風苦憶李長沙(춘풍고억리장사) :
봄바람에 이장사 그리워 괴로웁나니
徏倚南樓日欲斜(徏의남루일욕사) :
남쪽 누대 기대니 해가 지려하는구나
宣室承恩應未遠(선실승은응미원) :
선실에서 은혜 받기 멀지 않으리니
石灘明月不須誇(석탄명월불수과) :
석탄의 밝은 달빛 자랑할 것이 없도다
제여흥루(題驪興樓)-정몽주(鄭夢周)
영흥루에 제하다
煙雨空濛滿一江(연우공몽만일강) :
안개 비 쓸쓸히 강에 가득하니
樓中宿客夜開窓(루중숙객야개창) :
누대 안의 나그네는 밤에 창을 연다
明朝上馬衝泥去(명조상마충니거) :
내일 아침 말에 올라 진흙 뚫고 가려니
回首滄波白鳥雙(회수창파백조쌍) :
푸른 물결에 머리 돌리니 백조 한쌍 나는구나
주차백로주(舟次白鷺洲)-정몽주(鄭夢周)
배에서 백로주를 차운하다
白鷺洲邊浪接天(백로주변랑접천) :
백로주 주변의 물결은 하늘에 닿고
鳳凰臺下草如煙(봉황대하초여연) :
봉황대 아래는 풀이 연기와 같도다
三山二水渾夜舊(삼산이수혼야구) :
삼산과 이수는 모두 예와 같거니
不見當年李謫仙(불견당년리적선) :
그 당시의 이적선은 보지 못했다
회금해구유(懷金海舊遊)-정몽주(鄭夢周)
김해 옛 놀이 생각하며
燕子樓前燕子廻(연자루전연자회) :
연자루 앞에 제비가 돌아오는네
郞君一去不重來(랑군일거불중래) :
낭군은 한 번 간 뒤 다시 오지 않는구나
當時手種梅花樹(당시수종매화수) :
당시에 직접 심은 매화나무는
爲問東風幾度開(위문동풍기도개) :
봄바람에 몇 번이나 피었는지 묻고 싶도다
표모분(漂母墳)-정몽주(鄭夢周)
표모의 무덤
漂母高風我所歆(표모고풍아소흠) :
표모의 높은 풍모 내가 공경하는 바인지라
道經遺塚爲傷心(도경유총위상심) :
남겨진 무덤을 지나가니 내 마음 상하는구나
莫言不受王孫報(막언불수왕손보) :
왕손의 은혜 안 받았다고 말하지 말라
千古芳名直幾金(천고방명직기금) :
천고에 아름다운 이름은 그 값은 얼마이리오
곡이밀직종덕(哭李密直種德)-정몽주(鄭夢周)
밀직 이종덕을 곡하다
自是韓山積善餘(자시한산적선여) :
한산 이씨 문벌은 적선한 일이 있는데
賢郞欠壽竟何如(현랑흠수경하여) :
아들이 일찍 오래 살지 못함은 어찌 된 일인가
古來此理誠難詰(고래차리성난힐) :
옛부터 이러한 이치 정말 알기 어려웠으니
孔聖猶曾哭伯魚(공성유증곡백어) :
공자 같은 성인도 일찍 아들 백어를 곡하였도다
등정주성루(登定州城樓)-정몽주(鄭夢周)
정주 성루에 올라
歸心杳杳入長空(귀심묘묘입장공) :
돌아갈 마음이 아득하여 긴 공중에 들어
萬里登樓滿帽風(만리등루만모풍) :
만 리 먼 누각 오르니 모자에 가득 바람
已信此身無定止(이신차신무정지) :
이미 이 몸 머무 곳 없음을 알았으니
明年何處聽秋鴻(명년하처청추홍) :
명년에 어느 곳에서 가을 기러기 소리 들을까나
봉래각(蓬萊閣)-정몽주(鄭夢周)
採藥未還滄海深(채약미환창해심) :
불사약 캐러 갔다 돌아오지 못한 푸른 바다 깊구나
秦皇東望此登臨(진황동망차등림) :
진시황은 동쪽 바라보며 여기 누대에 올라 바라보았다
徐生詐計非難悟(서생사계비난오) :
서복의 거짓 계교를 깨닫기는 어렵지 않았다
自是君王有欲心(자시군왕유욕심) :
여기에서 군왕의 욕심 때문이겠지
재유시사(再遊是寺)-정몽주(鄭夢周)
다시 이절에 와 놀다
溪流繞石綠徘徊(계류요석록배회) :요
개울물 바우 휘감아 푸른빛 감돌고
策杖沿溪入洞來(책장연계입동래) :
지팡이 짚고 개울 따라 고을에 든다
古寺閉門僧不見(고사폐문승불견) :
옛 절은 닫혀 있어 스님은 보이지 않고
落花如雪覆池臺(낙화여설복지대) :
지는 꽃만 눈인냥 연못의 누대를 덮는구나
석정전다(石鼎煎茶)-정몽주(鄭夢周)
돌 솥에 차 다리며
報國無效老書生(보국무효노서생) :
나라의 은혜를 갚지도 못하는 늙은 서생
喫茶成僻無世情(끽다성벽무세정) :
차 달이며 세상 피하니 세정이 없도다
幽齋獨臥風雪夜(유재독와풍설야) :
눈보라 치는 밤, 재실에 홀로 누워
愛聽石鼎松風聲(애청석정송풍성) :
돌 솥에 들려오는 솔바람 소리 즐겨 듣는다
증승(贈僧)-정몽주(鄭夢周)
스님에게
松風江月接沖虛(송풍강월접충허) :
솔바람 강에 비친 달이 허공에 닿으면
正是山僧入定初(정시산승입정초) :
이 때가 곧 산승이 선경에 들 때로다
可吲紛紛學道者(가신분분학도자) :
가소롭도다, 어지러이 도를 배우는 자야
聲色之外覓眞如(성색지외멱진여) :
성색의 밖에서 진여를 찾는구나
제익양신정(題益陽新亭)-정몽주(鄭夢周)
익양의 새 정자에 제하다
山近暮雲合(산근모운합) :
해거름 산 근처에 구름이 모여들고
草長秋雨深(초장추우심) :
풀은 늘어지고 매서운 가을비
一燈孤客夢(일등고객몽) :
등불 하나 외론 나그네의 꿈
千里故人心(천리고인심) :
천리나 먼 님의 마음이로다
첨성대(瞻星臺)-정몽주(鄭夢周)
瞻星臺兀月城中(첨성대올월성중) :
첨성대는 월성에 우뚝 솟아있고
玉笛聲含萬古風(옥적성함만고풍) :
옥저 소리는 만고풍류 품었구나
文物隨時羅代異(문물수시라대이) :
문물은 시절 따라 신라와 다르지만
嗚呼山水古今同(오호산수고금동) :
오호라, 산수는 에와 다름 없고나
증상주김선치상국(贈尙州金先致相國)
정몽주(鄭夢周)
상주의 김선치 상국에게
雨中留我酒杯深(우중류아주배심) :
빗속에 머물다 술이 취하여
半日高談直百金(반일고담직백금) :
반나절 고담준론 백금이로다
只爲朝天促歸驥(지위조천촉귀기) :
천자 보기 위해 가는말 재촉하니
夕陽芳草懊人心(석양방초오인심) :
석양의 방초에 사람마음 아프구나
중추(中秋)-정몽주(鄭夢周)
추석날
中秋昔作咸州客(중추석작함주객) :
중추절에 함주의 나그네 되어
屈指今經二十年(굴지금경이십년) :
손 꼽아 헤어보니 이제 이십 년이로다
白首重來對明月(백수중래대명월) :
흰 머리로 다시 와 밝은 달을 바라보니
餘生看得幾回圓(여생간득기회원) :
여생에 둥근 모습 몇 번이나 볼꺼나
숙탕참(宿湯站)-정몽주(鄭夢周)
탕참에서 묵으며
半生豪氣未全除(반생호기미전제) :
반평생의 호탕한 기운 다 없어지지는 않아
跨馬重遊鴨綠堤(과마중유압록제) :
말에 걸터 앉아 압록강 뚝에서 놀도다
獨臥野盤無夢寐(독와야반무몽매) :
홀로 들판 반석에 누워도 잠은 오지 않고
滿山明月子規啼(만산명월자규제) :
밝은 달빛 산에 가득하고 자규는 울어댄다
고소대(姑蘇臺)-정몽주(鄭夢周)
衰草斜陽欲暮秋(쇠초사양욕모추) :
석양에 시든 풀은 가을도 저물었네
姑蘇臺上使人愁(고소대상사인수) :
고소대 오르니 수심젖게 하는구나
前車未必後車戒(전거미필후거계) :
앞 수레의 일을 반드시 뒷 수레가 경계 삼으니
今古幾番麋鹿遊(금고기번미록유) :
고금에 몇 번이나 사슴들이 노닐다 갔을까
양자강(楊子江)-정몽주(鄭夢周)
龍飛一日樹神功(용비일일수신공) :
용이 날아 하루만에 신령한 공을 이루니
直使乾坤繞漢宮(직사건곤요한궁) :
곧 바로 천하를 한나라 궁실을 섬기게 하였다
但把長江限南北(단파장강한남북) :
다만 장강을 남북으로 갈라 놓았으니
曹公誰道是英雄(조공수도시영웅) :
누가 조조를 영웅이라 말하는가
오호도(嗚呼島)-정몽주(鄭夢周)
三傑徒勞作漢臣(삼걸도로작한신) :
세 호걸 헛된 수고 한의 신하 되었으되
一時功業竟成塵(일시공업경성진) :
한 시절의 공업도 필경 티끌이로다
只今留得嗚呼島(지금유득오호도) :
다만 지금은 오호도가 남아
長使行人淚滿巾(장사행인루만건) :
오래도록 나그네의 눈물 수건에 젖는다
양자강선상(楊子江船上)-정몽주(鄭夢周)
양자강 배 위에서
身隨海舶賀王正(신수해박하왕정) :
배를 따라 황실의 새해 축하하려
路入江南眼忽明(노입강남안홀명) :
길이 강남에 드니 문득 밝아진다
地闢天開新建極(지벽천개신건극) :
천지가 개벽하여 새로 황극이 서니
龍盤虎踞舊聞名(용반호거구문명) :
용반호로은 예난 듣던 이름이로다
정부원2(征婦怨2)-정몽주(鄭夢周)
정부의 원망
織罷回文錦字新(직파회문금자신) :
회문 짜고 나니 비단 글자 새롭고
題封寄遠恨無因(제봉기원한무인) :
제목 봉해 멀리 보내니 한이 없구나
衆中恐有遼東客(중중공유료동객) :
무리 중에 요동의 나그네 있을까 저어하여
每向津頭問路人(매향진두문로인) :
늘 나루터 향해 가는 사람에게 묻는다
강남곡(江南曲)-정몽주(鄭夢周)
江南女兒花揷頭(강남여아화삽두) :
강남의 아가씨들 머리에 꽃을 꽂고
笑呼伴侶游芳洲(소호반려유방주) :
웃으며 짝을 불러 방초 우거진 물가에 논다
蕩槳歸來日欲暮(탕장귀래일욕모) :
삿대 저으며 돌아오니 해는 저물어
鴛鴦雙飛無限愁(원앙쌍비무한수) :
원양이 짝지어 날으니 그리움 가득해라
음시(吟詩)-정몽주(鄭夢周)
시를 읊으며
終朝高詠又微吟(종조고영우미음) :
아침 내내 높이 읊고 또 가늘게도 읊으니
苦似披沙欲鍊金(고사피사욕연금) :
고통은 마치 모래 헤치는 연금술 같구나
莫怪作詩成太瘠(막괴작시성태척) :
괴이타 말게나, 시 짓다 크게 수척해짐을
只緣佳句每難尋(지연가구매난심) :
아름다운 싯구 얻는 인연 지난하다네
문효고(聞曉敲)-정몽주(鄭夢周)
새벽 북소리 들으며
更深耿耿抱秋懷(경심경경포추회) :
점차 깊어가도 또릿 또릿 가을 회포 안고
城上俄聞曉敲催(성상아문효고최) : 아
성 위에 갑작스런 새벽 북소리 들려온다
客路半年孤枕上(객로반년고침상) :
나그네 신세 반 년에, 외론 잠자리
客窓依舊送明來(객창의구송명래) :
객창은 여전한데 여명이 오나보다
주중야흥(舟中夜興)-정몽주(鄭夢周)
배안, 밤 흥취
湖水澄澄鏡面平(호수징징경면평) :
호수는 맑고 맑아 거울같이 잔잔한데
舟中宿客不勝淸(주중숙객불승청) :
배 안에 자는 나그네 청정함을 못 봐주고
悄然半夜微風起(초연반야미풍기) :
근심스레 한밤에 미풍이 일더니만
十里菰蒲作雨聲(십리고포작우성) : 작
십리 부들 부초 빗소리에 일어난다
고우성(高郵城)-정몽주(鄭夢周)
湖光瀲灩繞重城(호광렴염요중성) :
호수빛 넘싯대며 무겁게 성을 에워싸고
粉堞崔嵬百里明(분첩최외백리명) :
화려한 성첩은 높다랗게 백리에 밝구나
仰認聖人憂治世(앙인성인우치세) : 인
성인의 치세를 우려함을 받들어 알겠도다
故留精卒戒嚴更(고류정졸계엄경) :
짐짓 정병을 모아서 엄히 지키게 하다
往時豪傑來依險(왕시호걸래의험) :
지난 날 호걸들도 이 험난한 곳에 와
每逞頑凶此弄兵(매령완흉차롱병) : 완
매번 흉한 도적 맞아 이곳 병사를 농락했기에
畢竟驅民爲湯武(필경구민위탕무) :
마침내 백성을 몰아 탕무시대 만들었건만
今看菱芡滿池生(금간릉검만지생) :
지금 보니 마름풀만 지당에 가득 자라는구나
고우호(高郵湖)-정몽주(鄭夢周)
南歸日日是遨遊(남귀일일시오유) :
남으로 돌아와 날마다 유람하니
湖上淸風送葉舟(호상청풍송엽주) :
호수에 청풍 일어 일엽편주를 띄운다
兩岸菰蒲行不盡(양안고포행부진) :
양 언덕 부초와 부들은 가이 없으니
又隨明月宿芳洲(우수명월숙방주) :
밝은 달 방초 물가에 하룻밤 묵으련다
음주(飮酒)-정몽주(鄭夢周)
술을 마시며
客路春風發興狂(객로춘풍발흥광) :
봄바람 나그네 길에 미친 듯 흥이 일어
每逢佳處卽傾觴(매봉가처즉경상) :
경치 좋은 곳 만날 때마다 술잔을 기울인다
還家莫愧黃金盡(환가막괴황금진) :
집에 돌아와 황금을 다썼다 부끄러워 말라
剩得新詩滿錦囊(잉득신시만금낭) :
새로 지은 시가 봇짐에 넘쳐난다
승주별경(乘舟別京)-정몽주(鄭夢周)
배를 타고 서울을 떠나다
潮落潮生漸遠行(조락조생점원행) :
가고 오는 조수는 점차 멀어져도
不堪回首望松京(불감회수망송경) :
자꾸만 머리 돌려 송도를 바라본다
海門千里來相送(해문천리래상송) :
천리 먼 바다 어귀까지 와 작별하려함은은
只有靑山最有情(지유청산최유정) :
다만 가장 정겨운 푸른 산이 있어서라네
시정몽주(示鄭夢周)-민사평(閔思平)
정몽주에게
吾門鄭太學(오문정태학) :
우리 동문 중 태학 정몽주
如今有賢詞(여금유현사) :
지금은 현사에 있으니
況與愚孫遊(황여우손유) :
황차 어리석은 손과도 어울리니
胡不示猶子(호불시유자) :
어찌 자식처럼 대하지 않을까
몽(夢)-정몽주(鄭夢周)
世人多夢寐(세인다몽매) :
세인들 몽매하건만
夢罷旋成空(몽파선성공) :
꿈 깨면 이룬 것 없어라
自是因思慮(자시인사려) :
이를 사려깊이 알아서
何能有感通(하능유감통) :
감하고 통함을 어이 알꺼나
殷家得傅說(은가득부열) :
은나라 고종은 부열을 얻고
孔氏見周公(공씨견주공) :
공자는 꿈 속에서 주공을 보았네
此理人如問(차리인여문) :
사람에게 이 이치를 물을진대
當求至靜中(당구지정중) :
고요함속에서 응당히 구해야하리
동지음2(冬至吟2)-정몽주(鄭夢周)
동지를 읊다
造化無偏氣(조화무편기) :
조화는 한편으로 치우치지 않아
聖人猶抑陰(성인유억음) :
성인은 여전히 음기를 억제한다네
一陽初動處(일양초동처) :
일양이 처음 움직인 곳에서
可以驗吾心(가이험오심) :
내 참 마음을 경험할 수 있다네
동지음1(冬至吟1)-정몽주(鄭夢周)
동지를 읊다
乾道未嘗息(건도미상식) :
하늘의 도는 쉬임이 없건만
坤爻純是陰(곤효순시음) :
땅의 효는 순전히 음이라네
一陽初動處(일양초동처) :
일양이 처음 움직인 곳에서
可以見天心(가이견천심) :
가히 천심을 볼수 있으리
호중관어2(湖中觀魚2)-정몽주(鄭夢周)
호수에서 물고기를 보다
魚應非我我非魚(어응비아아비어) :
물고기는 응당 내가 아니고 나는 물고기 아니니
物理參差本不齊(물리참차본부제) :
사물의 이치는 제각기 여서 본래 같지가 않다네
一卷壯生濠上論(일권장생호상론) :
한권의 장자의 호숫가 논설로써
至今千載使人迷(지금천재사인미) :
지금까치 천년동안 사람을 미혹케 하는구나
호중관어1(湖中觀魚1)-정몽주(鄭夢周)
호수에 물고기를 보다
潛在深淵或躍如(잠재심연혹약여) :
깊은 못에 있는 듯 혹은 뛰어 오르는 듯
子思何取著于書(자사하취저우서) :
자사는 무엇을 취해 책에 적었을까
但將眼孔分明見(단장안공분명견) :
다만 장차 눈으로 분명히 봐야 하는 것은
物物眞成潑潑魚(물물진성발발어) :
두두물물이 활발한 물고기가 되게 하는 것이니라
明遠樓(명원루)-鄭夢周(정몽주)
淸溪石壁抱州回(청계석벽포주회) :
바우 벽의 맑은 개울은 고을을 돌아 감싸안고
更起新樓眼豁開(갱기신루안활개) :
새로 지은 누각에서 일어나보니 눈 앞이 훤히 보인다
南畝黃雲知歲熟(남무황운지세숙) :
남쪽 이랑 황금들녘 풍년임을 알려오고
西山爽氣覺朝來(서산상기각조래) :
서산의 삽상한 기운 아침이면 느껴진다
風流太守二千石(풍류태수이천석) :
풍류 즐기는 태수는 이천석의 돈을 쓰고
邂逅故人三百杯(해후고인삼백배) :
오랜만에 만난 친구와 술 삼백 잔은 마신다네
直欲夜深吹玉笛(직욕야심취옥적) :
밤이 깊으니 직접 옥피리를 불며
高攀明月共徘徊(고반명월공배회) :
휘영청 밝은 달 잡아 함께 노닐고 싶구나
丹心歌(단심가)-鄭夢周(정몽주)
此身死了死了(차신사료사료) :
이 몸이 죽고 죽어
一白番更死了(일백번갱사료) :
일백 번 고쳐 죽어
白骨爲塵土(백골위진토) :
백골이 진토가 되고
魂魄有也無(혼백유야무) :
혼백이야 있든 없든
向主一片丹心(향주일편단심) :
주군 향한 일편단심이야
寧有改理也歟(녕유개이야여) :
어찌 고칠 리가 있을까요.
旅寓(여우)-鄭夢周(정몽주)
나그네로 살며
平生南與北(평생남여북) :
평생을 남과 북으로 떠돌다가
心事轉蹉跌(심사전차질) :
마음에 둔 일 뜻대로 되지 않아
故國西海岸(고국서해안) :
고국은 서쪽해안
孤舟天一涯(고주천일애) :
외론 배 하늘 끝에
梅窓春色早(매창춘색조) :
매화 창은 봄빛이 이르고
板屋雨聲多(판옥우성다) :
판떼기 지붕에 빗소리 요란하다
獨坐消長日(독좌소장일) :
홀로 앉아 기나긴 날을 보내니
那堪苦憶家(나감고억가) :
집을 그리는 괴로움 어이 견디리
춘흥(春興)-정몽주(鄭夢周)
봄의 흥취
春雨細不滴(춘우세부적) ;
봄비 가늘어 방울지지 않더니
夜中微有聲(야중미유성) ;
밤 깊어 희미하게 빗소리 들려라
雪盡南溪漲(설진남계창) ;
눈 다 녹아 남쪽 개울에 물 불어날 것이니
多少草芽生(다소초아생) ;
풀싹은 얼마나 돋았을까
등전주망루경대(登全州望樓京臺)
정몽주(鄭夢周)
전주 망경대에 올라
千仞岡頭石徑橫(천인강두석경횡) ;
천길 험한 벼랑 돌길은 비탈지고
登臨使我不勝情(등림사아불승정) ;
누대에 오르니 감개무량하여라
靑山隱約夫餘國(청산은약부여국) ;
말 없는 청산은 부여국일지니
黃葉繽粉百濟城(황엽빈분백제성) ;
누른 잎 흩날리는 백제의 성이여
九月高風愁客子(구월고풍수객자) ;
구월 높새 바람 나그네 수심일어
十年豪氣語書生(십년호기어서생) ;
십년의 호탕한 기상 선비에게 전한다
天涯日沒浮雲合(천애일몰부운합) ;
하늘끝 해 저물고 뜬구름은 몰려오나
翹首無由望玉京(교수무유망옥경) ;
하릴없이 머리 돌려 서울만 바라본다
정부원1(征婦怨1)-정몽주(鄭夢周)
전쟁 나간 병사의 아내
一別年多消息稀(일별년다소식희) ;
헤어진지 수년동안 소식조차 가물하니
寒垣存沒有誰知(한원존몰유수지) ;
전쟁터에 님의 생사를 뉘 있어 알꼬
今朝始寄寒衣去(금조시기한의거) ;
오늘 아침에야 비로소로 겨울옷 부친다
泣送歸時在腹兒(읍송귀시재복아) ;
울면서 돌아서며 헤어질 때의 뱃속의 아이라 하네요
첫댓글 안보이셔서
궁금 했습니다
주옥같은 글
찾으러 잠시자릴
비웠나봅니다^^
항시 들어오면
그래도
바람님의 글이 잏어
즐거웠습니다
즐거운 점심되세요
번역은 또 다른 창작이지요
인터넷상에 번역된 한시들이
실제와 다른것 같아 부족하지만
바람이 직적 번역해 봅니다
읽다가 틀린것 있으면 바로잡아
절차탁마하는 기연 만드세요
정겨운 설명절 나시고
가족 모두 건강과 행운을
기원합니다
포은의 숨결도 느껴보세요
요즘 한국사에 대한 책을 토론토 대학의 아시안 도서관에서 읽는 재미를 붙이고 있습니다.포은 정몽주 선생 문무를 겸비한 세계에 내 놓아도 큰 자랑거리인 대인 이시지요. 지금 대한민국은 사람을 찾습니다. 시진핑과 대좌 하면서도 그에게 함께 살아 가야할 이유와 담론을 펼칠수 있는 세계 정세와 역사를 설파 할수 있는 큰 인물이 나오길 소망해 봅니다.
언제나 시대의 번민은 있나 봅니다
골돌히 헤쳐나온 선인들의 명철한 안목이 있어
오늘의 우리가 존재하게 되겠지요
역사는 어제가 아닌 바로 오늘 우리의
레비게이션입니다
뗄레야 뗄수없는 사내들의 이야기
세상을 만들어 갑니다
역사는 멈춤이 없이 연면히 이어가야할지니
후인에게 부그럽지 않는 오늘 하루이길 바래봅니다
위기의 대한민국호에도 신의 가호와 성찰이 함께하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