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치악산상원사 원문보기 글쓴이: 일소日笑
증엄 스님 (대만 자제공덕회 회주)
대만 국민이 가장 사랑하는 스님, `중생구제`서원…곳곳서 자비행
자비로운 눈빛에 중생구제의 굳은 서원을 담고 있는 대만 자제공덕회(慈濟功德會) 회주
증엄(證嚴) 스님. '관세음보살의 화현'으로 일컬어지며 대만 국민의 사랑과 존경을 한몸에 받고 있는 증엄 스님은 자비희사(慈悲喜捨)의 큰 서원으로 고난을 구제하는 보살행을 펼쳐 만세에 빛나는 구제사업을 일으켰다. 1966년 증엄 스님의 지도아래 30여 신도가 조직한 '불교극난(佛敎克難) 자제공덕회'가 37년이 지난 오늘날, 전 세계 400백만 명의 회원과 5개 병원, 종합대학, 방송국 등 산하시설 직원 수만 2천여 명의 조직을 갖춘 세계 최대의 자선단체로 성장했다.
이러한 업적은 자신만을 위한 소아(小我)를 버리고 인류의 고통을 구제하려는 대아(大我)를 가진 채 살아간다면 어떤 일도 성취할 수 있다는 증엄 스님의 원력으로 가능한 일이었다.
1937 년 중일전쟁 발발 2개월전에 출생한 증엄 스님은 어려서부터 보살의 길을 걸을 만한 자비심을 보였다. 15세 때 어머니가 위장병에 걸려 수술을 해야만하는 위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 증엄 스님은 "제 수명이 12년 줄더라도 어머니가 그만큼 오래 살길 바랍니다"고 기도했다. 효심에 하늘도 감동했음인지, 모친의 병은 기적처럼 나아 수술이 필요없이 약을 먹고 완치됐다. 그러나 5년후 이번에는 부친이 뇌중풍으로 갑자기 사망, 스님에게 엄청난 충격을 주게 된다. 이때 부친의 묘소를 마련하기 위해 이곳 저곳의 절을 찾게 된 것이 불법(佛法)과의 인연을 맺게한 원인이 됐다. 뒷날 자운사의 수도(修道) 스님의 지도아래 증엄 스님은 생명의 근원과 인간 행복의 문제에 대해 사유하기 시작해 마침내 하나의 결단을 내린다.
"여성도 남성과 마찬가지로 가정을 사랑하는 마음을 사회로 확대해 천하의 중생을 사랑해야 한다."
우주적인 자비심으로 충만한 스님은 이후 몇 번의 삭발 출가가 좌절되자 조용히 수행할 곳을 찾아 대만의 북부, 중부, 동부 등으로 만행하다 마지막에는 화련현(花蓮縣) 수림향(秀林鄕) 아래 작은 절인 보명사(普明寺)에 머물게 된다.
1963 년 2월, 증엄 스님은 타이뻬이시 임제사에서 열린 수계식에 참석하려 했지만 은사가 없어 명부에 등록할 수 없었다. 수계식이 열리기 얼마 전 증엄 스님은 우연히 <태허(太虛) 대사 전집>을 사서 읽은 인연으로 인순(印順; '인간불교'를 제창한 대만 불교계의 최고 원로) 대사를 뵙게 된다.
공경심으로 찾아뵈니 인순 대사는 어렵지 않게 은사가 되어주겠다고 응답했다. 급박한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인순 대사는 증엄 스님을 위해 간단한 법문을 설했다. "너와 나의 인연이 수승(殊勝)하구나. 이왕 출가를 했으니, 매 순간 불교와 중생을 위해 살아야 하느니라."
인순 대사는 간단한 스승과 제자의 예를 갖추고 증엄 스님에게 '증엄(證嚴)'이란 법명과 '혜장(慧璋)'이란 자(字)를 내렸다. 증엄 스님은 곧바로 임제사에서 열린 삼단대계(三壇大戒; 사미니계, 비구니계, 대승보살계를 수여하는 계단)에 참석할 수 있었다.
한달 뒤 증엄 스님은 화련으로 돌아와, 한 노 거사의 보시로 보명사 뒤쪽에 소박한 목재 가옥을 지었다. 이곳에서 스님은 잠을 줄이고 소식하며 경을 외우거나 사경하며 수행했다. 때로는 연비(燃臂) 공양으로 중생구제의 서원을 염원하는 기도를 하기도 했다.
1964 년 봄, 스님은 그동안의 공부를 회향하기 위해 화련 자선사에서 처음으로 <지장경> 강의에 나선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4명의 출가 제자가 사제의 연을 처음으로 맺었다. 스님은 절에서 보시금을 바라는 인위적인 법회를 열지 않았으며 '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먹지 않는다'는 청규(淸規)를 철저히 지켰다. 제자들에게도 자급자족의 정신을 강조한 스님은 1995년 봄부터 종이나 옷, 신발의 원료가 되는 꽃을 키워 팔아 사찰 재정으로 삼기도 했다.
중생구제를 향한 증엄 스님의 서원은 뜻밖의 사건을 목격하고 난 뒤에 더욱 확고해진다. 1966년 스님은 한 진료소에서 위출혈로 수술을 하게 된 제자의 부친을 찾아갔다가 병실 근처에 피가 낭자한 사람을 발견하고, 어디서 온 사람인지 궁금했다. 옆에서 한 사람이 대답하기를 "원주민 소녀가 임신을 해 산길로 7∼8시간 달려왔지만 의료비와 보증금이 없어 다시 되돌아 가게 되었다"고 말했다. 증엄 스님은 "두 생명이 같은 생명인 줄 모른단 말인가? 이곳에 생명의 소중함이 과연 있단 말인가?"며 비통한 심정을 가눌 수 없었다.
출가 본래의 뜻은 명리를 떠나는 것이었건만, 돈이 없어 생명이 죽어가는 어처구니 없는 경험을 하다보니, 스님은 '돈으로 사람을 살릴 수도 있다'는 금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하게 된다. 스님은 돌연 경전의 한 구절을 떠올리게 된다. "'1000개의 손과 눈을 가진 관세음보살이 동시에 여러 곳에서 고통과 재난을 구해주듯이', 관세음보살의 자비심을 가진 500인이 각처에 흩어져 천수천안 관세음보살처럼 중생의 아픔을 구제할 수 있지 않을까?"
500 명 단위로 조직된 단체가 생활 가운데서 천수천안관세음보살의 역할을 함으로써 출세간의 정신을 다시 입세간(入世間)으로 되돌린다는 이런 발상은 '성실, 정직, 믿음, 실천'을 추구하는 자제공덕회의 생명 사랑과 자비실천의 기본구조가 되었다.
증엄 스님은 보살행의 원리인 '자비희사(慈悲喜捨)'를 사회사업의 실천이념으로 구체화시킨 선구자였다. '자'는 자선과 국제구호, '비'는 의료와 골수기증, '희'는 문화와 지역사회사업, '사'는 교육과 환경보전사업 등으로 세분화시킨 것이다.
[출처] 증엄 스님(대만 자제공덕회 회주) |작성자 작은황사
......................................................
보천삼무(普天三無) 천하에 내가 사랑하지 않는 사람이 없기를 천하에 내가 믿지 않는 사람이 없기를 천하에 내가 용서하지 않는 사람이 없기를 마음의 번뇌와 원망, 근심 버리고 만인을 사랑하는 마음이 허공 가득 다함이 없기를.
살아 있는 관세음보살의 화현 - 대만 자제공덕회 창시자 증엄 스님 50년 만에 비약적인 불교중흥을 이룬 대만에서 가장 사랑받는 스님은 과연 어느 분일까. 불광산의 성운(星雲) 스님, 법고산의 성엄(聖嚴) 스님, 중대선사의 유각(惟覺) 선사 등 존경받는 큰스님들을 제치고 인기투표에서 당당히 1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분은 의외로 비구니스님이다. 끝없는 자비와 보살행으로 세계 각 국의 4백만 신도는 물론 대만인들에게 ‘살아있는 관세음보살의 화현’으로 칭송받고 있는 자제공덕회 회주 증엄(證嚴) 스님이 그 주인공이다.
이 대지진으로 2,318명이 죽고 사회기반시설의 상당수가 초토화되었다. 진앙 지역 부근 지대인 타이중과 지지 지역에는 구조대원들조차도 접근하기 전, 이미 2만여 자제공덕회 회원들이 적극적으로 구호물자를 전달하며 구제활동을 펼쳤다. 곧이어 자제공덕회는 80억원(한화 약 3,200억원)을 모금해 재난 지역에 50개 학교를 건립 기증하겠다는 ‘희망공사’를 발표했다. 2만여 자원봉사자가 1,630채의 임시 가옥을 건설했던 이 불사는, 2003년 4월 마지막 50번째 학교인 차오툰의 이앤펑 초등학교가 완공된 후 막을 내렸다. 당시 현지 언론은 기자보다 빠른 기동력으로 재난 현장을 찾아간 자제공덕회를 ‘푸른 옷의 천사들’이라고 불렀다.
‘세상을 놀라게 한 재난은 그에 맞는 깨달음이 있어야 함’을 호소하며 10월 중순� 천주교, 기독교, 회교, 불교 등 종교단체를 초청하여 세계평화 기원의 촛불행사를 마련하였다. 또한 2003년 세계적으로 ‘사스’의 먹구름이 드리워졌을 때, 자제공덕회는 ‘사랑으로 세상을 적셔 함께 질병을 구제하자’라는 구호와 함께, 사람들과 함께 소식(素食, 채식 위주의 소박한 식사) 운동으로 선행을 쌓아 천재와 인재, 질병을 없애자고 호소하였다.
오늘날 자제공덕회의 자선, 의료, 교육, 인문 등 ‘4대 지업(四大志業)’의 배경과 성장을 살펴보면 더욱 더 증엄 스님의 숭고한 보현행을 실감할 수 있다. 15세에 어머니의 위궤양 수술 때, ‘관세음보살’ 기도를 해 낫게 할 정도로 효성이 지극했다. 1960년, 한창 활동 중이던 부친이 입적하면서 인생의 무상을 절감한다. ‘도대체, 삶이란 어디서 왔다 죽으면 어디로 가지?’라는 의문이 생명에 대한 탐구의 계기가 되어, ‘남성과 마찬가지로 여성들도 자비심으로 사회에 참여하고, 전 인류에게 도움을 줘야 한다’는 결심을 한다.
수도 스님과 함께 타이똥의 루이에산의 낡은 왕모(王母) 사당에 들어가 낡은 『법화경』으로 구도행을 시작한다. 밤에는 주민들에게 경전을 가르치기도 했으며, 10월에는 일본어판 『법화경』을 중국어로 번역하였다.
루이에를 떠나 대만의 북부, 중부, 동부 등으로 만행하는 우여곡절 끝에 화리앤에 머물게 되었다. 하지만 삭발해 줄 은사가 없어, 스스로 삭발한 후 본격적인 출가생활을 하게 된다. 쉬총민(許聰敏)이라는 노거사와 인연을 맺어 수참(修參)이란 법명을 갖게 되었는데, 그때 25세였다.
인순(印順: 태허 대사의 뒤를 이어 ‘인간불교’를 제창한 대만 불교계의 최고 원로) 대사를 뵙게 된다. 수계식이 열리기 바로 전이라 급박한 시간이었지만 인순 대사는 스님을 위해 간소한 스승과 제자의 예를 갖추고 ‘증엄(證嚴)’이라는 법명, ‘혜장(慧璋)’이라는 자(字)를 내리며, 이렇게 법문을 설한다. “너와 나의 인연이 수승(殊勝)하구나. 출가를 했으니, 매 순간 불교와 중생을 위해 살아야 한다.” 인순 대사의 가르침대로 매순간 불교와 중생을 위해 살겠다는 서원이 형상화되는 뜻밖의 경험은 3년 뒤에 일어난다.
병실을 나오면서 병원 바닥에 피가 낭자한 것을 발견했다. 한 원주민 임산부가 난산으로 병원에 왔다가 의료비와 보증금이 없어 다시 들것에 실려 나갔다는 것이다. 이때 스님은 돈이 없어 생명이 죽어가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을 바라보며, 금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하게 된다. 그러나 돈이 있다고 한들, 환자의 위급할 때 의사의 손길이 닿지 못한다면 사람을 구하지 못하는 건 마찬가지 아닌가? 스님은 돌연 경전의 한 구절을 통해 새로운 발상을 하게 된다.
만약 관세음보살의 자비의 마음을 가진 500인이 각처에 흩어져 천수천안관세음보살처럼 중생의 아픔을 구제할 수 있지 않을까? 500여 중생의 손이 모이면 한 분의 천수관세음보살이 되지 않을까?’ 세계 최대의 자제공덕회 설립 이리하여 500명 단위로 조직된 단체가 일상생활 가운데서 천수천안관세음보살의 역할을 대행함으로써, 출세간의 정신을 다시 세간으로 돌리는 계기를 만들었다. 1966년 4월, ‘불교 국난극복 자제공덕회’가 설립되는 순간이다.
회원 30명에게 ‘대나무 저금통’을 나눠주어 매일 50전을 아껴 저금통에 모으면서 기금을 만들었다. 그때 하루에 매번 50전을 모으자고 하니, 동참하던 회원 한 명이 차라리 한 달에 15원을 기부하면 되지 않겠느냐며 스님께 건의했다. 하지만 증엄 스님은 이렇게 대답한다. “매일 저금하는 그 순간에 남을 돕겠다는 좋은 마음이 일지요. 그럼 한 달에 30번 그 마음을 일으키고 발원하는 셈이지요. 그건 한달에 15원을 기부하여 좋은 마음을 그저 한 번 일으키고 마는 것과는 매우 다릅니다.”
보살도를 실천할 수 있도록 인도하는 스님의 깊은 뜻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는 대목이다.
하지만 스님은 이에 만족하지 않고 사람들의 심성을 정화하기 위해 ‘문화 환경’과 ‘인문’ 분야에도 시각을 돌리게 된다. 스님은 98년 1월 대북, 화련 등 5개 지역에 위성방송,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갖춘 ‘대애(大愛)TV’를 개국한다. 이를 통해 스님은 사심 없이 사랑을 베푸는 ‘대애사상’을 실천하고 있으며, 격주간 신문 『자제도려(慈濟道侶)』나 중문·영문·일문 등 3개 국어로 발간하는 월간 잡지 『자제』 등을 발간하며 불법을 전하고 있다.
1만 1,837명의 자성대원, 전 세계적으로 400만 명의 회원을 확보하게 되었다. 6개 종합병원과 종합대학, 방송국, 잡지 등 산하시설 직원 수만 2천여 명에 이르는 세계 최대의 자선단체를 통해 보살행을 펼치고 있는 것이다.
스님의 중생구제는 단순히 사람들의 육체적 고통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의 고뇌를 제거하는 데 주안점이 있음은 물론이다.
천하에 내가 사랑하지 않는 사람이 없기를 True Love - Fumiya Fujii : http://cafe.daum.net/ekfnak/HxL7/323 증엄 스님 사진:http://cafe.daum.net/ssambosa/Lr1p/8 참고 자료: 월간 불광 |
............................................................................................................................
[공유] 대만자제공덕회 '증엄스님의 설화에 담긴 불교이야기'불교경전,가르침,볍문
* 증엄스님 기사글 블러그 첨부하니 참고하여보셔요
한국불교 대표방송 BTN | 한국불교대표방송 BTN
http://blog.naver.com/btnii/220617060844
첫댓글 일심 광명 화신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아미타 ()
감사합니다
일심 광명 화신 아미타 아미타 아미타불()()()
일심 광명 화신
아미타 아미타 아미타 아미타 아미타 아미타 아미타
자재정사의 정토사상에 입각한 자비행은 단연 모범으로서 높이 찬탄합니다. 그리고 그 자비행의 근본 사상 또한 그러하시길 믿습니다. 사상과 실천행이 일심정토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면 얼마나 더욱 희유할까...라는 막연한 생각을 해봅니다. 잘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한 단언이라기 보다는 어디나 누구나 보편적으로 구제 받기를 바라는 발원의 마음입니다.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일심 광명 화신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