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18세기 말 이벽을 중심으로 한
몇몇 실학자들의 학문적 연구로 그리스도교 신앙을 받아들였다.
이들 가운데 이승훈이 1784년 북경에서 ‘베드로’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돌아와
신앙 공동체를 이룸으로써 마침내 한국 천주교회가 탄생하였다.
선교사의 선교로 시작된 외국 교회에 견주면 매우 특이한 일이다.
그러나 당시의 조선은 충효를 중시하던 유교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어,
그리스도교와 크게 충돌하였다.
그 결과 조상 제사에 대한 교회의 반대 등으로 박해가 시작되었다.
신해 박해(1791년)를 시작으로 병인박해(1866년)에 이르기까지
일만여 명이 순교하였다.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께서는 ‘한국 천주교회 200주년’의 해인 1984년
우리나라를 방문하시어 이 순교자들 가운데 한국인 최초의 사제인 김대건 안드레아와
평신도인 정하상 바오로를 비롯하여 103명을 시성하셨다.
이에 따라 그동안 9월 26일에 지냈던 ‘한국 순교 복자 대축일’을 9월 20일로 옮겨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로 지내고 있다.
현재 한국 교회는 ‘주교회의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를 중심으로
순교자들의 시복 시성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예수님께서는 당신을 따르는 길을 알려 주신다.
곧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예수님을 위하여 목숨을 내어놓아야 한다.
목숨을 구하려는 사람이 오히려 목숨을 잃을 것이고,
목숨을 잃는 그 사람이 목숨을 구할 것이기 때문이다( 루카 9,23-26).
오늘은 한국 순교 성인의 대축일입니다.
이 땅의 103위 순교 성인은 오늘 복음에서 하신 예수님의 말씀을
그대로 믿고 실천하신 분들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정녕 자기 목숨을 구하려는 사람은 목숨을 잃을 것이고,
나 때문에 자기 목숨을 잃는 그 사람은 목숨을 구할 것이다.”
그런데 종교의 자유가 보장된 오늘의 우리에게는
선조들의 영웅적인 순교 이야기가 가슴 깊이 와 닿지 않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렇다면 오늘 예수님의 말씀을 우리가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까요?
오늘 복음 말씀에 나오는 ‘목숨’이라는 말은 영어로 ‘라이프’(life)입니다.
이 ‘라이프’는 ‘생명’ 또는 ‘목숨’으로 번역할 수도 있지만,
‘인생’이나 ‘생활’이라고도 번역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면에서 오늘의 말씀을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되새겨 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첫 번째로 ‘정녕 나 때문에 자기 인생을 바친 사람은
그 인생을 살리게 되는 것이다.’라고 새겨봅니다.
이는 수도자의 삶을 가리킨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신의 삶을 온전히 바쳐 주님을 증언하는 이가 바로 수도자이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로 ‘정녕 나 때문에 자기 생활을 바친 사람은
그 생활을 살리게 되는 것이다.’라는 생각입니다.
이 경우에는 우리 교우들, 곧 평신도들의 삶을 새겨볼 수 있습니다.
여가 활동이나 취미 생활 등 삶의 여러 부분에서
자신을 희생하며 주님을 증언하기 때문입니다.
공인된 말은 아니지만, 이 땅의 수많은 순교자들처럼
목숨을 바쳐 신앙을 지킨 것을 ‘적색 순교’라고 표현합니다.
또한 일생을 바쳐 신앙을 증언한 삶을 ‘백색 순교’,
일상생활을 주님께 봉헌하며 희생하는 삶을 ‘녹색 순교’라고도 합니다.
종교 박해가 없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순교의 또 다른 의미를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