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단(壟斷)
높이 솟은 언덕으로, 가장 좋은 자리를 차지하여 이익이나 권력을 독점하는 것을 뜻하며, 대개의 경우 비난하는 뜻이 담겨 있다.
壟 : 밭두둑 롱(土/16)
斷 : 끊을 단(斤/14)
출전 : 맹자(孟子) 송손추하(公孫丑下)
권세를 쥐고 마음대로 하는 것이 전횡(專橫)이다. 지금 나라를 참담하게 하고 있는 최순실이란 여인이 인척도 아니면서, 직책도 없으면서 대통령의 국정을 간섭하고 마음대로 휘둘렀다고 농단(壟斷)이라 했다.
전횡과 같은 뜻으로 쓰이지만 원뜻은 권세를 휘둘렀다기보다 매점매석3買占賣惜)에 가까웠다.
롱(壟)은 밭두둑이란 뜻 외에 언덕, 높고 평평한 돈대(墩臺)를 말하고 깎아지른 듯한(斷) 높은 지역이 농단이다.
높은 곳에 올라 지세를 살펴본 뒤 시장에서 가장 목이 좋은 곳을 차지하여 이익을 독차지 하는 것을 가리켰다. 여기에서 이익뿐 아니라 권력을 독점하고 마구 휘두르는 것을 비난하는 말로 쓰이게 됐다. 농단(籠斷), 농단지술(隴斷之術)도 같은 뜻이다.
옛날 온 세상이 평화롭고 사람들은 순박했을 때의 일이다. 그 때의 시장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물건을, 갖지 못한 물건과 바꾸는 곳이었고 이익에 눈이 벌건 사람은 없었다. 시장을 관리하는 사람은 그냥 지키기만 해서 지극히 한가했다.
한 교활한 사나이가 있어 시장에서 약간 높은 곳에 올라가 사방을 살펴보고는 목이 좋은 곳을 골라 시장의 이익을 그물질해 버렸다(有賤丈夫焉 必求龍斷而登之 以左右望而罔市利/ 유천장부언 필구롱단이등지 이좌우망이망시리).
용 룡(龍)은 언덕과 같은 뜻일 때는 롱, 없을 망(罔)은 시장의 이익을 망라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이 이후로 장사치에게 세금을 물리게 됐다고 한다.
맹자(孟子)의 공손추(公孫丑) 하편에 실려 있는 내용이다. 맹자는 왕도정치를 위해 제(齊)나라에 수년간 체류했으나 뜻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고향으로 돌아가려 하면서 이 이야기를 인용했다.
작별 인사차 찾아 뵌 선왕(宣王)이 도성에 집을 주고 만종의 녹을 주어 제자들을 육성하게 하겠다고 말했다. 맹자는 그 말을 듣고 자신의 의견도 채택되지 않는데 높은 봉록에 매달려 부를 독점하고 싶지 않다며 사양했다.
농단(壟斷)
높이 솟은 언덕으로, 가장 좋은 자리를 차지하여 이익이나 권력을 독점하는 것을 말하며 비난하는 뜻이 담겨 있다.
맹자(孟子)의 원문에는 용단(龍斷)으로 되어 있다. 원래 龍(용)자인데, 壟(농)과 같이 언덕이라는 뜻으로 쓸 때에는 농(壟)이라고 읽는다.
이 말은 맹자(孟子) 공손추(公孫丑) 하(下)편에 보인다. 맹자는 기원전 4세기 말 약 수년간 제(齊)나라의 정치 고문으로 있었다.
제나라의 선왕(宣王)은 도무지 그의 진언을 채택하여 주지 않았다. 그래서 맹자는 그 지위에서 물러나 고향으로 돌아가려고 하였다.
그것을 안 선왕이 시자(時子)라는 사람을 통하여 “나는 맹자께 집을 마련해 드리고, 만종(萬鐘: 1종은 여섯섬 4말)의 녹봉을 드려 제자들을 양성하게 하며, 여러 대부와 나라 사람들로 하여금 공경하고 본 받게 하고 싶소”라고 말하였다.
이 말을 들은 맹자가 말하였다. '나는 돈이나 재산을 바라는 것이 아닙니다. 만일 부(富)를 원하는 것이라면 제나라 정치 고문의 신분으로 10만 종의 녹봉을 마다하고, 새삼 1만 종을 받겠습니까?
일찍이 계손(季孫)이 말하기를, 자숙의(子叔疑)는 이상하다. 자기가 정치를 하다가 받아 들여지지 않았으면, 곧 그만 두고 말 것이지, 어찌하여 또 자제에게 그 자리를 대신 물려주었는가.
어떤 사람인들 부귀를 원하지 않으랴마는, 그는 남을 밀어 젖히고 부귀를 독차지한 것이다(私壟斷焉, 사농단언)라고 하였습니다.
또 옛날에는 시장에서 자기에게 남는 물건을 가지고 와서 자기에게 필요한 물건과 바꾸었으며, 시장을 다스리는 관리가 있어 부정한 거래행위를 단속하였습니다. 그러나 세금을 징수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런데 그 중에 한 욕심 많은 장사치가 있어 높이 솟은 언덕(壟斷)을 차지하고는 시장 전체를 둘러보고 이리저리 뛰어다니며 시장의 모든 이익을 독차지 하였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그자를 비난하였으며 관리도 이 장사치로부터 세금을 징수하게 되었는데, 그것이 상인에게서 세금을 징수하게 된 시초였습니다.'
맹자는 이익을 독차지하는 자숙의 처사나 욕심 많은 장사치의 소행을 못마땅하게 여겼으며, 선왕이 제의 한 1만종의 봉록은 거들떠 보지도 않고 제나라를 떠났다.
원래 농단(壟斷)이란 뜻은 깎아 세운 듯이 높이 솟은 언덕을 의미하는 말인데, 시장에서 가장 좋은 자리를 차지하여 이익이나 권력을 독점하는 것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비난하는 뜻이 담겨 있다.
원래 시장이라는 곳은 내가 가지고 있는 물건으로 나에게 없는 필요한 물건을 교환하는 곳을 말한다.
그러나 이렇게 농단(壟斷)하는 모리배들이 있어 시장의 원리를 왜곡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맹자는 장사꾼을 말리자(末利者) 즉 이끗을 취하는 사람들이라고 완곡하게 표현하기도 했다.
맹자는 대를 이어 부귀와 권세를 누리려고 했던 자숙의나 욕심 많은 장사치의 소행을 사회 전반의 보편적인 정서에 부합되지 않는 것이라 여겨 일침을 가했던 것이다.
지금 우리 사회에는 농단(壟斷)을 일삼는 말리자들이 각계 각층에서 횡행하고 있다. 현실이 날로 각박해져 간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렇다고 해서 우리는 사회의 이런 모습에 결코 절망하지 않는다. 언제나 묵묵히 일하는 참일꾼들이 곳곳에 숨어서 지켜보며 제 역할을 열심히 해내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의 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들 말리자들의 농단(壟斷)에 부화뇌동하지 않고, 작지만 진실된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옥석을 가려 판단할 줄 안다면 더 선진화된 건강한 사회가 빨리 오지 않겠는가.
농단(壟斷)
간단한 문제부터 하나. 누구나 알지만 아무도 모르는 게 뭘까? 답은 인문고전이다. 농(弄)을 절반쯤 섞었다. 공자 맹자가 나오면 누구나 한마디씩 거든다. 그러다 얘기가 조금 깊어지면 슬그머니 꽁무니를 뺀다.
간음한 여인을 죽이라며 아우성치던 자들이 ‘죄 없는 자부터 돌을 던지라’라는 예수의 말에 조용히 자리를 뜬 격이다. 무식이 부끄러워 꽁무니를 빼고, 죄가 부끄러워 자리를 떴다. 진짜 부끄러운 건 뉘우치지 않는 거다. 과오를 되풀이하고, 죄를 거듭 짓는 거다.
농단(壟斷)은 지난 겨울을 앞뒤로 신문을 도배하다시피 한 단어다. 대한민국의 부끄러운 민낯은 이 말에 고스란히 담겼다. 그것도 작은 농단이 아닌 ‘국정농단’이다.
한데 정작 농단의 뜻을 제대로 아는 사람은 드물다. 그저 대충 그런 뜻이려니 하며 쓰고 읽는다. 적당히 모르면 적당히 통한다. 물론 농단의 어원을 모른다고 ‘무식’을 붙이는 건 어불성설이다. 사실은 나도 일 년 전쯤에 그 뿌리를 알았다.
시장에서 물건을 사고파는 행위에 세금이 부과된 연유가 맹자 공손추편에 나온다. 맹자가 말했다. “누군들 부귀해지기를 원하지 않겠는가마는 ‘유독 높은 곳’에서 혼자 이익을 독차지하려는 자가 있다.”
농단은 바로 여기서 언급된 ‘유독 높은 곳’이다. 언덕 농(壟) 끊을 단(斷), 즉 깎아지른 듯이 높은 언덕이 농단이다.
맹자의 말을 더 풀어보자. 옛날 시장은 남는 물건을 가지고 나와 모자란 물건과 맞바꾸는 장소였다. 시장 관리는 그 교환이 바른지를 지켜보는 정도였다.
한데 한 사내, 맹자의 표현을 빌리면 한 천부(賤夫)가 시장이 훤히 내려다 보이는 높은 곳(壟斷)에 올라가 사람들의 움직임을 꿰고 시장 이익을 그물질하듯 거둬갔다. 사람들은 모두 그를 천하게 여겼고, 그 이후로 시장에는 세금이 생겼다.
농단은 본래 가파른 언덕 꼭대기란 뜻이었지만 높은 곳에 올라 정보를 독점하고, 그 정보를 이용해 이익을 독식한다는 뜻으로 쓰임이 옮겨갔다.
인간은 높아지기를 바란다. 지위가 높아지고, 권력이 강해지고, 인기가 오르기를 꿈꾼다. 아파트 또한 아찔할 만큼 높아진다. 내려보려는 건 인간의 본능적 욕구다. 누구나 산 정상에서 쾌감을 느낀다.
높은 곳에선 두루 보인다. 정보가 보이고, 이익이 보이고, 사람이 보인다. 그러니 누구나 높이 오르려 한다. 높은 곳에선 내려다본다. 인간은 지그시 내려다 보면서 스스로를 대견하게 생각한다.
한비자의 말처럼 한 자 나무도 높은 꼭대기에 서 있으면 천길 아래를 내려다 볼 수 있다. 그건 나무가 높아서가 아니라 위치가 높기 때문이다.
인간은 가장 높을 때, 그리고 가장 낮을 때 민낯을 드러낸다. 높은 곳에선 거만하고, 낮은 곳에서 비굴해진다. 높은 곳에서 낮추는 게 진정한 인격이다. 그곳에서 군림하지 않고, 이익을 독식하지 않고 아래를 굽어 살피는 게 진정한 리더다.
낮은 곳에서 비굴하지 않는 게 진정한 자존이다. 스스로 일어서 한 걸음 두 걸음 내딛는 게 진정한 용기다.
우리 모두 높아지자. 내일은 오늘보다 조금 더 나아가고, 조금 더 올라가자. 하지만 우리의 마음만은 본래의 그 자리에 그대로 두자.
농단(壟斷)
깎아 세운 듯한 높은 언덕이란 뜻으로
이익이나 권리를 독차지함을 이르는 말이다.
맹자(孟子)
시장에서 물건을 사고파는 행위에 세금이 부과된 연유가 맹자 공손추편에 나온다.
맹자가 말했다. “누군들 부귀해지기를 원하지 않겠는가마는 ‘유독 높은 곳’에서 혼자 이익을 독차지하려는 자가 있다.”
농단은 여기서 언급된 ‘유독 높은 곳’이다. 언덕 농(壟) 끊을 단(斷), 즉 깎아지른 듯이 높은 언덕이 농단이다.
맹자의 말을 더 풀어보자. 옛날 시장은 남는 물건을 가지고 나와 모자라는 물건과 맞바꾸는 장소였다. 시장 관리는 그 교환이 바른지를 지켜보는 정도였다.
한데 한 사내, 맹자의 표현을 빌리면 한 천부(賤夫)가 시장이 훤히 내려다보이는 높은 곳(壟斷)에 올라가 사람들의 움직임을 꿰고 시장 이익을 그물질하듯 거둬갔다. 사람들은 모두 그를 천하게 여겼고, 그 이후로 시장에는 세금이 생겼다.
농단은 본래 가파른 언덕 꼭대기란 뜻이었지만 높은 곳에 올라 정보를 독점하고, 그 정보를 이용해 이익을 독식한다는 뜻으로 쓰임이 옮겨갔다.
인간은 누구나 높아지기를 바란다. 지위가 높아지고, 권력이 높아지고, 인기가 높아지기를 꿈꾼다. 높은 곳에서 내려다 보려는 건 인간의 본능적 욕구다. 높은 곳에선 두루 보인다. 정보가 보이고, 이익이 보이고, 사람이 보인다. 그러니 누구나 높이 오르려 한다.
한비자의 말처럼 한 자 나무도 꼭대기에 서 있으면 천 길 아래를 내려다본다. 그건 나무가 높아서가 아니라 위치가 높기 때문이다.
인간은 가장 높을 때, 그리고 가장 낮을 때 민낯을 드러낸다. 높은 곳에서는 거만하고, 낮은 곳에선 비굴해진다. 높은 곳에서 낮추는 게 진정한 인격이다.
높은 곳에서 군림하지 않고, 이익을 독식하지 않고, 아래를 굽어살피는 게 진정한 리더다. 낮은 곳에서 비굴해지지 않는 게 진정한 자존이다. 스스로 일어서 한 걸음 두 걸음 내딛는 게 진정한 용기다. 진정한 선진국은 ‘농단’이란 말이 낯선 나라다.
▶️ 壟(밭두둑 롱/농)은 형성문자로 垅(롱), 壠(롱), 隴(롱)과 동자(同字), 垄(롱)은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흙 토(土; 흙)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龍(롱)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그래서 壟(롱)은 ①밭두둑, 밭두렁(밭이랑의 두둑한 부분) ②밭이랑(밭의 고랑 사이에 흙을 높게 올려서 만든 두둑한 곳) ③언덕 ④구릉 ⑤돈대(墩臺: 높게 두드러진 평평한 땅) ⑥무덤 ⑦뫼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언덕 구(丘), 언덕 구(坵), 언덕 아(阿), 언덕 릉(陵), 밭두둑 정(町), 밭두둑 휴(畦), 언덕 부(阜)이다. 용례로는 밭의 경계를 농반(壟畔), 깎아 세운 듯이 높이 솟은 언덕으로 이익을 독점함을 비유를 농단(壟斷), 농단하는 재주를 농단지술(壟斷之術), 언덕 토는 조상의 산소를 롱(丘壟), 흙을 모아 쌓아서 임시로 간단히 만든 무덤을 토롱(土壟), 깎아지른 듯한 언덕을 단롱(斷壟), 논밭의 두둑 이랑을 주롱(疇壟) 등에 쓰인다.
▶️ 斷(끊을 단)은 ❶회의문자로 부수(部首)를 나타내는 斤(근; 도끼, 끊는 일)과 계(실을 이음)의 합자(合字)이다. 나무나 쇠붙이를 끊다, 일을 해결함을 말한다. ❷회의문자로 斷자는 ‘끊다’나 ‘결단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斷자는 㡭(이을 계)자와 斤(도끼 근)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㡭자는 실타래가 서로 이어져 있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잇다’나 ‘이어나가다’라는 뜻을 갖고 있다. 이렇게 실타래가 이어져 있는 모습을 그린 㡭자에 斤자를 결합한 斷자는 실타래를 도끼로 자르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斷(단)은 (1)결단(決斷) 단안 (2)번뇌(煩惱)를 끊고 죽음에 대한 공포를 없애는 일 등의 뜻으로 ①끊다 ②결단하다 ③나누다 ④나누이다 ⑤결단(決斷) ⑥단연(斷然: 확실히 단정할 만하게) ⑦조각 ⑧한결같음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끊을 절(切),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이을 계(繼), 이을 속(續)이다. 용례로는 일단 결심한 것을 과단성 있게 처리하는 모양을 단호(斷乎), 먹는 일을 끊음으로 일정 기간 음식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먹지 아니함을 단식(斷食), 딱 잘라서 결정함을 단정(斷定), 죄를 처단함을 단죄(斷罪), 유대나 연관 관계 등을 끊음을 단절(斷絶), 결단하여 실행함을 단행(斷行), 끊어졌다 이어졌다 함을 단속(斷續), 확실히 단정할 만하게를 단연(斷然), 끊어짐이나 잘라 버림을 단절(斷切), 생각을 아주 끊어 버림을 단념(斷念), 열이 전도되지 아니하게 막음을 단열(斷熱), 주저하지 아니하고 딱 잘라 말함을 단언(斷言), 교제를 끊음을 단교(斷交), 어떤 사물의 진위나 선악 등을 생각하여 판가름 함을 판단(判斷), 막아서 멈추게 함을 차단(遮斷), 의사가 환자를 진찰하여 병상을 판단함을 진단(診斷), 중도에서 끊어짐 또는 끊음을 중단(中斷), 옷감 따위를 본에 맞추어 마름을 재단(裁斷), 옳고 그름과 착함과 악함을 재결함을 결단(決斷), 끊어 냄이나 잘라 냄을 절단(切斷), 남과 의논하지 아니하고 자기 혼자의 의견대로 결단함을 독단(獨斷), 잘라서 동강을 냄을 분단(分斷), 가로 자름이나 가로 건넘을 횡단(橫斷), 창자가 끊어진다는 뜻으로 창자가 끊어지는 듯하게 견딜 수 없는 심한 슬픔이나 괴로움을 단장(斷腸), 쇠라도 자를 수 있는 굳고 단단한 사귐이란 뜻으로 친구의 정의가 매우 두터움을 이르는 말을 단금지교(斷金之交), 베를 끊는 훈계란 뜻으로 학업을 중도에 폐함은 짜던 피륙의 날을 끊는 것과 같아 아무런 이익이 없다는 훈계를 이르는 말을 단기지계(斷機之戒), 긴 것은 자르고 짧은 것은 메워서 들쭉날쭉한 것을 곧게 함을 이르는 말을 단장보단(斷長補短), 남의 시문 중에서 전체의 뜻과는 관계없이 자기가 필요한 부분만을 따서 마음대로 해석하여 씀을 일컫는 말을 단장취의(斷章取義), 단연코 용서하지 아니함 또는 조금도 용서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을 단불용대(斷不容貸), 떨어져 나가고 빠지고 하여 조각이 난 문서나 글월을 일컫는 말을 단간잔편(斷簡殘篇), 머리가 달아난 장군이라는 뜻으로 죽어도 항복하지 않는 장군을 이르는 말을 단두장군(斷頭將軍), 단발한 젊은 미인으로 이전에 흔히 신여성의 뜻으로 쓰이던 말을 단발미인(斷髮美人), 오로지 한 가지 신념 외에 다른 마음이 없음을 이르는 말을 단단무타(斷斷無他), 단단히 서로 약속함을 이르는 말을 단단상약(斷斷相約), 조금이라도 다른 근심이 없음을 이르는 말을 단무타려(斷無他慮), 무른 오동나무가 견고한 뿔을 자른다는 뜻으로 부드러운 것이 능히 강한 것을 이김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오동단각(梧桐斷角), 어물어물하기만 하고 딱 잘라 결단을 하지 못함으로 결단력이 부족한 것을 이르는 말을 우유부단(優柔不斷), 말할 길이 끊어졌다는 뜻으로 너무나 엄청나거나 기가 막혀서 말로써 나타낼 수가 없음을 이르는 말을 언어도단(言語道斷), 죽고 사는 것을 가리지 않고 끝장을 내려고 덤벼듦을 일컫는 말을 사생결단(死生決斷), 어미원숭이의 창자가 끊어졌다는 뜻으로 창자가 끊어지는 것 같은 슬픔과 애통함을 형용해 이르는 말을 모원단장(母猿斷腸), 시작한 일을 완전히 끝내지 아니하고 중간에 흐지부지함을 이르는 말을 중도반단(中途半斷)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