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랜드 | 2017년 1분기 판매량 | 시장점유율 | 2016년 1분기 판매량 | 시장점유율 |
삼성 | 78,671.4 | 20.7 | 81,186.9 | 23.3 |
애플 | 51,992.5 | 13.7 | 51,629.5 | 14.8 |
화웨이 | 34,181.2 | 9.0 | 28,861.0 | 8.3 |
OPPO | 30,922.3 | 8.1 | 15,891.5 | 4.6 |
VIVO | 25,842.2 | 6.8 | 14,001.0 | 4.0 |
기타 | 158,367.7 | 41.7 | 156,654.2 | 45.0 |
자료원: Gatner
ㅇ 중국 시장: OPPO 판매량 1위, 화웨이 출고량 1위
- 중국 국내시장의 판매량은 OPPO가 1위를 차지하고 그 뒤에 화웨이, VIVO, 애플, 샤오미가 뒤따르고 있음.
2017년 1분기 중국 시장 판매량 5대 브랜드
(단위: 백만 대)
순위 | 브랜드 | 중국 시장 판매량 | 브랜드 | 중국 시장 출하량 |
1 | OPPO | 21.2 | 화웨이(华为) | 34.5 |
2 | 화웨이(华为) | 20.8 | OPPO | 28.1 |
3 | VIVO | 18.2 | VIVO | 22.5 |
4 | 애플 | 12.4 | 샤오미(小米) | 12.8 |
5 | 샤오미(小米) | 8.1 | 레노버 | 11.5 |
자료원: shoujibao
ㅇ 2017년 1분기 휴대폰 모델별 판매 순위 TOP 20
- 소비자의 입맛에 맞는 빠른 신규 모델 출시로 중국산 브랜드의 영향력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
순위 | 모델명 | 순위 | 모델명 | 순위 | 모델명 |
1 | OPPO R9s | 8 | OPPO A59 | 15 | iPhone 7 |
2 | VIVO X9 | 9 | 화웨이 NOVA | 16 | 화웨이 창샹6S |
3 | 화웨이 Mate9 | 10 | OPPO A37 | 17 | VIVO X9 plus |
4 | 화웨이 마이망5 | 11 | iPhone 7 plus | 18 | OPPO R9s plus |
5 | 훙미4A | 12 | VIVO Y66 | 19 | 메이주 Note5 |
6 | VIVO Y67 | 13 | 화웨이 P9 | 20 | 화웨이 룽야우6X |
7 | OPPO A57 | 14 | VIVO Y55 | | |
자료원: 南方财富网
□ 2017년 상반기 중국 시장 대표 휴대폰은?
ㅇ 화웨이(华为) 룽야우(荣耀)9
- 양면 유리재질로 디자인된 화웨이 룽야우9 모델은 3D곡면 유리커버로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보일 수 있어 외관에 대해 높은 평가를 받고 있음.
- 실체 홈버튼으로 디자인돼서 지문인식 잠금해제 및 휴대폰 작동이 편리함.
- 카메라는 화웨이 P10모델의 후면카메라 2000만+1200만 화소 흑백 컬러카메라의 듀얼 카메라 조합을 삽입해 야간촬영과 인물촬영의 효과를 제고함.
- 음질방면에서는 전문가급 Hi-Fi칩 및 특수음 효과처리 기능을 삽입해 더 맑은 음질을 구현
자료원: 搜狐科技
ㅇ VIVO X9
- 얼굴셀카(美颜自拍)를 판매 포인트로 하는 VIVO브랜드는 혁신적으로 전면 카메라를 2000만 화소로 삽입하고, 유광등(柔光灯)을 이용해 셀카효과를 확대
- 외관은 아이폰 7과 비슷한 U형 나노미트 사출 안테나를 선택했고, 금속케이스는 불투명 효과를 더함.
자료원: 搜狐科技
ㅇ OPPO R11
- 전후면 카메라를 모두 2000만 화소를 삽입했고 전문 초점 인물촬영 기능으로 셀카를 포함한 높은 촬영효과를 자랑
- 곡면 금속케이스는 세련미를 갖춰 젊은 층에서 인기가 높음.
자료원: 搜狐科技
ㅇ 샤오미(小米) 6
- 높은 가성비를 자랑하는 샤오미의 타모델과 동일하게 샤오미 6 제품 역시 같은 가격대의 타브랜드와 비교해 높은 성능 및 하드용량(6GB)을 자랑함.
- 샤오미 5에 이어 유리와 도자기 케이스로 디자인됐으며 뒷면 듀얼 카메라(1200만 화소) 삽입으로 촬영기능 탁월
자료원: 搜狐科技
ㅇ 화웨이(华为) Nova2
- 화웨이의 셀카 휴대폰으로 불리는 Nova2는 젊은 층을 주 타깃으로 디자인
- 전면 2,000만 화소의 카메라와 후면 듀얼 카메라의 조합은 화웨이 휴대폰의 높은 촬영기능을 자랑
자료원: 搜狐科技
□ 2017년 하반기 시장 전망
ㅇ 케이스 디자인 경쟁 심화
- 삼성 갤럭시 S7 edge의 출시 이후 곡면 유리커버를 채택하는 메이커가 증가 추세. 일부 휴대폰 제조업체는 양면 곡면 유리커버 설계도 출시
자료원: 搜狐科技
- 휴대폰 프레임의 소폭화(窄边框)와 휴대폰 무프레임(无边框)은 대다수 휴대폰 제조상이 추구하고 있으나 기술 한계로 제약
-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달에 따라 프레임 디자인도 더욱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며 화면비율도 점차 커질 것으로 예상
자료원: 搜狐科技
- 샤오미(MI)MIX가 도자기 화면에 도전하며 많은 이목을 끌었지만, 원가가 너무 높은 단점이 있었음. 향후 각종 신소재, 신기술을 활용해 지속적인 원가감소 추진 전망
- 휴대폰의 금속 케이스는 최근 2년 휴대폰 신규 모델의 주요 트렌드로 2017년에도 이어질 전망. 새로운 안테나 기술도입으로 외관 디자인은 더욱 개선될 것으로 예상
- 이어폰 등 부품이 점차 기타 기능으로 대체되면서 사라질 것으로 예상
ㅇ 하드웨어 용량 확대
- 64비트 CPU가 점점 보편화될 것으로 예상
- 휴대폰의 성능 제고에 따라 VR 및 AR에 대한 관심은 지속 높아질 전망
자료원: 搜狐科技
ㅇ 휴대폰 기능 경쟁 심화
- OLED 화면은 고급시장을 점령할 것으로 예상
- 듀얼 카메라·스피커가 점차 휴대폰의 기본 세팅으로 자리잡을 전망
- 베터리 용량 확대, 고압 쾌속 충전, 저압 충전이 보급화될 것으로 예상
- 터치식 지문인식 기술에서 음파 지문인식, 홍체인식 등의 기술로 진화
자료원: 搜狐科技
□ 시사점
ㅇ 중국산 브랜드 약진 지속
- 2017년에도 중국산 브랜드는 휴대폰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
- 중국 소비자의 입맛에 맞는 여러 가지 기능을 탑재한 다양한 모델을 신속히 출시하며 시장을 확대할 전망
ㅇ 업체 간 경쟁 가속화
- 전년대비 판매량의 소폭 감소세가 나타나는 가운데 시장점유율 확대를 위한 업체 간 경쟁은 심화될 전망
- 가격경쟁보다는 젊은 소비자의 입맛을 맞추기 위한 고기능, 신디자인 경쟁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임.
ㅇ 첨단기술 수요 증대
- 중장기적으로 타사와의 경쟁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고기능 부품과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음.
- 제품 차별화가 가능한 한국산 부품과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 관련 기업의 시장 진출 가능성 다대
자료원: TechWeb, ithome, 搜狐科技, Gartner, KOTRA 선전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