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9일 연중 제2주일 복음 묵상 (요한 2,1-11) (이근상 신부)
그때에 1 갈릴래아 카나에서 혼인 잔치가 있었는데, 예수님의 어머니도 거기에 계셨다. 2 예수님도 제자들과 함께 그 혼인 잔치에 초대를 받으셨다. 3 그런데 포도주가 떨어지자 예수님의 어머니가 예수님께 “포도주가 없구나.” 하였다. 4 예수님께서 어머니에게 말씀하셨다. “여인이시여, 저에게 무엇을 바라십니까? 아직 저의 때가 오지 않았습니다.” 5 그분의 어머니는 일꾼들에게“무엇이든지 그가 시키는 대로 하여라.” 하고 말하였다. 6 거기에는 유다인들의 정결례에 쓰는 돌로 된 물독 여섯 개가 놓여 있었는데, 모두 두세 동이들이였다. 7 예수님께서 일꾼들에게 “물독에 물을 채워라.” 하고 말씀하셨다. 그들이 물독마다 가득 채우자, 8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다시, “이제는 그것을 퍼서 과방장에게 날라다 주어라.” 하셨다. 그들은 곧 그것을 날라 갔다. 9 과방장은 포도주가 된 물을 맛보고 그것이 어디에서 났는지 알지 못하였지만, 물을 퍼 간 일꾼들은 알고 있었다. 그래서 과방장이 신랑을 불러 10 그에게 말하였다. “누구든지 먼저 좋은 포도주를 내놓고, 손님들이 취하면 그보다 못한 것을 내놓는데, 지금까지 좋은 포도주를 남겨 두셨군요.” 11 이렇게 예수님께서는 처음으로 갈릴래아 카나에서 표징을 일으키시어, 당신의 영광을 드러내셨다. 그리하여 제자들은 예수님을 믿게 되었다.(요한2,1-11)
예정설이란게 있다. 운명이란게 미리 다 정해져 있다는 주장이다. 인간의 노력이나 움직임 따위는 정해진 운명을 피할 수 없다. 이런 저런 노력을 하지만 근본적인 운명을 바꿀 수는 없다는 것. 믿는 이들은 이런 식의 예정설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우리의 운명이란 하느님의 자비와 우리의 응답에 따라 매 순간 새로운 길을 연다는게 우리의 믿음이다.
카나에서의 기적은 이 좋은 예다. 기적의 때가 아니었으나 예수와 어머니 마리아는 기적의 때를 만들었다. 청하기만 하면 뭐든 다 이루어진다는 예가 아니다. 어머니는 청하였으나 동시에 무엇이든 그가 시키는대로 다 따르리라는 청이었다. 예수께서 포도주를 채웠을 수도 있고, 아니 채웠을 수도 있다. 서로가 서로에게 믿고 청하며 자유롭게 응답한다. 그리고 때란 이렇게 새로운 때로 우리에게 선물이 된다.
우리의 부족함 속에서 안달치 않으며 있는 그대로 우리의 부족함을 아뢰는 것. 채워주시기를 청하는 것. 그리고 거기까지. 그에게 모든 것을 맡기며 그 모든 것을 따르는 것. 우리의 청은 청의 내용이 아니라 우리의 청을 받아시는 분을 향한다. 그 분의 선택이 결국 가장 좋은 것이리라 믿음으로 이제 온전한 자유로 나아간다. 이에 주님은 우리의 청 그대로를 들어주실 수도 있고, 때에 따라 반대의 방향으로 우리를 이끄시기도 하며 때로는 그 중간 어딘가에서 멈추시기도 할 것이다. 그게 가장 좋은 응답이리라 귀기울이고 그 응답에 다시 기쁨으로 응답하는 것.
청함이란 이렇게 함께 해나가는 여정. 새로운 만남으로의 여정이다.
출처: https://www.facebook.com/share/p/18BP7vx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