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부 수소 혼입 R&D 과제 수행기관 간담회 개최
수소 안전관리 로드맵 2.0따라 수소 혼입 안전기준 개발
[국토일보 조성구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도시가스 배관망에 수소를 혼입하는 기술에 예산 280억원을 들여 연구 개발에 나선다.
정부는 전국 곳곳에 연결돼 있는 도시가스 배관망을 이용해 각 가정까지 수소를 공급, 탄소 배출을 줄이고 대규모 수소 유통의 경제성 효과까지 확보할 수 있는 수소 혼입 기준을 마련, 미래 수소사회를 대비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도시가스에 수소를 혼입해 공급하는 것은 안전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수소 혼입 기술은 도시가스 배관 및 연소기·가스기기 등의 수소 혼입 안전성 검증 기술·시험장치 개발 및 실증을 통한 안전기준 마련이 우선돼야 한다.
기술이 완성되면 도시가스 배관 내 수소 20% 혼입 시 연간 765만톤의 CO2 감축 효과로 단일 분야로는 상당한 이산화탄소 감축량 기여가 예상된다.
산업부는 관련 기관 및 기업과 국민들이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스시설(보일러, 가스레인지 등)을 포함한 수소 혼입 전주기(제조-공급-사용) 안전성 검증 등 기술 개발에 총 280억원을 투자해 2026년까지 선제적으로 안전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16일 한국가스안전공사 대회의실에서 '도시가스 배관망 수소 혼입 간담회'를 개최하고 산학연 전문기관과 함께 수소 혼입 과제 착수회의를 실시했다.
관계자들은 현재 사용 중인 도시가스 배관에 최대 20%의 수소 혼입을 목표로 안전성 검증 방안 등을 논의하고 상호 협력을 약속했다.
이옥헌 산업부 수소경제정책관은 "정부는 '수소 안전관리 로드맵 2.0'을 통해 청정수소를 안전하게 생산 활용할 수 있도록 수소 혼소 발전, 도시가스 수소 혼입 등에 필요한 안전기준을 선제적으로 마련해 온실가스 감축 및 수소경제를 가속화 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