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 동면 구봉산 중턱에 조성된 네이버 도시첨단산업단지가 당국의 준공 인가를 받고 본격 가동에 돌입했다. 외곽도로를 횡단한 10만여㎡의 거대한 규모의 위용이 한눈에 느껴진다. 그러나 이를 주시하는 지역사회에는 불편한 기색이 역력하다. 현실적으로 나타난 지역기여도가 산단 유치 당시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네이버(주) 유치 당시 강원도와 춘천시에서는 단계적으로 네이버 본사와 연구소, 사업장까지 모두 이전하게 될 것이라며 애드벌룬을 띄웠다. 이에 따라 시민들은 춘천이 한국 IT 분야를 선도하는 도시특화 브랜드를 갖게 됐다고 반겼다. 따라서 토지취득세 53억여 원 감면과 기반시설비 19억여 원 등 모두 72억 원의 혜택을 준 것에 대해 별다른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그러나 막상 산업단지의 면모가 드러나자 춘천시의회에서조차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춘천시의회의 한 의원은 “당초 기대했던 지역경제 기여 효과에 미치지 못한다”며 시에 대책을 요구하기까지 했다. 네이버 본사는 경기도 분당에 그대로 있고 춘천 산단에는 인터넷데이터센터(IDC)와 연수원, 연구시설이 전부인 탓이다. 여기에 근무하는 인원도 고작 110여 명에 불과하다고 한다. 90여 명을 추가 채용할 것으로 알려졌으나 산단의 규모나 사업 분야에 비춰보면 일자리 창출효과는 미미하다. 더구나 산단의 역할이 수익을 내는 분야도 아니어서 지자체의 세 수입도 기대하기 어렵다.
정황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근간인 향토기업들이 분통해할 만하다. 갖가지 혜택을 주고 유치한 기업이 지역사회에의 기여를 등한시하면 상식에 어긋난다. 산단의 역량이 충실히 발휘돼 지역발전을 견인해야 마땅하다. 정부가 이곳을 `창조경제혁신센터'로 선정한 이유다. 긴밀한 산학협력, 지속적인 고용 창출 등을 통해 지역사회에서 IT문화가 발현되게 하는 것이 책무임을 재삼 강조한다.
2014.11.06 - 강원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