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상공인 창업 및 경영안정자금 비교 | ||||
운영주체 | 경상남도 | 중소기업청 | 창원시 | 김해시 |
재원 | 200억원 | 4000억원 | 1600억원 | 100억원 |
경상남도 중소기업 육성기금 |
중소기업청 공공자금관리기금 |
창원시 중소기업육성기금 |
김해시 중소기업육성기금 |
|
대상 | 도내 사업장을 둔 소상공인 |
소상공인 (교육 및 컨설팅 이수자) |
창원시 사업장 등록된 소상공인 | 김해시 사업장 등록된 소상공인 |
대출자금 용도 |
창업자금, 시설개선, 운전자금 |
창업자금, 시설개선, 운전자금 |
창업자금, 시설개선, 운전자금 |
창업자금, 시설개선, 운전자금 |
대출한도 및 이율 |
5000만원 4% 내외 |
5000만원 3~3.75% |
창업자금:2000만원 경영자금:5000만원 1년간 2.5% 이차보전 |
창업자금:2000만원 경영자금:5000만원 2년간 2.5% 이차보전 |
상환방법 | 1년 거치 3년 분할상환 |
1년 거치 4년 분할상환 |
1년 일시상환 또는 1년 거치 2~4년 분할상환 |
1년 일시상환 또는 1년 거치 2~4년 분할상환 |
취급은행 | 농협, 경남은행 | 시중은행, 지방은행, 새마을금고 |
창원시 소재 시중은행및 지방은행, 지역 농·수협, 신협, 새마을금고 | 김해시 소재 시중은행,지방은행, 새마을금고 |
창업을 하려면 준비해야 할 것이 한둘이 아니다. 아이템을 정해야 하고, 상권 분석과 입지 선정도 필요하다. 인력을 어떻게 운용할 것인지도 중요하다. 그러나 이런 모든 절차에 앞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자금’ 마련이다. 지난 3년간 성공창업에 이른 이들을 만나면서 들은 고민도 바로 ‘자금’이었다. 그들 대부분은 정부에서 지원하는 창업자금을 지원받아 창업에 성공했다. 소상공인 창업자금과 경영안정자금에는 어떤 것들이 있고 어떻게 지원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자.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지원하는 창업자금은 점포보증금, 권리금을 포함해 총 창업소요금액의 50%까지 신청할 수 있고, 최대 5000만원까지 지원한다. 창업 준비 중일 경우에는 사업장을 확보한 후 인테리어 진행 중이라도 신청이 가능하다.
창업 이후 6개월 이내인 경우에는 창업자금으로, 그 이후에는 경영안정자금 명목으로 지원받을 수 있으니 활용해 보자.
▲중소기업청 창업자금= 중소기업청이 지원하는 창업자금은 △우선지원자금 △정부지원사업자금 등으로 나뉜다.
우선지원자금은 소상공인지원센터에서 시행하는 창업패키지교육 등 각종 창업 관련 교육 이수자와 자영업 컨설팅을 받은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
정부지원사업자금은 △프랜차이즈 가맹점 창업 지원 △시니어 창업 지원 △신사업 개발 지원 △스마트 인터넷 카페 지원 △장애인 창업 및 기업 활동 지원 △장기실업자 등 창업 지원 등이다.
융자 조건은 매 분기별로 달라지는데, 참고로 올해 3분기는 3.89%, 4분기는 3.67%로 책정돼 있다. 단 장애인 창업자는 특별 대출금리로 3%의 고정금리가 적용된다.
대출한도는 5000만원(장애인 창업자 1억원) 이내로, 대출기간은 5년 이내(거치기간 1년 포함)이다. 장애인 창업자는 7년 이내다.
거치 한도 기간 후 상환 기간 동안 대출금액의 70%는 3개월(또는 1개월)마다 균등 분할 상환하고 30%는 상환기간 만료 시에 일시상환하면 된다.
대출 취급은행은 국민, 기업, 신한, 우리, 외환, 한국씨티, 하나, 부산, 대구, 광주, 전북, 경남, SC제일, 제주은행, 농협중앙회, 저축은행중앙회, 수협중앙회, 새마을금고 등이다.
가까운 소상공인지원센터에서 상담을 받은 후 자금을 신청할 수 있다. 준비서류는 신분증, 사업자등록증, 생계형 적용 업종인 숙박업, 노래연습장운영업은 최근 3개월 이내의 국민건강보험료 납입영수증 사본 등이다.
신용보증서는 지역 신용보증재단이나 신용보증기금에서 발급받으면 된다.
도내 소상공인지원센터는 창원센터(☏ 275-3261), 김해센터(☏ 323-4960), 진주센터(☏ 758-6701), 통영센터(☏ 648-2107), 마산분소(☏ 243-5302), 거창분소(☏ 941-1020) 등이다.
▲도내 지자체 창업자금 지원= 중기청 외에 도내에서도 경상남도와 창원시, 김해시가 ‘중소기업 육성기금’을 마련해 운용하고 있다.
경남도는 총 200억원의 재원을 마련해 도내에 사업장을 둔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창업자금과 시설개선자금, 운전자금 등을 지원한다.
대출한도는 5000만원 이내이며, 이자는 4% 내외다. 1년 거치 3년 분할상환하면 되고, 농협과 경남은행을 통해 자금을 대출받을 수 있다.
창원시는 총 1600억원을 재원으로 창원시에 사업장 등록된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창업·시설개선·운전자금 등을 지원한다.
창업자금은 2000만원 이내, 경영자금은 5000만원 이내로, 1년간 2.5% 이차보전한다.
1년 일시상환 또는 1년 거치 2~4년 분할 상환이 가능하고, 창원 소재 시중은행 및 지방은행, 지역 농·수협, 신협, 새마을금고에서 취급한다.
김해시는 총 100억원의 기금을 마련했으며, 김해시에 사업장 등록된 소상공인을 지원한다. 창업자금과 시설개선, 운전자금 등이다.
1년 일시상환 또는 1년 거치 2~4년 분할 상환하면 되고, 김해시 소재 시중은행 및 지방은행, 새마을금고에서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햇살론 창업자금= 보증부 서민대출(자영업자) 협약보증인 ‘햇살론’을 통해서도 창업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햇살론 창업자금은 운영자금 용도로 2000만원까지 신청할 수 있으며 임차보증금을 포함할 경우에는 최대 50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단, 햇살론 창업자금은 중기청에서 지정한 기관에서 창업교육·컨설팅을 먼저 이수하고 사업자등록을 낸 이들을 대상으로 한다. 임차보증금을 신청할 경우에는 임대인 동의를 받아 임차보증금 양도가 가능해야 한다.
경남신용보증재단에서 보증서를 발급받아, 이를 담보로 새마을금고, 신협, 단위 농수협, 상호저축은행, 산림조합 등에서만 취급한다. 경남신용보증재단은 창원(☏ 212-1250), 진주(☏ 743-5333), 양산(☏ 364-2181), 마산(☏ 246-1788), 사천(☏ 835-7481), 거제(☏ 634-5800), 통영(☏ 902-8300), 김해(☏ 338-2390)에 영업점을 두고 있으며, 자세한 지원 내용과 절차는 홈페이지(www.gnshinbo.co.kr)에 문의하면 된다.
▲미소금융= 정부지원 자금의 경우 대부분 재원이 한정돼 있어 ‘자금 소진시까지’라는 단서가 달린다. 대부분 상반기 중에 자금이 바닥나기 때문에 서두르지 않으면 받을 수 없다.
미소금융은 대출 신청일 현재 한국신용정보주식회사, 한국신용평가정보주식회사, 코리아크레딧뷰로주식회사에서 평가한 개인신용등급 중 1개 이상의 회사에서 평가한 개인신용등급이 7등급 이하에 해당하는 이를 대상으로 한다.
프랜차이즈창업자금대출, 창업임차자금(사업장임차보증금)대출, 사업자 무등록 자영업자를 위한 무등록사업자대출 등이 있다.
프랜차이즈창업자금은 소규모·소자본으로 창업이 가능한 프랜차이즈업체와 연계해 사업장 임차자금, 권리금 및 기타 창업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한다. 대출한도는 5000만원 이내, 상환기간 5년 이내, 이자율은 연 4.5% 이내다.
창업임차자금은 사업자등록 영세자영업자의 안정적인 자립 기반 확립을 위한 창업임차자금으로, 상환기간과 대출한도, 이자율 등은 프랜차이즈창업자금과 같다.
무등록사업자대출은 사업자를 등록하지 않았거나 등록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영세자영업자를 대상으로 하며, 창업에 소요되는 자금 및 제품, 생계형 차량, 비품, 집기 구입 등을 위한 무등록사업자지원자금이다. 대출한도는 500만원 이내, 상환기간은 5년 이내, 거치기간은 6개월 이내로 이자율은 연 2.0% 이내다.
문의 및 상담은 미소금융중앙재단 홈페이지(http://www.smilemicrobank.or.kr /) 또는 전화(☏ 1600-3500)로 하면 된다.
도내에는 SK미소금융재단 통영지부(☏ 604-5500), 현대차미소금융재단 진주지부(☏ 747-7380), 신한미소금융재단 창원마산지부(☏ 070-8708-5461~2), 삼성미소금융재단 김해지부(☏ 339-8762), 미소금융중앙재단 거제지점(☏ 632-6164), LG미소금융재단 창원지부(☏ 713-5591~2), 우리미소금융재단 경남지부(☏ 248-1051), IBK미소금융재단 양산지부(☏ 781-2300)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