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선을 넘다 / 고통 그리고 교훈
(3/12/2024) 1
(굉장히 사적인 경험이지만
이 글을 올리고 공개하는
이유는 혹시라도 이 가운데
공유할 만한 메시지가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에서 입니다.
따라서 최대한 사실 그대로
올려 경험을 나누어 봅니다)
지금 시간은 12일 아침
10시경....
저는 지금 제가 이렇게
멀쩡하게 컴퓨터 앞에
앉아서 글을 쓰고 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습니다.
어제 저녁 생각으로는
지금쯤 병원에 입원하여
큰 병 진단을 받고 긴급
수술을 받고 있거나
받은 후라야 합니다.
혹시 일시적인 증상완화
현상인가 싶어서 계속해서
관찰하고 있는 중인데
지금까지 괜찮은 것을
보면 다 나은 것이 거의
확실해 보입니다.
어제부터의 일을 되짚어
봅니다.
함께 저녁식사를 마치고
장거리 여행을 시작했습니다.
장장 7시간 걸리는 Raleigh
에서 Philadelphia까지
긴 여행...
몸 컨디션 때문에 걱정은
되었지만 그래도 집으로
돌아와야 하기 때문에
저는 뒷좌석에 누워 있기로
하고 신혁이가 운전대를
잡았습니다.
그런데 차를 타자마자
시작되는 옆구리 통증...
덜컹거리는 차 안이라
점점 더 자극이 되는지
통증이 심해집니다.
누워도 보고, 엎드려도
보았으나 아무런 소용이
없습니다.
시간이 갈수록 통증은
심해져서 설설 기다못해
거의 기절할 정도까지
이르는 것을 느낄 수 있었
습니다.
진통제를 1시간 간격으로
먹어도 효과가 없고 점점
통증은 심해져가기만 하니
여차하면 곧바로 응급실로
가야 할 형편이었습니다.
Crossing the brink of death / Pain and Lessons Learned
(3/12/2024) 1
(This is a very personal experience, but I am sharing it publicly because I thought there might be a message worth sharing among it. Therefore, I am sharing my experience as it is, to be as truthful as possible.)
The current time is around 10 a.m. on the morning of the 12th....
I can't believe that I am sitting here in front of the computer, writing this, feeling perfectly fine. Yesterday evening, I thought that by this time, I would either be hospitalized, diagnosed with a serious illness, or undergoing emergency surgery. But looking at how fine I am until now, it seems almost certain that everything has turned out okay.
Let me recount what happened since yesterday.
After having dinner together, we embarked on a long journey from Raleigh to Philadelphia, which takes a whopping 7 hours... I was a bit worried about my physical condition, but since I had to go back home, I decided to lie down in the back seat while Shi Hyuk took the wheel.
However, as soon as I got into the car, the pain in my side began... In the jolting car, the pain gradually intensified. I tried lying down and even changing positions, but nothing helped.
As time went by, the pain became more severe, to the point where I could hardly bear it and felt like I was about to pass out. Even taking painkillers every hour had no effect, and the pain only worsened. It was clear that I would have to go to the emergency room as soon as possible.
사선을 넘다 / 고통 그리고 교훈
(3/12/2024) 2
더 마음이 무거웠던 것은
이 통증이 갑자기 생긴 것이
아니라 지난 사흘동안 줄곧
괴롭혀 온 통증이라는 점
입니다.
별별 생각이 다 들지요.
처음에는 맹장염인가 싶다
가 옆구리 뒤쪽이니 콩팥에
문제가 생긴 것이 아닌가,
또 며칠 동안 아무리 변을
보려고 해도 무언가에 꽉
막힌듯 하여 조금도 나오
지 않는 상황이어서 장이
막혔는가.. 오만 생각이
다 듭니다.
평소에 배변장애도 없었던
터라 변기에 10번을 앉아
보았는데도 모두 실패를
하니 점점 당황스러웠지요.
비록 음식을 많이 먹지는
않아도 꾸준하게 식사를
해 왔기 때문에 평소같으면
절대 이틀을 넘기지 않았을
것인데 무려 5일이 되도록
변을 보지 못하니 얼마나
불안한지요.
분명히 아랫배는 차 있는
것 같은데 아무리 주무르고
두드려도 요지부동입니다.
소화제를 먹고 마침 신우
집에 변비약 Cleanlax가
있기에 1시간 간격으로
다섯 번 이상 먹었는데도
아무런 소식이 없었습니다.
식이섬유가 필요할까봐
사과도 먹고 물도 잔뜩 마
셔도 아무런 효과가 없고요.
얼마나 당황스러운지 지금
까지 한 번도 이런 일은
없었거든요.
그래서 뭔가 국물 있는 것,
자극적인 음식을 먹으면
혹시 변이 나올까 싶어서
일부러 매운맛 라면도 먹고
국물도 마셨으나 무슨 영문
인지 일체 반응이 없습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이
정도면 벌써 나와도 몇 번
은 나왔어야 하는데 말이지요.
Crossing the brink of death / Pain and Lesson
(3/12/2024) 2
What made my heart even heavier
is that the pain didn't just suddenly appear,
but it has been tormenting me
for the past three days.
Various thoughts come to mind.
At first, I thought it might be appendicitis,
then maybe a problem with my kidney,
and for a few days, no matter how hard I tried to poop,
it felt like something was blocking it,
and nothing came out, so I wondered if my intestines were blocked...
I had so many thoughts.
I never had any digestive problems before,
so I sat on the toilet ten times
trying to poop, but all in vain,
which made me more and more flustered.
Even though I didn't eat much,
I've been eating regularly,
so normally I wouldn't have gone over two days without pooping,
but it had been 5 days without any success, so you can imagine how anxious I was.
My lower abdomen feels full,
but no matter how much I massage or tap it, it remains unaffected.
I took some digestive medicine,
fortunately, there was a constipation medicine called Cleanlax at Shinwoo's house,
so I took it more than five times at one-hour intervals,
but there was still no sign of relief.
I even ate an apple thinking I might need more fiber,
drank plenty of water, but still no effect.
You can imagine how flustered I am,
as I've never experienced anything like this before.
So, thinking that maybe something soupy,
or something spicy might help me poop,
I deliberately ate spicy ramen and drank the soup,
but there was absolutely no reaction.
Even logically thinking, at this point,
I should have pooped at least a few times by now,
but nothing has happened.
사선을 넘다 / 고통 그리고 교훈
(3/12/2024) 3
혼자 변기 위에 앉아
끙끙대다가 허무하게 다시
일어서기를 수도 없이
반복하면서 점점 걱정은
쌓여가기 시작합니다.
따뜻한 물에 목욕도 해
보고 아랫배 맛사지를
수도 없이 해 주어도
어디 중간에서 꽉 막혔는지
아무런 효과가 없었습니다.
그런데도 이상하게 큰
불편함은 느껴지지 않았
습니다.
걷는데 지장이 없고 심
지어 구보까지 해도 통증
이 느껴지지 않은 것입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그렇게
걷고, 뛰고 해도 변은
나올 생각을 않으니 점점
불안해져 가기만 합니다.
그런 상황에서 생일케잌
한 조각 먹고 저녁식사로
버팔로 윙 4개를 먹었습
니다. 콜라도 2잔이나 마셨
고요. 그런데도 아무런
신호가 오지 않네요.
할 수 없이 그대로 차를
타고 필라델피아 집으로
향했습니다.
힘들면 누워 있을 생각으로
뒷좌석에 올랐지요.
그런데 출발하자 마자
옆구리 통증이 시작됩니다.
흔들리는 차로 인하여
점점 그 통증은 심해지는데
진통제를 연거푸 먹어도
전혀 효과가 없습니다.
화장실 가고 싶은 마음은
전혀 없고 오직 옆구리가
바늘로 콕콕 찌르는 듯한
통증이 반복되니 아주
미칠 지경입니다.
끙끙 앓아대며 아내에게
기도와 맛사지를 부탁했
지만 잠시 괜찮을 뿐
도무지 통증은 사라지지
않고 저의 몸과 마음을
사정없이 괴롭힙니다.
Crossing the brink of death / Pain and Lesson
(3/12/2024) 3
Sitting alone on the toilet, repeatedly trying to relieve myself without success, worry begins to mount. Despite trying warm baths and massaging my lower abdomen countless times, there's been no effect. Strangely, I didn't feel significant discomfort. I could walk without difficulty, even jog, without feeling any pain. But disappointingly, no matter how much I walked or ran, there was no sign of relief, leading to growing anxiety.
In that situation, I ate a piece of birthday cake and had four buffalo wings for dinner, along with two glasses of cola. Yet, there were still no signs.
Unable to do anything else, I reluctantly drove towards our home in Philadelphia. I climbed into the back seat with the intention of lying down if needed. But as soon as we set off, the pain in my side started. With the car shaking, the pain intensified, and even continuous painkillers had no effect.
I had no desire to use the bathroom, only experiencing excruciating pain in my side, akin to being repeatedly stabbed with needles. Despite groaning and asking my wife for prayers and massages, the pain persisted relentlessly, tormenting both my body and mind without mercy.
사선을 넘다 / 고통 그리고 교훈
(3/12/2024) 4
밤은 깊어가고 고속도로를
달리고 있는 중이라 달리
방도가 없습니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병원
으로 가자고 할 수도 없는
상황이고요.
너무 고통스러우니 정신
마저 아뜩해 지는 것이
이제 생사의 갈림길로
들어서는 느낌입니다.
이렇게 몸이 아프니
온갖 생각과 함께 모든
종류의 기도가 다 터져
나오는 것을 경험하게
됩니다.
평소에 하던 이야기와는
전혀 다른 세계로 들어선
것이지요. 회개를 하고,
간구를 하며, 부르짖기도
하고, 방언기도 등 정말
할 수 있는 모든 기도를
동원하는 자신을 발견하
게 됩니다.
'주시옵소서'는 안한다고
한 말도 다 헛소리고,
환란 중에서 기뻐한다
는 말씀도 온데 간데 없
으며, 믿음으로 승리하고
이겨낸다는 소리도 다
허황한 다른 세계 이야기
처럼 느껴집니다.
그렇게 점점 믿음과는
다른 세계로 빠져드는데
그 또한 더 마음을 절망
스럽게 만듭니다.
'아, 진리도, 하나님도 다
몸이 건강할 때나 해당
되는 거지 이렇게 고통스
러울 때는 아무런 소용이
없구나'하는 절망적인
생각까지 듭니다.
욥도 생각이 나고
스스로 믿음이 있다고
큰소리쳤던 저 자신이
부끄럽기도 하고....
혼자 별의별 생각을 다
하면서 어떻게든 집에
빨리 도착하기만을 바라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빨리 달려도
7시간의 거리는 조금도
좁혀지지 않는 것 같고
이러다가 죽을 수도 있겠
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Crossing the brink of death / Pain and Lesson
As the night deepens and I'm driving on the highway, there are no rest stops in sight. It's too painful, and my mind is becoming hazy, feeling like I'm at a crossroads between life and death. With such agony, all sorts of prayers, repentance, pleading, and even dialects come bursting forth along with various thoughts.
It's a completely different world from the usual conversations. I find myself resorting to every prayer imaginable—repenting, lamenting, crying out—feeling like every mention of "God, please help" is futile, and the notion of finding joy amidst turmoil or triumphing through faith seems like tales from another realm. Slowly, I'm sinking into a world apart from faith, which only adds to the despair.
Despairing thoughts arise, thinking that truth and God only matter when the body is healthy, not in such excruciating pain. Even feeling ashamed of myself for boasting about my faith. Amidst all these thoughts, desperately wishing to arrive home quickly, but no matter how fast I drive, the 7-hour distance doesn't seem to shrink at all. I started to entertain the thought that I might die on this journey.
사선을 넘다 / 고통 그리고 교훈
(3/12/2024) 5
잠시 주유소에서 들를 때
아내에게 고통이 너무
심하다고 했더니 '어떻게
하겠냐? 집까지 참고 가야지'
합니다. 뭐 맞는 말이지요.
아내와 신혁이도 마음이
무거워 연신 뒤돌아 봅니다.
뒷 좌석에서는 진통제
약병 여는 소리가 자주
들리며 엎치락 뒤치락
하는 남편과 아빠의 모습을
보고 있자니 많이 걱정이
되었겠지요.
이제는 다음 차원으로
넘어갑니다.
진지하게 '죽음'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하는 것
입니다. 그러면서 스스로
에게 묻습니다.
'지금 죽어도 괜찮겠나?'
다행히 편안한 마음과
함께 이 질문에 Yes가
나옵니다. 별 여한이 없다
는 생각이 드는 것입니다.
그동안 열심히 유란시아서
공부를 한 것이 뿌듯한
근거가 되어 주었습니다.
그래도 아무 것 남기지
않고 허무하게 떠나지는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던
것이지요.
그리고 SNS에 올려 둔
17000개 가량의 글들 또
한 제 생애에 대한 기록들
이기 때문에 그나마 남겨
두고 갈 수 있다는 것이
감사하다는 마음까지 들었
습니다.
수호천사에게 도움도
요청하고, 제 속에 거하는
생각 조절자와도 교통을
시도해 보았습니다.
'도대체 왜 이런 일이
일어나고 있습니까?
여기에 무슨 뜻과 의미가
있으며, 이를 통해서 제가
깨닫고 변해야 할 요소가
무엇입니까?'
절박하다보니 사뭇 진지
합니다.
속에서 감동이 일어납니다.
음성으로 들리는 것은 아니
지만 저의 지성으로 무언가
감지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답이 오는 것입니다.
Crossing the brink of death / Pain and Lesson
(3/12/2024) 5
When I briefly stopped at the gas station and mentioned to my wife how intense the pain was, she replied, "What can we do? You have to endure until we get home." It's true, isn't it? Both my wife and Shin-hyuk keep looking back with heavy hearts. From the back seat, I often hear the sound of the painkiller bottle being opened, accompanied by the sight of my husband and father writhing and twisting.
Now, I'm crossing over to the next dimension, earnestly beginning to contemplate "death." As I do, I ask myself, "Would it be okay if I died now?" Fortunately, with a sense of peace, the answer to this question is yes. It feels like there's little left to hold onto.
All the hard work I've put into studying euthanasia has become a proud foundation. Still, the thought of leaving without leaving anything behind lingered. And with around 17,000 posts on social media, along with other records of my life, I feel grateful to leave something behind.
I've also requested help from guardian angels and attempted to communicate with the thought regulator within me. "Why is this happening? What meaning does it hold, and what aspects of myself do I need to realize and change through this?" Desperation makes it all very serious.
There's a stirring inside me. It's not audible, but it's a way of sensing through my intellect, receiving answers.
사선을 넘다 / 고통 그리고 교훈
(3/12/2024) 6
'너에게 치명적인 약점들이
몇 가지 있다. 그런데 너는
그 문제들을 그렇게 심각
하게 여기지 않고 어쩔 수
없다는 식의 소극적인 태도
로 방치하고 있거나 심지어
합리화, 조장까지 하고 있다.
지금까지 공부하면서 인격
의 변화가 그렇게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다면 그런 태도는
결코 합당치 않다.
이 전에도 몇 번 혹독한 고
통을 통하여 깨닫고 변화를
유도한 것처럼 이번에도
네가 절실하게 깨닫고 변화
를 이루기를 바란다.
오랜 옛 자아의 습관을 이
번 기회를 통하여 한가지
확실하게 해결하는 기회로
삼으라'
정확하게 이런 말이 들린
것은 아니지만 이미 저 자신
은 알고 있는 일이었습니다.
다만 타고난 기질이 그런 것
을 어떻게 하는가? 심성이
그런 것을 어떻게 고치는가?
나만 잘못한 것도 아닌데
왜 내가 책임을 져야 하는가?
는 등의 핑계로 도리어 거부
하거나 분노하는 입장을 취
했기 때문이지요.
특히 아내와의 여러가지 갈
등으로 인하여 마음에 많은
서운함과 화를 품고 있었던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
었습니다.
물론 결단과 노력도 많이
했으나 번번히 실패하면서
다시 갈등과 불화로 빠져들
어가기를 무수히 반복하며
서로 지쳐가고 있었습니다.
아마 서로에 대해 할 말도
있고 불만이 있는 것이 당연
하겠지만 결국은 나 자신이
고쳐야 할 나 자신의 문제라
는 것을 알고 있었지요.
그러나 그게 완전히 굴복
되지 않고 쓴뿌리가 남아
있어 계속해서 불만과 분노
로 독소를 발해 결국 나
자신의 몸과 마음까지 병
들게 만든 것입니다.
사실 최근에도 갈등과 불
화로 인해 한 동안 말을
하지 않고 지내왔거든요.
그러던 중에 어떻게 함께
Raleigh까지 내려오기는
했지만 여전히 무언가 꽉
막힌 상태였습니다.
Crossing the brink of death / Pain and Lesson
(3/12/2024) 6
"You have several fatal weaknesses. However, you're treating these issues with a passive attitude, either ignoring them or even rationalizing and exacerbating them. If you've learned anything from your studies, it's that such an attitude is never justified. Just as you've realized and induced change through severe pain before, I hope you'll earnestly realize and change this time as well. Take this opportunity to decisively resolve one long-standing habit of your old self."
While these exact words weren't heard, it was something I already knew. But how does one change inherent qualities? How does one mend their character? Why should I take responsibility when it's not all my fault? These were the excuses that led me to reject or even rage against the notion.
Especially due to various conflicts with my wife, I harbored much resentment and anger in my heart, which was an undeniable fact.
Of course, there were many decisions and efforts, but repeatedly failing and falling back into conflict and discord wore us both down. Perhaps it's natural to have grievances and complaints about each other, but ultimately, I knew it was my own issues that needed fixing.
However, without complete surrender, bitter roots remained, continually emitting toxins of discontent and anger, ultimately afflicting my body and mind.
In fact, recently, due to conflicts and discord, we went through a period of not speaking to each other. Even as we traveled to Raleigh together, there was still a sense of being blocked and unresolved.
사선을 넘다 / 고통 그리고 교훈
(3/12/2024) 7
거의 비몽사몽 간에 이런
교통이 있으면서 문득 생각
하나가 떠 올랐습니다.
아픈 부위, 즉 옆구리를 맛사
지 할 것이 아니라 보다 근원
적인 부분, 즉 마음과 함께
불만의 뿌리를 형성하고
있는 부위를 보살피며 어루
만져주라는 것이지요.
그렇게 마음과 함께 온 몸
을 천천히 맛사지를 해
주기 시작합니다. 물론 변
화의 결단과 함께 말이지요.
그렇게 약 2,30분 지났을까
신기하게도 통증이 가라앉기
시작합니다.
진통제를 먹은 효과인가
생각해 보아도 그렇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전까지 통
하지 않던 진통제가 갑자기
통할리가 없을테니까요.
그렇게 통증이 사라지면서
정신도 맑아지기 시작합니다.
신혁이가 약 3시간 운전
하고 이제는 아내가 2시간
정도 운전을 하고 있는
중입니다.
자정이 가까워오고 있고요.
그래서 아내에게 내가 한
번 해볼께 하고 교대하자고
말을 했습니다.
아직 자신은 없지만 일단
한 번 해 보고 여차하면
다시 바꿀 생각으로
Maryland House 휴게소
에서 교대를 했습니다.
휴게소 화장실을 들러
혹시 변을 볼 수 있을까
싶어 변기에 앉아 보았지만
여전히 헛일입니다.
Crossing the brink of death / Pain and Lesson
(3/12/2024) 7
Almost in a daze, amidst this traffic, a sudden thought struck me. Instead of massaging the painful area, namely my side, I should nurture and soothe the root of discontent, which resides in my heart.
So, I begin to massage my entire body slowly, along with my mind. Of course, it's coupled with the decision to change. Strangely, after about 20 or 30 minutes, the pain starts to subside.
I consider whether it's the effect of the painkillers, but it doesn't seem likely. Pain that didn't subside before wouldn't suddenly disappear just because of medication. As the pain fades, my mind starts to clear.
Shin-hyuk has been driving for about 3 hours, and now my wife has taken over for about 2 hours. Midnight is approaching. So, I told my wife that I'll give it a try and suggested we switch.
Although I'm not confident, I agreed to try once and switch back if necessary at the Maryland House rest area. I stopped by the restroom, hoping to relieve myself, but to no avail.
사선을 넘다 / 고통 그리고 교훈
(3/12/2024) 8
이제 집까지 약 1시간 반
정도 남았습니다.
다행히도 늦은 밤이라
막히는 것 없이 최대속도
로 집을 향해 달립니다.
몸과 마음이 편안한 것이
운전하는데 전혀 지장이
없습니다.
혹시 싶어 신혁이가 조수
석에 타고 저를 살핍니다.
그렇게 nonstop로 집에
도착하니 새벽 1시 50분
정도 됩니다.
마침내 집에 도착한 것입
니다. 도착한 후에도 통증
은 없고 정신도 개운합니다.
일단 잠자리에 들어 잠을
청하는데 7시까지 잘 잔
것 같습니다.
옆구리를 비롯하여 몸의
통증은 완전히 사라졌는데
여전히 화장실 문제가
남아 있습니다.
몸도 계속해서 관찰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아무런
이상을 보이지 않고 있네요.
아내가 저를 보더니 병원을
가 봐야하지 않겠느냐고
합니다.
하지만 이미 답을 받고
치유가 되었는데 그럴 필요
는 없을 것 같습니다.
아침으로 혹시 도움이 될까
싶어 라면과 어제 먹다 남은
훈제 치킨을 함께 먹어보았
습니다.
그리고 물을 잔뜩 마시고요.
기대하는 마음으로 화장실
요청이 일어날지 기다려
봅니다.
Crossing the brink of death / Pain and Lesson
(3/12/2024) 8
Now, there's about an hour and a half left until we reach home. Fortunately, it's late at night, so we're able to drive at maximum speed without any congestion. Both my body and mind are at ease, with no hindrance to driving whatsoever. Just in case, Shin-hyuk sits in the passenger seat and watches over me.
Finally, we arrive home nonstop, around 1:50 AM. It's a relief to have finally arrived home. Even after arriving, there's no pain, and my mind feels clear. I manage to sleep soundly until 7 AM.
The pain in my body, including my side, has completely disappeared, but the bathroom issue still remains. I continue to monitor my body, and so far, there have been no abnormalities. My wife suggests going to the hospital to get checked, but since I've already received an answer and healed, it doesn't seem necessary.
In the morning, hoping it might help, I eat ramen and leftover smoked chicken from yesterday. I also drink plenty of water. With hopeful anticipation, I wait to see if the need for the restroom arises.
사선을 넘다 / 고통 그리고 교훈
(3/12/2024) 9
마침내 소식이 옵니다.
떨림반 기대반으로 변기에
앉아 아랫배에 힘을 주어
봅니다. 그랬더니 어렵지
않게 변이 쏟아져 나왔습
니다. 감격스러운 순간입니다.
화장실 용변 보는 것이
이렇게 중요한지 이번에
새삼 경험해 봅니다.
그렇게 시원하게 용변을
보고나니 비로소 요 며칠
간은 시련이 통과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감격과 감동이
사라지기 전에 기록으로
남겨야겠다는 마음에 지금
이렇게 글을 쓰고 있는 것입
니다.
이 번 경험을 통하여 다시
한 번 강력한 '증거'를 얻
게 되었습니다. 남들은
모르겠으나 적어도 저에
게 일어나는 끔찍한 고통
의 시련에는 반드시 하늘
의 뜻과 섭리가 있다는 것
을 말이지요.
물론 당하는 당시에는
너무 고통스럽고 불안하
며 두려움에 사로잡혀
죽음의 그림자와 냄새를
맡게 되지만 그로 인하여
얻게되는 축복 또한 이루
말할 수 없이 크다는 것
또한 여러번의 경험을 통
해 확실히 깨닫게 되었습
니다.
약 2년 주기로 이런 무서운
시련이 닥치는 것 같은데
그로 인해 정신 바짝 차려
서 유란시아서 공부에 집중
할 수 있게 되었고, 사소한
문제들에 대한 집착이나
욕심, 미련 등을 단호하게
끊어 버릴 수 있게 되었으니
그저 고통만 기억에 남는
것이 아니지요.
특히 이러한 시련을 통해
점점 다음 차원을 향한
준비를 하게 된 것도 더
없이 큰 수확이요, 무엇
보다 하나님과 예수 그리
스도에 집중하고 보다 가
까이 갈 수 있는 계기가
된 것을 생각하면 완전히
남는 장사임에 분명합니다.
Crossing the brink of death / Pain and Lesson
(3/12/2024) 9
Finally, there's news. With a mixture of trembling and anticipation, I sit on the toilet and exert some force in my lower abdomen. To my relief, the stool comes out easily. It's a moment of overwhelming emotion. Through this experience, I realize anew just how important it is to monitor one's bowel movements.
After feeling refreshed from relieving myself, I can finally confirm that the ordeal of the past few days has passed. Before this sense of relief fades, I feel compelled to record this moment.
Through this experience, I've once again gained strong evidence. While others may not understand, at least in the terrifying trials of pain that I experience, there is undoubtedly a divine will and purpose.
Of course, at the time of suffering, it's agonizing, anxiety-inducing, and fear grips me, exposing me to the shadow and scent of death. But the blessings that come as a result cannot be overstated. Through multiple experiences, I've come to firmly realize this.
It seems that every two years, such terrifying trials occur. However, they serve to awaken me, allowing me to focus on studying euthanasia and to decisively cut off attachment, greed, and lingering regrets over trivial matters. It's not just the pain that remains in memory.
Especially through these trials, I've increasingly prepared for the next dimension, reaping immense rewards. Above all, it's undoubtedly a profitable venture when considering the opportunity to focus more on God, Jesus, and scripture and draw closer to them.
사선을 넘다 / 고통 그리고 교훈
(3/12/2024) 10
물론 앞으로 또 어떤
극심한 시련과 연단이
기다리고 있을지는 모릅
니다. 하지만 더 이상 불안
하거나 두려움에 사로잡히
지 않는 것은 몇 번의 경험
을 통하여 배후의 손길이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깨달았기 때문이요, 이러한
연단은 반드시 선한 열매
를 맺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구차하게 시간만 늘여가는
삶이 아니라 하루를 살아
도 하나님의 뜻에 합당한
모습으로 인격적, 도덕적,
영적으로 변화와 성장을
이루어가야겠다는 굳은
결의와 각오를 하는 계기
가 되었고요.
또 한가지 여러번에 걸친
끔찍한 고통의 시간을
통해 확실하게 깨달은 사
실 한가지는 '몸이 아프면
아무 것도 소용없다'는
아주 중요한 깨우침이었
습니다.
아무리 정신력이 어떻고,
영적이 능력이 어떻고
해 봐야 특별한 수준에
이른 사람이거나 그나마
여유가 있을 때 할만 한
이야기지 정말 죽음의 고통
이 밀어닥치면 아무 생각도
안나며 오직 '고통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생존의
욕구'만 작용한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된 것입니다.
따라서 고통 속에 있는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위로와 관심, 격려 등일 뿐
그 어떤 교훈이나 방법을
제시하는 것은 지혜롭지
못하다는 것도 깨닫게 되
었습니다.
물론 그를 향한 하늘의
메시지를 전하고 병에서
건져내어 줄 수 있다면
엄청나게 큰 자비와 봉사를
베푸는 것이 분명하고요.
이번의 시련을 통하여 한
차원 더 상승하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이 기록은 오늘 3월 12일
10시에서 11시 반까지
쓴 것입니다. 그래도 좀 더
신중하게 확인하기 위해
나중에 올리려 합니다)
Crossing the brink of death / Pain and Lesson
(3/12/2024) 10
Of course, we don't know what severe trials and tribulations await in the future. However, through multiple experiences, I've firmly realized that there is a guiding hand behind, and such trials inevitably yield good fruits.
Life isn't just about prolonging time but living each day in a manner worthy of God's will, striving for personal, moral, and spiritual transformation and growth.
Another profound realization from the repeated hours of dreadful pain is that "when the body is in pain, nothing else matters." It's a crucial insight. No matter how strong one's mental or spiritual faculties may be, when faced with the agony of death, all that matters is the instinctive drive for survival, to escape suffering.
Therefore, what people in pain need is comfort, care, and encouragement rather than lessons or methods, as I've come to realize. Of course, if one can convey a message from heaven and alleviate their suffering, it's undoubtedly an act of immense mercy and service.
I hope this trial becomes an opportunity for further elevation.
(This record was written from 10:00 to 11:30 on March 12th. However, I plan to upload it later after careful review.)
첫댓글 너무 좋은글이었어요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