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월 입국자 중 절반 학교 미등록... 불법취업 의심
인도 당국, 국제 인신매매 조직 연루 혐의 수사 착수
가짜 대학 허위광고에 속은 인도 학생들... 꿈 대신 빈손
이민난민 시민권부가 올해 3~4월 입국한 인도 유학생 2만 명의 행방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들은 입국 후 지정된 교육기관에 등록하지 않은 채 종적을 감췄다.
소위 '학위 공장'이라 불리는 미인가 교육기관들이 허위 광고로 학생들을 모집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정부 인증이 없음에도 취업과 졸업 후 진로에 대해 거짓 정보를 제공하며 학생들을 현혹했다.
캐나다는 유학생 비자 발급 시 다른 국가들과 달리 등록금 전액 선납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러한 제도적 허점이 불법 이민과 취업에 악용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행방불명된 학생들 대부분은 캐나다에 머물며 식당이나 배달 일을 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일부는 영주권 취득을 노리고 있으며, 극소수가 미국으로 불법 입국을 시도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도 당국은 캐나다 대학들과 인도 내 불법 이주 알선 조직 간의 연계를 본격 수사하고 있다. 뭄바이, 나그푸르, 간디나가르, 바도다라 등 주요 도시에서 대대적인 수색이 진행됐으며, 불법 송금 증거와 디지털 기기가 대거 압수됐다.
피해 가정들은 막대한 재정적 손실을 입었다. 대부분이 자녀 유학을 위해 등록금, 생활비, 항공료 등을 투자했으나 학교 미등록으로 전액을 잃었다. 향후 자녀의 해외 취업을 통한 송금도 기대할 수 없게 됐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캐나다 대학을 졸업한 국제 학생들의 취업률도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졸업생이 자신의 학력에 맞지 않는 저임금 직종에서 일하고 있다.
맥길 대학교와 UBC 등 캐나다의 유수 대학들도 이번 사태로 인한 국제적 신뢰도 하락을 우려하고 있다.
캐나다 정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유학생 비자 발급 규정을 전면 재검토하기로 했다. 교육기관 인증 절차도 더욱 엄격히 하고, 유학생 관리 감독도 강화할 방침이다.
인도 정부는 자국민 보호를 위해 캐나다 유학 관련 경보를 발령하고, 허가받지 않은 유학원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양국 정부는 불법 이주 알선 조직 근절을 위한 공조 수사도 추진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