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야자와 리에는 일본에 처음 갔을 때, 우에노 백화점 벽면에 대형 현수막에 비키니를 입고 나타났었다.
얼마 전, 일본 영화를 보다가, 연기를 잘하는 여배우가 인상적이었다.
그때는 미야자와 리에인 줄 몰랐다. 그리고 한국에서 리메이크 된 ‘종이달’이 화제가 되고, 그제서야 그 여자가 미야자와 리에임을 알았다.
어릴 때 귀엽던 모습은 간 곳이 없었다.
시게노부 후사코(重信房子, しげのぶふさこ)는 극좌 성향의 테러리스트, 혁명가이며 적군파의 한 분파인 일본적군(JRA)의 수반이었다
"너무나 빛나는 밤하늘의 별들은 참으로 감동적이다.
쏟아져 내리는 별빛 아래서 인간이 얼마나 작은 존재인가,
그토록 아까워하는 '내 인생'이란 얼마나 사소한 것인가.
드디어 나는 가장 좋은 삶의 자리와, 죽음의 자리를 찾았어“
벤구리온 공항을 습격한 적군파의 리더 오쿠히라가 쓴 글이다.그들은 승리를 확신하는 혁명가가 아니었다.
신념을 따라 순교하겠다는 구도자들이다.
그들은 벤구리온 공항을 점령하고 기관총을 난사하며 저항 했다.
포위망이 좁혀 오자 그들은 단 한명의 나래이터를 남기고 모두 자살했다.
아랍을 위해 동방의 청년들이 전투 중 집단 자결한 사건은 아랍의 전 역을 들끓게 했다. 아랍에서 그들은 신화가 됐다.
이후에 아랍을 방문하는 모든 일본 사람은 극진한 대접을 받았다고 한다.
싸움을 후손에게 전해주는 임무를 띄고 살아남은 한 명의 적군을 이스라엘에서 구하는 것은, 아랍의 목표가 됐다.
수년동안 집요한 테러와 포로의 교환 협상에서 ‘한명의 적군’을 구해내는 조건이 반드시 들어가 있었다.
결국 그 한 명의 적군은 팔레스타인의 집요한 요구로 테러범에서, 전쟁포로로 격상 풀려났다.
일본 동경대 본관의 후미진 곳에 작은 연못이 있고 그 뒤에 야스다 강당이 있다.
그곳은 내가 일본에 살았던 1987년에는 폐허로 남아 있었다.
그 연못가에서 1987년 어느 날 신혼의 아내가 나에게 물었다.
"당신, 저기 보이는 저 건물은 왜 저래요?"
"음, 그거......야스다 강당이라고......과거 일본에서 데모하는 애들이 농성하던 곳이야........."
나는, 그때 그렇게 얼버무리고 말았다.
그때, 그 많고 복잡한 이야기를 착하고 온순한 아내에게 모두 말하는 것은 무리였다.
어느날, 아내와의 신혼방 우편함에 적기[赤旗]라는 팜프렛이 놓여 있었을 때, 너무나 놀라 부들부들 떨었던 아내를 생각했던 것이다.
일본 공산당 기관지 적기는 동경 시내 시타마찌(서민들이 사는 동네, 서울로 말하면 강북 정도) 허술한 아파트에는 수도 없이 배포되던 때였다. 나는, 그때 한 달에 800엔씩 내는 구독자였다.
시게노부 후사코는 일본적군(日本 赤軍)의 마지막 전사다. 2000년 오사카에서 그녀가 검거되어 세계 테러 사에서 악명을 날렸던 붉은 군대는 사실상 소멸 했다.
일본의 낭만적인 학생운동 패밀리에서 아랍의 잔인한 테러리스트 조직으로 소멸하기까지, 이 일단의 적군(赤軍)들은 일본 지성인들의 불행한 일탈을 상징하는 아픔이었다.
아름다운 바닷마을 가마쿠라는 영화 ‘바닷마을 다이어리’의 촬영지다.
히로카즈가 감독을 했다.
아야세 하루까는 ‘바닷마을 다이어리’에서 장녀로 나온다.
히로카즈의 다큐멘터리 영화 ‘아무도 모른다’는 동경대 부근의 니시스가모에서 벌어진 이야기다.
나는 스가모 시장에 가기 위해 아이들이 살았던 아파트를 지나곤 했다.
공교롭게도 얼마 후, 나는 결혼을 해서 아내가 한국에서 왔다.
아내에게 니시스가모의 아이들 이야기를 해주자, 아내는 몹시도 슬퍼했다.
그 당시 한국에서는 도저히 이해 할 수 없는 일이었다.
아이를 방치했던 철 없는 엄마들은 1988년 일본에는 많았다.
아이를 차 안에 가두어 놓고 빠찡꼬를 하다가 아이가 차 안에서 울다가 여름 태양 아래서 죽는 사건은 흔하던 일이었다.
고도의 경제 성장은 시골 출신의 나와 아내에게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의 연속이었다.
아야세 하루까는 히로까즈 감독의 단골 주인공이었다.
히로까즈는 얼마 전, 한국 영화 ‘브로커’를 제작했고 송강호가 주인공이다.
이시무레 미치꼬에 대한 짧은 글을 잠시 올린다.
”무식해도 문학을 할 수 있다.
일본소설 한 권을 소개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슬픈 미나마타’라고 번역되어 나온 이 작품의 원래 제목은 ‘고해정토(苦海淨土)’이다.
이시무레 미치코라는 작가가 쓴 소설이다. 참 좋은 작품인데, 우리나라에서 얼마나 읽히고 있는지 모르겠다.
제가 보기에는 이 작가야말로 ‘새로운 작가’라는 말을 들을 자격이 있다.
근대의 일본문단에는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를 비롯하여 기라성 같은 작가들이 많이 배출되었다. 그런데 모두 일류대학 출신의 엘리트 작가들이다. 한국문학의 경우도 대학출신 작가들이 적지 않지만, 일본의 근대문학은 거의 완전히 대학 출신, 그것도 소위 명문대학 출신들에 의해 주도 돼왔다.
이것은 근대 일본문학의 큰 특징이 아닌가 싶다.
그래서 알게 모르게 지식인 중심의 이야기, 엘리트 특유의 세계 인식이나 자의식이 지배하는 문학이 주류를 형성해 왔다.
나쓰메 소세키는 말할 것도 없고, 이름 있는 작가들이 거의 대부분 그렇다고 할 수 있다.“
네 명의 일본 여자를 나는 좋아한다.
특히, 아내에게 여자들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해 주었고, 아내 역시 네 명의 여자들을 좋아했었다.
아내는 가고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