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당앞들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매성리
매성봉(130.4m)
충청남도 홍성군 광천읍 매현리
매성평야
전라남도 나주시 산포면 등수리
매세교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교동
매소성(買肖城)
백제와 고구려가 멸망한 후 신라가 당(唐)나라의 세력을 몰아내는 결정적 계기를 마련한 전투가 벌어졌던 곳.
혹은 매초성이라고도 하며, 현재 남아 있는 성터는 둘레 670m, 넓이 1,960㎡로 한탄강 부근에 있는 천험의 요새이다. 백제 초기에 축성된 이 성은 백제→고구려→신라로 주인이 바뀐 역대의 격전지였으며, 특히 신라가 당나라 군대가 싸워 승리를 거둔 매소성 전투의 격전지로 잘 알려져 있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의하면 고구려의 매성현(買省縣)이 경덕왕 때에 내소군(來蘇郡)으로 개명되었는데 고려시대의 견주(見州: 지금의 경기도 양주시)가 이 곳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고구려의 매성은 곧 매소성일 것이라고 추정하여 지금의 양주 부근으로 비정되기도 한다. 매소성은 신라가 백제·고구려를 멸망시킨 뒤 당나라에 대한 항쟁에서 큰 승리를 거둔 지역으로 역사적 의의가 큰 곳이다.
675년(문무왕 15) 9월 29일에 당나라의 이근행(李謹行)이 20만의 대군을 거느리고 쳐들어오자 신라군이 매소성에서 이를 크게 격파하여 패주시켰다. 이 싸움에서 신라군은 당나라 군대의 전마(戰馬) 3만여 필을 얻었고, 이와 비슷한 수의 무기도 노획하였다. 이곳에서의 승리로 북쪽 육로로부터의 당나라 군대의 침략은 저지되기에 이르렀다.
성의 위치에 대해서는 경기도 양주시 어둔동의 양주산성설과, 남방동의 남방리산성설이 있었는데, 1984년부터 실시된 역사편찬위원회의 실측조사결과 경기도 연천군 청산면(靑山面) 대전리(大田里)의 대전리산성이 매소성의 터임이 확인되었다.
매소홀(彌趨忽, 買召忽)
땅 이름. 경기도 인천(仁川)의 고구려시대 이름. “仁川”을 참고.
매소홀교차로
인천광역시 남동구 서창동
매소홀로(買召忽路)
인천광역시 미추홀구를 거쳐 인천광역시 중구 항동 7가에서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 전재울 삼거리를 잇는 도로.
매소홀로(買召忽路)는 인천광역시 중구 항동7가의 한진 인천 국제 물류 센터 앞 서해 대로에서 갈라져 나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동,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학익동,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 및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관교동을 경유하여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 전재울 삼거리에서 끝나 남동 대로와 만나는 총 길이 7.5㎞의 도로이다. 도로 왼쪽 끝은 인천광역시 중구, 오른쪽 끝은 인천광역시 남동구이고, 구간 대부분이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해당된다.
매소홀로라는 명칭은 인천광역시의 옛 지명 매소홀(買召忽)에서 유래하였다.
매소홀로는 총 길이 약 7.5㎞의 도로로서 그 가운데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해당하는 구간의 총 길이는 약 6.65㎞이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해당하는 성신 아파트~낙섬 사거리~학산 사거리~법원길 삼거리 구간은 길이 약 4.26㎞의 6차선 도로이고, 법원길 삼거리~문학 사거리 구간은 224m의 6차선 도로, 문학 사거리~문학 경기장 사거리 구간은 약 1.75㎞의 4차선 도로, 문학 경기장 사거리~중앙 어린이 교통 공원 사거리 구간은 276m의 8차선 도로이고, 중앙 어린이 교통 공원 사거리~종합 터미널 입구 사거리 구간은 140m의 6차선 도로이다.
매소홀로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구간의 인접 건물 및 구조물로는 성신 아파트, 피그 농원, 용현 2단지 금호 어울림, 용현 대림 아파트, 옹진 군청, 인항 고등학교, 신창 비바 패밀리 아파트, 로디아 실리카 코리아, TBN 한국 교통 방송 인천 본부, 장미 아파트, 인주 중학교, 학익 1동 주민 센터, 롯데리아 인천 학익점, 신동아 2차 아파트, 문학 지하 차도, 문학 초등학교, 인천 향교, 인천도호부 관아, 문학 경기장, 인명 여자 고등학교 및 중앙 어린이 교통 공원이 있다.
매소홀터널
인천광역시 남동구 수산동
매소홀터널
인천광역시 남동구 수산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