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中 반도체 공장 노후장비 매각 시동… “방안 모색 초기 단계”
美 정부 눈치 보느라 창고에 쌓여가는 노후장비
“연내 판매 방안 모색해 내년부터 정리 작업”
中 시안 공장도 공정 전환 가속… 200단대 비중 높인다
황민규 기자
입력 2024.11.05. 14:59
삼성전자의 중국 시안 반도체 공장 전경./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중국 시안 반도체 공장 전경./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가 중국 시안에 위치한 낸드플래시 공장을 비롯해 다양한 전공정, 후공정 생산라인의 노후 장비 매각 작업을 조만간 시작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미국 정부의 압박으로 적절한 시기에 매각을 하지 못하고 쌓아놓기만 했던 장비들을 조만간 중국 현지 기업 또는 제3자를 통해 매각할 것으로 관측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반도체 부문(DS) 비용 절감과 생산라인 조정을 대대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가운데 골칫거리였던 중국 반도체 생산라인의 노후 장비 매각을 타진하고 있다. 이미 다수 업체들과 논의를 시작한 단계이며, 매각 작업은 내년에 본격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매각 장비는 100단대 3차원(D) 낸드 장비가 대부분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부터 중국 시안 공장의 공정을 200단대로 전환하는 작업을 추진해 왔다.
매년 수십조원 단위의 설비투자를 단행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반도체 생산라인을 첨단 장비로 교체한 뒤 낡은 장비는 중개업체 등을 통해 외부 기업에 판매해 왔다. 특히 레거시(구형 공정)을 선단 공정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이 같은 장비 매각은 필수적이다. 그동안 삼성전자의 구형 공정 장비는 중고 반도체 장비 시장으로 흘러 들어가 재활용되는데, 주요 수요처는 중국이다.
하지만 미 상무부가 2022년 10월 중국 기업에 첨단 반도체 장비를 수출하는 것을 금지한 이후 이 같은 매각 작업이 완전히 중단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 정부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18나노 공정 이하 D램, 14나노 이하 시스템 반도체 생산 장비·기술, 128단 이상의 낸드플래시 장비는 중국에 수출할 수 없다.
문제는 그동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미 제재에 해당하지 않는 장비들도 판매하지 않아왔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측은 공식적인 해명을 피했지만, 미 정부로부터 VEU(Validated End User, 검증된 최종 사용자) 지위를 얻기 위해 경영진이 최대한 조심스러운 행보를 보였다는 것이 업계의 해석이다.
VEU는 사전에 승인한 기업에만 지정된 품목의 수출 및 반입을 허용하는 일종의 포괄적 허가 제도다. VEU에 포함되면 미 상무부가 기업과 협의해 지정한 품목은 별도의 허가 절차 및 유효기간 없이 수출을 승인받을 수 있어 미국의 수출통제 규정 적용이 사실상 무기한 유예되는 효과가 있다.
업계 일각에선 여전히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전공정, 후공정 장비 판매가 급성장하는 중국 반도체 산업에 단비가 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실제 삼성전자와 오랜 기간 협력 관계를 맺어온 도쿄일렉트론(TEL)은 전체 분기 매출이 중국에서 50% 수준에 달할 정도로 레거시 장비를 중국에 대거 판매하고 있다. 이는 중국을 대표하는 D램 기업인 CXMT가 예상보다 빠르게 구형 공정 D램 시장에서 자리를 잡게 된 배경 중 하나로 꼽힌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협력사의 장비가 중국으로 직접 판매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제3국 중고업체나 유령회사로 매각됐다가 결국 다시 중국으로 되돌아가는 사례는 꾸준히 있었다”며 “미국 정부가 제재 대상으로 정한 장비 역시 일부 ‘어둠의 경로’를 통해 지속적으로 중국에 반입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CXMT, SMIC 등 중국 반도체 기업들이 D램, 파운드리 분야에서 레거시 공정 수율을 끌어올리는데 적잖은 기여를 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삼성전자 입장에서도 계속 구형 공정 장비를 방치하고만 있을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특히 지난 3분기 실적 부진을 기록한 삼성전자는 올 연말을 시작으로 대대적인 조직개편과 비용절감에 팔을 걷고 나선 상황이다. 국내 레거시 라인에도 대대적인 가동률 조정과 인력 조정을 단행할 것으로 예상되며 중국 공장 역시 예외가 될 수 없다는 것이 고위 경영진의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삼성전자 관계자는 중국 공장 장비 매각과 관련해 “해당 사안에 대해 이렇다 할 공식 입장은 없다”고 했다.
황민규 기자
황민규 기자
오늘의 핫뉴스
축구장 100개 규모 연구소에 3만5000명 채용하는 화웨이… 노키아·에릭슨·삼성전자는 감원 바람
'초봉 최대 3억' 3만5000명 더 뽑는다는 화웨이 新연구소
it 많이 본 뉴스
삼성전자, 中 반도체 공장 노후장비 매각 시동… “방안 모색 초기 단계”
삼성전자, 中 반도체 공장 노후장비 매각 시동… “방안 모색 초기 단계”
中 공세에 타격 입는 삼성 반도체… D램·파운드리 사업 전략 바꾼다
中 공세에 타격 입는 삼성 반도체… D램·파운드리 사업 전략 바꾼다
축구장 100개 규모 연구소에 3만5000명 채용하는 화웨이… 노키아·에릭슨·삼성전자는 감원 바람
축구장 100개 규모 연구소에 3만5000명 채용하는 화웨이… 노키아·에릭슨·삼성전자는 감원 바람
100자평5도움말삭제기준
100자평을 입력해주세요.
최신순찬성순반대순
mhkim21c
2024.11.05 16:56:15
중국기업에 팔게 아니라 저걸 국내 중소기업에서 인수해서 반도체 생산할 수 없을까요? 전세계적으로 18나노이하 D램반도체를 찾는 기업들이 많은데 꼭 삼전의 첨단 반도체만 고집할 필요는 없?아요?
답글
2
16
0
답글을 입력해주세요.
ybshim
2024.11.05 19:41:29
없습니다 고가로 매각 됩니다
미네르바
2024.11.05 19:30:29
국내에 그런 중소 소자업체가 있을까요?
RayJo
2024.11.05 16:46:49
폐기해야지 팔면 나중에 우리에게 불리할 것 같은데..
답글작성
14
0
파이럿
2024.11.05 19:46:42
시안은 당나라 수도 長安으로 시안국제공항 남쪽에는 韓민족계 피라미드 70여개가 줄지어 있다. 1963에진시황 무덤인줄 알고 발굴했다가 韓민족 유물이 쏟아져 나와 발굴을 3일만에 중단하고 함구령 내린후 동북공정시작하여 고구려,치우천왕,아리랑 다 지네 것이라고 하고 있다.하나만 발굴해보면 황하문명 이전의 우리 홍산문명이 황하문명대신 세계 4대문명에 들어간다. 시안 피라미드는 바로 제단으로 천정부가 편평한 것도 있으며 어떤 것은 한면에 계단도 있다.이집트 기자,멕시코의 테티오칸과. 같이 가로ㆍ세로 모두 200미터이고 높이는 시안 것이 약30미터로 제일 낮고 土壇이라 발굴하기 좋다. 이것은 기독교 한민족의 제2파 증거로,1파 증거는 세계 고인돌의 70프로가 한반도에 있는 것이고,3파는 발해 대조영 동생 야발왕의 19대후손인 징기스칸에 의한 세계정복이다. 당시 몽골인의20프로 차지하는 킬레이트족은 네스토리안교에 의해 복음화 되었었다.제4파인 한국은 선교사파송비율1위로 세계역사의 종결자이다
답글
1
2
0
답글을 입력해주세요.
파이럿
2024.11.05 19:56:18
관련 daum카페는 < 몽만한연합국 >이며 (cafe.daum.net/mongmanhan) 흥미진진한 기사들이 있다.
감자1
2024.11.05 20:59:52
삼성은 왜 경쟁국 중국에 유리한 짓을 하고 있을까? 삼성이 망조가 든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 그까짓 단기경영실적 좀 올리겠다고 구형장비를 중국에 파는 것은 어리석다. 미국의 제재가 없어도 중국에는 반도체 장비를 팔지 말아야 한다. 그냥 폐기하라. 이재용 회장은 그 자리에 있을 자격이 없어 보인다.
답글작성
1
0
회원66722905
2024.11.05 17:48:31
폐기하면 고철값도 못받는데 너같으면 폐기할래?
답글
1
0
5
답글을 입력해주세요.
감자1
2024.11.05 21:02:33
폐기 안하고 중국에 파는 것을 소탐대실이라고 한다.
많이 본 뉴스
1
삼성전자, 中 반도체 공장 노후장비 매각 시동… “방안 모색 초기 단계”
2
현대건설, 불가리아 코즐로두이 대형 원전 설계 계약 체결
3
中 공세에 타격 입는 삼성 반도체… D램·파운드리 사업 전략 바꾼다
4
“올해 핼러윈 가장 무서운 영상”… 외신도 놀란 현대차 로봇
5
40주년 앞둔 쏘나타, 얼굴 바꾸니 美 판매량 급증
6
[단독] 한국조선해양, 연구원 300명 불만 사항 ‘익명’ 조사한 뒤 ‘실명’ 노출
7
치킨업계 1·2·3위 얼굴, 한달새 모조리 바꿨다… ‘치킨왕’ 자리 놓고 스타마케팅
8
[단독] 14년 우여곡절 끝에 운항 멈춘 한강 유람선 아라호, 8번째 매각도 유찰
9
축구장 100개 규모 연구소에 3만5000명 채용하는 화웨이… 노키아·에릭슨·삼성전자는 감원 바람
10
그린벨트 해제 타고 올랐던 사조산업, 발표 후 주가 급락
연예 많이 본 뉴스
1
최웅♥김규선, 결혼발표(‘스캔들’)
2
과즙세연에게 16억 쏘고 손절당한 남성… “울화통 터진다”
3
과즙세연, 김하온과 단란 투샷 돌연 삭제…"무슨 사이예요?" 궁금증 폭발
4
아이브, 6人6色 같은 옷 다른 느낌…'빛과 그림자' 속 비주얼
5
'민효린♥' 태양, 아들 공개 …유모차 꼭 쥔 앙증맞은 손
6
“자녀 돌려줘”… 율희, '성매매 의혹' 최민환에 양육권 소송
7
추성훈, 골프치다 돌연 심장마비 父에 마지막 인사 "아직도 생생한데.."(강연자들)
8
아도이 오주환, '남산뷰' 내집마련+'1억' 제니 침대 사용.."출세했다" 감격('노필터TV')
9
한그루, 이혼쌍둥이 독박육아경력단절우울증..60→42kg 감량 함께 극복 [Oh!쎈 포인트]
10
연쇄성폭행범 정체는 30대 가장…"아내에게 싫증 나서 범행" 분노(용감한형사들3)
개인정보처리방침
앱설치(Android)
Copyright 조선비즈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