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ichael Cretu
그리스어로 수수께끼를 지칭하는 단어의 의미처럼 이니그마(Enigma)는 수많은 물음표 속에서 등장, 1990년 도 음악계를 대표하는 이름이 되었다.
전세계 음악계를 강타한 데뷔 싱글 Sadeness part 1이 형성한 충격파 속에서 이니그마는 기존 뮤지션들과는 차별되는 이슈들로 선전되었고, 또한 화제를 낳았다.
그 레고리안 성가와 육감적인 댄스 리듬을 결합시킨 혁신적인 사운드의 콜라주로 대중과 평론가 모두의 찬사를 받았고 팝과 클래식을 접목시킨 전자 인스트러멘탈의 선구자로 추앙 받았다.
또한 성서의 인용 구에 마르키 드 사드의 사상을 결부시킨 싱글 Sadeness part 1이 유럽의 카톨릭 국가들로부터 신성모 독이라는 이유로 방송 금지 당하며 사회 종교적 파문을 불러 일으켰다.
더불어 베일 뒤에 숨겨진 존재 가 대중들로 하여금 그에 대한 궁금증을 더욱 부추겼고 오히려 그것이 이니그마의 이름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결국 그것이 마이클 크레투(Michael Cretu)의 일인 프로젝트라는 사실이 밝혀지며 그에 대한 신비감은 깨어졌지만 이니그마는 대중의 상상력을 통해 성장하고 또한 스타덤에 오른 최초의 아티 스트가 되었다.
|
Moonlight flower라는 곡으로 잘 알려진 마이클 크레투는 1957년 5월 18일 루마니아의 수도 부쿠레 슈티에서 태어났다.
부쿠레슈티의 명문 음악 학교 Lyzeum No.2와 독일의 Frankfurt music academy에 서 클래식 피아노를 전공했지만 곧 자신의 이상을 클래식에서 팝으로 돌린 그는 스튜디오 뮤지션이자 어레인저로서 팝 음악계에 입문, 폴리그램과 버진 레코드사를 통해 Moon, light, and flower와 Legionare라는 두장의 솔로 앨범을 발매하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1980년대 중반 이후 마 이크 올드필드(Mike Oldfield)와 피터 코넬리우스(Peter Cornelius), 그리고 허버트 카(Hubert KaH)와 실비 바르땅(Sylvie Vartan) 등 유명 뮤지션들과의 작업을 통해, 또한 유럽 댄스계의 디바이자 현재의 부인인 산드라 로어(Sandra Laure)를 차트 정상에 올려 놓으며 작곡가이자 프로듀서로서의 명성을 또 한 쌓게 된 마이클 크레투는 '낡은 관습을 버려야만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 있다'는 소신과 핑크 플 로이드와 예스에 이어 신비주의에 입각한 음악을 만들겠다는 포부로 자신만을 위한 비밀 프로젝트를 결성했고 그 것이 바로 이니그마였다.
그 출발은 단순했지만, 이니그마는 마이클 크레투의 독특한 프로모션 방식에 힘입어
전세계적인 이슈 가 되었고 기대치를 훨씬 웃도는 성공을 거두어냈다.
독일 카펠레 안티쿠아의 합창 부분을 샘플링하여 표절 시비에 휘말렸던 그레고리안 성가와 최면을 거는 한 팬플룻 사운드, 그리고 나지막하게 속삭이는 산드라 로어의 매혹적인 목소리가 뒤엉켜 숭고한 동시에 도발적인 모습을 지니게 된 첫 싱글 Sadeness part 1은 아티스트의 존재가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에서도 23개국에서 싱글 차트 정상을 차지하는 초유 의 히트를 기록 했고, 이어 발매된 데뷔작 MCMXC a.D. 역시 41개국에서 앨범 차트 정상에 오름은 물론 빌보드 Top 200 앨범 차트에서 무려 5년간을 머무는 대단한 저력을 발휘했다.
마이클 크레투라는 실체가 밝혀지며 비록 그에 대한 신비감은 사라졌지만 이니그마는 획기적인 음악적 반전을 거듭하며 대 중과 평론가들의 관심을 묶어두었다.
2집 The cross of change 는 미 대륙 식민화 과정에서 발생한 인디언의 대량 학살을
노래한 Silent warrior와 Angel이라는 예명을 지닌 게스트 보컬리스트 앤디 하드(Andy Hard)가 목소리를, 줄리엔 템 플(Julien Temple)이 인간의 탄생에서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거꾸로 담아 인상적인 뮤직 비디오를 제 공한 Return to innocence를
동해 인디언과 중남미로부터 반추된 에스닉한 분위기의 요소들을 전면에 내세우며 전작의 분위기과와는 확연히 다른 멀티 컬처의 댄스 앰비언트 비트를 창출해냈고
루이자 스탠 리(Luisa Stanely)이 읊조림이 영화 2001:Space odyssey의 샘플링과 함께 장엄한 분위기를 연출한 Le roi est mort. Vive le loi!와 마이클 크레투와 산드라 로어의 이중창이 돋보인 TNT For the Brian, 그리고 줄루족의 합창 부분을 샘플링하여 아프리카적 정취를 가미한 Prismof life 등이 담긴 세 번째 앨 범 Le roi est mort. Vive le loi!(The king is dead, Long live the king!) 에서는 전작들의 요소를 결합 하여 전혀 새로운 것으로 만들어내는 밴드의 진화상을 보여주었다.
이니그마라는 이름을 간직한 채 매번 다른 모습으로 대중 앞에 서기를 원했던 마이클
크레투는 다양 한 샘플링과 참여 뮤지션이 라인업 교체를 통해 음악적 변신을 꾀했고,
이니그마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 역시 그에 초점이 맞춰졌다.
그들의 제 4집 앨범은 프랑스의 실존주의 철학가 장 폴 사르트르의 저서에 서 앨범명을 발췌한 The screen behind the mirror에 독일의 위대한 작곡가 칼 오르프(Carl Orff)의 대서사시 Carmina burana중 그 유명한 부분 O fortuna를 샘플링함으로써 이 작품의 음악적 색채를 규 정짓고 있다.
지구 자전에 대한 메시지를 전하는 엘리자베스 휴턴의 나레이션과 샘플링으로 사용된 Carmina burana(O fortuna)가 극적 대비를 이룬 오프닝 The gate와 로보틱한 신서사이저 음향과 몽 고리언 성가,
서로 다른 보컬 스타일을 지닌 엘리자베트 휴턴과 산드라 로어의 허밍이 자극적으로 버무 려진 Push the limits를 지나 접할 수 있는 첫 번째 싱글 Gravity of love응 Carmina burana(O fortuna)와레드 제플린의 When the levee breaks에서 빌어온 드럼 비트, 그리고 길게 여운을 남기는 옌스 개드의 기타 리프가 같은 맥박 속에서 고동치고 있는 영국의 댄스 프로젝트 밴드 올리브의 리드싱 어 루스 앤 보일의 섬세하면서도 파워풀한 보컬이 사랑에 실린 무게와 그 깊이를 가늠하게 하는 이 앨 범의 백미이다.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요소들을 배합하여 이니그마화 시켜버리는 음악의 연금술사 마이클 크레투 의 색채감이 풍부한 신서사이저 음향과 장엄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샘플링 그리고 전혀 과장되지 않은 보컬 사운드로 점철되어 있는 앨범을 통해 음악과
영혼, 그리고 묵상이 공존하고 있는 이니그마의 음악 세계로 발을 내딛는다.
이 글은 http://jhp90210.hihome.com에서 인용했습니다
Moonlight Flower
Come with me in the silence of darkness
I want to show you secrets of life
I'll guide you where dreams couldn't take you
She said and flew away in the night
You're the moonlight flower
You're the voice of the night.
When you call I'll follow.
We'll leave on the trip of delight
I have been to the heights of my senses.
Feeling the touch of your caress
I have seen the magic things under night skies.
Until the sunrise ended the spell
밤에 피는 꽃
나와 함께 가요 어둠의 정적속으로
당신에게 삶의 비밀을 알려주고 싶어요
난 당신을 꿈도 당신을 데려갈 수 없는 곳으로 안내해드릴깨요
그녀는 그렇게 말하고 밤속으로 저 멀리 날아가 버렸지요
당신은 밤에 피는 꽃이예요
당신은 이 밤의 목소리이구요
당신이 부르면 난 따라가리다
우린 기쁨의 여행을 떠날거예요
난 기쁨의 극치를 경험했어요
당신의 다정한 손길을 느낄 때
밤 하늘 아래에서 멋진 것들을 보았어요
떠오르는 태양이 그 마법을 풀 때까지 말이예요
<단어 및 어구해설>
* flew away: 날아가 버리다
* delight: (큰) 기쁨, 즐거움, 환희, 유쾌 ⇒ PLEASURE
- with ∼ 크게 기뻐하며.
- to my (great) ∼ 나로서 (매우) 기쁘게도.
- give ∼ to …을 몹시 기쁘게 해주다.
- He takes (a) great ∼ in his music lesson. 그는 음악 수업을 매우 즐기고 있다.
- He hugged the dog in ∼. 그는 기쁜 나머지 개를 꼭 껴안았다.
즐거움(을 주는 것), 기쁜 일, 큰 기쁨을 주는 것.
- the ∼s of cooking 요리의 즐거움.
- It was a ∼ to see you again. 다시 만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 …을 (매우) 기쁘게[즐겁게] 하다, 유쾌하게 하다.
- These paintings ∼ the eye. 이 그림들은 눈을 즐겁게 해준다.
- She ∼s us with her presence. 그녀가 와 있어서 우리는 매우 기쁩니다.
* heights : 《the ∼》 (권력인기의) 절정, (기쁨의) 극치
- at the ∼ of the battle 전투가 한창일 때에.
- be at the ∼ of one's fame[popularity] 명성[인기]의 절정을 누리고 있다.
- the ∼ of folly 이를 데 없는 어리석음.
- the ∼ of one's career 생애의 전성기.
* caress: 애무, 포옹(embrace); 키스; 귀엽게 어루만지기.
(세상 사람이 보이는) 존경, 인기.
…을 애무하다, 귀엽다고 어루만지다[쓰다듬다]; 《비유》 …을 (애무하듯) 가볍게
만지다.
- The gentle waves ∼ed the beach. 잔잔한 파도가 바닷가를 부드럽게 치고 있었다.
…에게 친절하게 하다, …을 부드럽게 대하다.
* spell: 주문(呪文), 마법.
- lay[put] a person under a ∼[=put[lay] a ∼ on a person] 남에게 마법을 걸다.
마법에 걸린 상태[기간].
- The ∼ was broken. 마법이 풀렸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