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만큼 내렸으면 이젠 지칠법도 한데
참 끈질기게 내리는 비였습니다.
잠시 비가 그친 사이
우리집 뒷베란다에서 바라다 본
물안개가 피어오르고 있는 도봉산자락이
마치 한폭의 수묵화 같았습니다.
모쪼록 커다란 비피해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비듬나물무침>>
★재료: 비듬나물350g, 된장2큰술, 고춧가루2큰술, 다진파1큰술,
다진마늘1큰술, 참기름1큰술, 통깨1큰술

비닐봉지에 담겨 있을 땐 제법 양이 많은 것 같았는데
다듬어 놓고 보니 얼마 안되네요.

깨끗이 씻어서

팔팔 끓는 ?에

숨만 죽을 정도로 아주 살짝 데칩니다.

찬물에 헹구어 내서

물기없이 꼬옥~~~짜주고

양념재료를 모두 넣고

골고루 잘 무쳐줍니다.

제가 된장에 무친 나물을 처음 먹어본 것은
32년 전 남편의 부산지점 발령으로 부산으로 이사 갔을 때 였지요.
이삿짐 트럭을 함께 타고 초겨울 저녁7시가 다 되어가는
어둑어둑해질 무렵에 도착했을 때
주인집에서 저녁식사를 대접해 줬는데
제게 퍽이나 인상적이었던 반찬이 "비듬나물 된장무침"이었어요.
저희 친정에서는 나물을 된장에 무쳐먹은 적이 없었거든요.
"아~~~ 나물을 된장에 무쳐먹기도 하는구나!"라는 걸 알게 된 거죠.

그런데 습관이 참 무섭긴 무섭더라구요.
저도 지금까지 나물을 된장에 무쳐본 적이 한번도 없는 거에요.
오늘 처음으로 시도를 해본 것이죠.
나름 된장의 깊은 맛과
고춧가루의 칼칼함과 깔끔함이 어우러져
맛은 아주 좋네요.

<<숙주나물무침>>
★재료: 숙주나물500g, 소금1/2큰술, 다진파1큰술, 다진마늘1큰술
통깨1큰술, 참기름1큰술

숙주나물이나 콩나물은 다른 나물에 비해
여러번 씻어야 하는 게 좀 번거롭죠?
콩껍질이 많아서 말이에요.

깨끗이 씻어서 물을 붓지 말고
그대로 큰 냄비에 담습니다.

뚜껑을 덮고

아주 약한불로 줄여주시고
그대로 둡니다.
저는 삶아내는 게 아니라
수증기를 이용해 살짝 쪄내는 거죠.
숙주나물 자체에 수분함량이 많기 때문에
불세기 조절만 잘 해주면 물을 붓지 않아도 괜찮아요.

뚜껑의 구멍으로 수증기가 새 나오면서
나물의 양이 반정도로 줄어들면

뚜껑을 열고 나물울 골고루 잘 뒤적여 준 다음

얼른 소쿠리에 담아 찬물로 헹구어 주고
그대로 물기를 빼줍니다.
물기가 빠지는 동안
다른 일을 하시면 시간이 절약되겠죠?

넓은 볼에 옮겨 담아
소금, 파, 마늘, 통깨, 참기름을 넣고

살살 골고루 잘 버무려줍니다.

전 사실 콩나물 보다 숙주나물이 더 맛있더라구요.


<<고구마줄기볶음>>

사무실 팀동료 중에 제일 나이 어린 팀원이 있는데
마음씨가 얼마나 고운지 비단결 보다 더 곱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거에요.
친정에서 가져 온 고구마줄기인데
새벽2시까지 다듬고 삶은 거라면서
저만큼을 주더라구요.
양념을 해서 주고 싶었는데 입맛에 안맞을지도 몰라
저보고 맛있게 해먹으라고 하면서 말이에요.

딱히 특별한 양념이 들어가는 게 아니라서
그냥 식용유를 넉넉히 두르고

중불에서 어느정도 시간을 두고 볶다가
고구마줄기가 부드럽게 익었으면

소금, 통깨, 파 마늘, 참기름을 넣고

한소큼 더 볶아줍니다.


<<어묵볶음>>
★재료: 어묵500g, 양파1/2개, 다진마늘1½큰술, 물1컵, 간장5큰술, 올리고당5큰술,
고춧가루2큰술, 통깨1큰술, 식용유 적당량

어묵은 적당한 크기로 썰어
넓은 냄비에 담아 물1컵과 간장5큰술, 식용유 적당량을 붓고
끓이기 시작합니다.

양파도 깎뚝썰기해서 넣어주고

간이 잘 배이도록 골고루 저어주고

고촛가루, 다진마늘, 통깨, 올리고당을 넣고
국물이 쫄아들 때까지 골고루 잘 저어줍니다.

전 고추장을 넣는 것보다
고촛가루를 넣는 것이 맛이 깔끔해서 좋더라구요.

양이 제법 많지요?

<<아삭이고추 된장무침>>
★재료: 아삭이고추600g, 된장4큰술, 올리고당4큰술, 다진마늘 1½큰술,
통깨2큰술, 참기름 적당량

꼭지를 따고 깨끗이 씻어서
소쿠리에 담아 물기를 빼고

넓은 그릇에 담아
된장, 올리고당, 참기름, 통깨, 다진마늘, 참기름을 넣고

골고루 잘 버무려 주면 끝~~~~
너무 간단하죠?

만드는 방법에 비해
맛은 아주 끝내주기 때문에
제가 자주 해먹는 반찬중에 하나랍니다.



진짜 특별하다고 할 건 하나도 없는
저같은 서민들이 언제 먹어도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반찬들 뿐이지요.
아참~~쪼오기 브로콜리 데친 것도 있네요.

그런데 반찬을 왜이렇게 여러가지 했냐구요?
사실 우리 사무실에선 월요일마다 점심시간에
팀회식이 있는데 팀원들이 돌아가면서 내고 있거든요.
내일이 제 차례인데 1인분에 5~6천원짜리 식사가 마땅칠 않고
집도 사무실과 멀지 않아 집에서 차리기로 했어요.
반찬이 저게 다냐구요?
아니죠, 시간이 제법 걸리는 잡채, 호박전, 가지전, 팽이버섯전
도토리묵무침, 국은 이따 저녁 늦게 준비해 놓으려구요.
상차리는 비용이 사먹는 거와 비슷한데
힘들게 뭐하러 사서 고생을 하냐고 하겠지만
일단 집에서 먹는 밥은 푸짐하고 더 맛있잖아요.
분위기도 손님으로 북적대는 식당과는 사뭇디르고....
어쨌든 내일은 즐거운 수다가 있는
맛있는 식탁으로 초대할게요.
기다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