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하고 연탄 들여놓으면 겨울 준비 마쳤다고 하던 때가 불과 30~40년 전이다. 어느 정도는 '생존'의 필수 조건이라는 뜻마저 포함하고 있던 그때와는 달리 지금은 비록 그 의미가 많이 퇴색되었지만 김장은 여전히 겨울나기 준비의 핵심이다. 적어도 우리 집에서는 그렇다. 달랑 두 식구 먹는 김장인데 해마다 배추만 해도 오십여 포기씩은 하고 있으니 생존의 필수조건이라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닐 것이다.


햇볕 보기가 어려운 탓에 이리저리 재다가 날을 잡은 게 이번 주말이다. 11월 내내 흐리고 비가 오락가락 하는 날씨였지만 기온만은 따뜻했는데 가는 날이 장날이랬다고 며칠 전부터 온도도 뚝 떨어지고 바람도 심하게 분다. 햇볕 좀 보고 김장하려다 추운 날씨속에 고생만 하게 생겼다.
작년까지는 텃밭의 배추 크기가 들쭉날쭉한 탓에 쓸데없이 포기 수가 많아 일만 많은 편이었는데 올해는 대부분 적당한, 어쩌면 내가 원하던 크기보다 더 크게 자랐다. 그래서 올해는 작년보다 열다섯 포기 정도 줄인 45포기만 수확해서 다듬고 절이는 작업에 들어간다. 나는 너무 속이 꽉 찬 배추는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 배추를 가르면서 칼을 넣어 보니 무거운 느낌이 드는 배추가 꽤 있다. 칼이 무겁게 들어간다는 건 배추 속에 빈틈이 별로 없이 밀도가 높다는 뜻이다. 이는 수분을 그만큼 많이 함유하고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물 안 주고 키운 두 달의 노력이 늦가을 장마에 물거품이 되었다는 게 아쉽기만 할 뿐이다.


배추 절이는 작업은 몇 해에 걸쳐 이런저런 방법을 써 봤는데 작년부터는 김장용 비닐봉투에 하는 걸로 결론내렸다. 굴리기도 뒤집기도 편해서 절이는 시간도 단축되고 해체하기도 편해서 씻는 시간도 줄여주는 것 같다. 다만, 단점이라면 막 굴리다간 비닐이 터질 수 있다는 것. 10시간 정도 절인 다음 씻어 건져 내는 것까지 마치니 새벽 두 시다. 나름 아침부터 시작한다고 움직였는데 멸치 액젓 달이고 거르는 작업을 병행하다 보니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렸다. 여기까지가 오롯이 내가 할 일.
절이는 중간중간 옆지기와 함께 김장소에 들어갈 마늘을 까고 생강과 쪽파를 다듬고 찹쌀풀을 쑤고 다싯물을 만드는 등 양념 준비도 곁들인다. 전부 직접 재배하거나 담근 것이지만 생새우와 청각은 따로 과역장에 나가서 구입했다. 도저히 내가 어찌할 수 없는 것들이다.


김장은 사실 양념소 만들어 버무리는 과정보다는 그 전에 준비하는 과정이 더디고 힘들다. 하루 온종일 준비한 재료를 가지고 막상 사십여 포기 절임배추에 양념 버무리는 건 세 시간 남짓이면 끝이다. 그것도 김치통과 항아리에 넣는 작업까지 포함해서. 전부 김치냉장고 용기 8통과 25L짜리 항아리 하나에 들어갈 양이다.
이틀간의 노동에 대한 댓가는 돼지 목살 보쌈에 막걸리 한 잔. 소박한 보상이다.
김장하고 연탄 들여놓으면 겨울 준비 마쳤다고 하던 때가 불과 30~40년 전이다. 어느 정도는 \'생존\'의 필수 조건이라는 의미마저 포함하고 있던 그때와는 달리 지금은 비록 그 의미가 많이 퇴색되었지만 김장은 여전히 겨울나기 준비의 핵심이다.
첫댓글 배추 때깔보니 엄청 맛나 보여요~~ㅎ
감사합니다..
광합성 시키느라 배추 속을 자주 벌려 주었습니다.
수고 하셨어요~
김장은 준비 하는 과정이 더 힘들죠
치대는건 그래도 빨리 끝나는것 같아요
보기만 해도 뿌듯합니다
네, 그렇습니다.
힘든 건 제가 하고 치대는 건 옆지기가 합니다.^^
바쁜 와중에 한컷 한컷~^^
소중한 자료예요..
ㅎ
별로 바쁜 건 없었습니다.^^
시간을 다투는 일은 아니니까요...
배추겉절이에




^^+
돼지보쌈 먹고싶네요
김장하셔서 맛나게 드시기 바랍니다.^^
나두 푸른잎이 많은걸 좋아하는데 맛있어 보이네요~~^^
네..
저도 속만 노란 배추는 싫어합니다.^^
그냥 갈수없는 때깔이네요~~ 배추 넘 이쁘고 맛있어보여요
옛날엔 눈이펄펄 내릴때 100포기 했어요 친정 아버지가 신김치를 안좋아하셔서...ㅠ
그렇게 만이도 했는데.. 지금은 먹을거리가 만으니 ....열포기도 안하죠...?
행복한 겨울 나세요 ~~^^
감사합니다..
정말 옛날엔 김장 엄청 많이 했죠.
지금은 50포기 정도 하나 저희 집 보고 김장 많이 한다고 하는 시대죠.^^
혼자서 45포기 하신거예요??? 대단하십니다~~사진보니 군침이 도네요...^^
수확하고 절이고 씻는 거 까지는 제가,
양념 치대는 건 옆지기가 하죠..ㅎ
배추가 고슬고슬 물기 없이 ᆢ크기도적당하니 정말 맛있는 김장 담그셨네요ᆢ욕심납니다ᆢㅋ
김장은 준비과정 과 버무르는 게 힘들어도 내식구들이 맛있게 먹는모습보면 흐뭇하더라구요 ᆢ일년농사 잘지으셨습니다ᆢ
감사합니다.
직접 키우니까 가능한데 막판에 장마라서 비를 좀 많이 머금었습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그렇죠.
소비자들이 속 차고 무거운 배추가 좋은 배추로 알고 있고, 무게 많이 나가는 게 경매가가 비싸니까요..
배추가 정말 꽃처럼 이뻐요.
김장 부럽습니다
ㅎ
너무 과한 칭찬의 말씀입니다.^^
맛난 김장 담그시기 바랍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맛있는 김장 되시기 바랍니다.
와우 ~
배추가 너무 맛나 보입니다.
김치도 정말 맛나겠지요.
군침이 도네요 ~
ㅎ다들 배추만 탐내시네요..^^
배추 자태가 쉑시할 정도로 보기 좋아요
때깔도 색상도...김장 전 과정에 임하시는 태도가 사뭇 근엄하셔요 ㅎㅎ
정감가는글 감사히 읽었습니다. ^^
작업의 편의성 때문이죠.
겉잎 벗겨내면서 일렬로 늘어놓으면 반 가르기 작업할 때 훨씬 쉽지요.
아무렇게나 던져버리는 것보다 작업속도도 빠르고요.
몇 년 해보면 이게 빠르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물 안주고 키운다는~ 공감합니다. 고수시네요~
배추는 뿌리의 활력이 아주 큰 작물이기 때문에 일부러 물을 줘서 키울 이유가 없습니다.
소비자들이 무식하게도 크고 무게 많이 나가는 배추가 좋은 줄 알고 있고
농민들은 묵가 많이 나갈수록 비싸게 팔 수 있기 때문에 스프링쿨러 돌려가면서 키우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