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urning Point for the Global Recession?
세계적 경기침체를 향한 전환점인가?
Economic crises never happen overnight. They are the result of years, even decades, of global economic change, policy errors and investor misjudgment. But there always seems to be that one moment — the Wall Street crash of 1929, the fall of the Thai baht in 1997 — when long-simmering trends coalesce to cause a dramatic loss of confidence. For what has turned out to be the worst recession in 70 years, that moment came on Sept. 15, 2008, when Lehman Brothers filed for bankruptcy and bankers around the world asked that most lethal of questions for world financial stability: If a bank as well known as Lehman can fail, who is safe? And off we went, spiraling with head-swimming speed into recession.
경제위기는 지난밤 중에 일어난 것은 아니다. 그것은 수년간의 혹은 수십 년간의 세계적 경제변화와 정책오류와 투자자들의 오판의 결과이다. 그러나 항상 1929년의 월스트리의 붕괴와 1997년에 태국 바트화의 폭락과 같이 오랫동안 터질 기류들이 한데 모여 자신감에 대한 극적인 손실을 일으키는 순간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리먼브러더스가 부도처리 신청을 하고 세계의 은행가들이 세계의 경제안정에 대해 최악의 의구심을 제기했을 때 70년 만의 최악의 경기침체로 인해 그 순간이 2008년 9월 15일 찾아왔다: 만약 리먼과 같이 잘 알려진 은행이 망할 수 있다면 누가 안전할 것인가? 그리고 머리가 어지러울 정도의 스피드로 침체기로 빨려 들어가면서 우리는 정신을 잃을 정도였다.
As terrified bankers refused to lend, global economic activity hit a wall. Ships lay idle as trade fell to a trickle. Protests erupted in Reykjavík as Iceland tumbled into bankruptcy. Even mighty China shuddered with fears of mass unrest as millions of workers were tossed from jobs at shuttered export factories. And as policy became alphabetized, with predictions that the recession would resemble a U, V or W, some worried the global economy would mimic the letter L — an interminably protracted period of meager or no growth much like the one that has plagued Japan for nearly 20 years. (See pictures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공포에 질린 은행가들이 대출해주기를 거부할 때, 세계경제활동은 곤란해진다. 거래가 줄어듦에 따라 사람들은 일자리를 잃는다. 아이슬란드가 국가부도에 직면하자 Reykjavík에서 저항이 분출했다.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문을 닫은 수출업체에서 일자리를 잃게 됨에 따라 심지어 강력한 힘을 가진 중국도 거대한 불안의 공포에 떨어야 했다. 그리고 정책이 나옴에 따라 경기침체가 U, V, W자형을 닮을 것이라는 관측과 함께 어떤 사람들은 세계적인 경기침체가 L자형이 될 것이라고 걱정했다- 거의 20년 동안 일본을 괴롭힌 것과 같이 불황이나 제로성장 기간의 연장과 같은 것 말이다.
That hasn't happened, and one year after the Lehman bankruptcy, as policymakers and pundits gather to take stock — the summer meeting of the World Economic Forum opens in Dalian, China, on Sept. 10 — it appears less and less likely that it will. Yes, economic conditions remain miserable.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predicts the world economy will contract 1.4% this year, the worst performance since the end of World War II. But everywhere economists can point to what they call "green shoots" sprouting in the gloom. Japan, Germany and France emerged from recession in the past quarter, and economists are busily upping forecasts for U.S. growth. After a brief pause, China has returned to its caffeinated growth path, lifting much of Asia with it. "The worst-case scenario of a complete economic and financial meltdown has clearly been avoided," says Julian Jessop, chief international economist at consulting firm Capital Economics in London. Jim O'Neill, chief economist at Goldman Sachs, proclaims: "We're out of recession globally."
그런 사태는 일어나지 않았다. 그리고 리먼 파산 후 일 년 만에 정책입안자들과 전문가들이 주식을 끌어 모으기 시작함에 따라 그런 사태가 일어날 가능성이 더 적어진 것으로 보인다.-9월 10일 중국 다롄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의 여름모임. 그렇다. 경제조건은 아직 참혹하다. 국제통화기금은 세계경기가 올해 1.4%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그것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최악의 결과다. 그러나 세계 도처에서 경제학자들은 “그린슈트”라고 부르는 서서히 밝아지는 점들을 언급할 수 있다. 일본과 독일과 프랑스는 지난 분기동안 침체에서 벗어났고 경제전문가들은 미국의 성장에 대한 예측치를 분주히 올리고 있다. 잠깐의 침체 후, 중국은 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의 성장을 도우면서 자신의 성장세로 되돌아갔다. “완벽하게 경제적 그리고 재정적인 붕괴의 최악의 시나리오는 비켜갔다.“고 런던의 컨설팅회사 캐피탈 이코노믹스의 상임경제연구원 줄리안 제솝은 말한다. 골드만삭스의 상임경제연구원 짐 오넬리는 ”우리는 세계적 경기침체에서 벗어났다.“고 공언한다.
Yet even if a recovery is on track, this recession will not be like most others, when what went down simply came back up. The downturn is having a fundamental impact on the globe's economic future. The world after the Great Recession won't be the world that existed before.
Perhaps most importantly, the recession has altered the role of the U.S. in the world economy. For decades, the U.S. consumer has been the primary driver of global growth. The inherent dangers of such dependence on one source had long been obvious, and now that the financial crisis has finally reined in debt-gorged Americans, the world has launched a quest to find replacements. To turn its citizens from savers to spenders, China doled out subsidies to buy cars and appliances and revved up efforts to construct a stronger social safety net. In Taiwan, where the export-oriented economy was among the worst hit, the government is promoting new domestically focused industries like tourism. "We were hard-hit by the shrinkage of the export market in the U.S.," Taiwan President Ma Ying-jeou told TIME. "So one lesson we learned is we should diversify our export markets."
그러나 회복이 본 궤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침체는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을 바꾸어놓았다. 수십 년 동안 미국소비자들은 세계경제성장의 주요한 역할을 맡아왔다. 그러한 하나의 소스에 대한 의존으로 인한 본질적인 위험은 명백해졌으며 지금 금융위기가 빚으로 쪄든 미국인들에게 종국적으로 제한을 가하게 했고 세계는 그들의 위치에 대한 재조정을 위한 의문점을 제시했다. 저축자에서 소비자로 시민들을 바꾸기 위해 중국은 차와 생활용품을 사도록 보조금을 지급했고 더 강력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을 경주하였다. 수출주도의 경제가 최악의 타격 사이에 서있는 타이완에서는 정부가 관광과 같은 새로이 국내중심산업을 부흥시키고 있다. “우리는 미국으로의 수출시장에서 축소로 인해 크게 충격을 받았다.”라고 타이완 대통령 마잉주는 타임지에서 말했다. “그래서 우리가 배운 한 교훈은 우리가 우리의 수출시장을 다변화해야한다는 것이다.”
The effort is showing signs of success. Asia is leading the way out of recession, with the help of the pocketbooks of its own consumers. The region's three largest countries — China, India and Indonesia — have remained buoyant through the downturn due in great part to domestic demand. The spending power of Asia's newly rich has stimulated the beginnings of a recovery throughout the continent. Continuing that trend has become a matter of official policy; India, for example, inked free-trade agreements with South Korea and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in August. It is not fanciful to think that Asia is on its way to becoming a self-propelling trade bloc, decoupled from the U.S.
Yet questions remain about whether there has been enough change to set the recovery on a truly sustainable course. Stephen Roach, chairman of Morgan Stanley Asia, worries the giant imbalances that contributed to the crisis — excessive debt and deficits in the U.S. matched by excessive savings elsewhere — are still a danger to the world economy. Policies aimed at supporting growth, such as Washington's Cash for Clunkers initiative, says Roach, may only perpetuate those imbalances by reinforcing America's unhealthy consumerism and the world's reliance on it. "We've stopped the bleeding, but it is not clear to me that we're moving back to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underlying health of the global economy," he says. "Unless the world comes up with more than one consumer, the recovery is going to be anemic."
이러한 노력은 성공신호를 보여주고 있다. 아시아는 지역 내의 소비자들의 재력의 도움에 힘입어 침체에서 벗어나는 것을 주도하고 있다. 아시아의 가장 큰 세 나라-중국, 인도, 인도네시아-는 대부분 국내수요로 인해 하락세를 지나 상승세로 남아있다. 아시아의 신흥부유층의 소비력은 아시아를 통틀어 회복의 시작을 자극했다. 그 추세를 지속하는 것은 공공정책의 문제가 되었다;예를 들어 인도가 8월 한국과 아세안과 FTA를 체결하였다. 아시아가 미국으로부터 벗어나 스스로 이룬 무역연합이 되어가는 길에 있다는 것은 더 생각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진정 유지가능한 길로써 회복으로의 충분한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한 의문이 남는다. 모건스탠리아시아 사장 스테핀 로체는 위기에 기여한 거대한 불균형을 걱정한다-도처에 과도한 예금을 함으로써 일어난 미국의 과도한 빚과 적자는 여전히 세계경제에 위협이다. 로치가 말하듯이 구시대적인 유물의 주도권을 위한 워싱턴의 자금흐름과 같이 성장을 지지하는데 의도된 정책은 미국의 불건전한 소비주의와 미국에 대한 의존을 재강화함으로써 이러한 불균형을 영속시킬 뿐이다. “우리는 출혈을 멈췄지만 세계경제의 건전성을 기초로 하고 의미 있는 향상으로 되돌아가고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라고 그는 말한다. “세계가 미국을 능가하지 못한다면 회복은 불가능해질 것이다.”
Such uncertainty about the true nature of the recovery underlines the next big challenge: How can policymakers nurture the nascent revival while mitigating the dangers of doing so? The only way the world avoided a more severe recession, even a depression, was the unprecedented intervention of governments and central banks — the near-zero interest rates, bank rescues, fiscal-stimulus programs and, in some cases, industrial bailouts. But such government action, if maintained for too long, can lead to asset-price bubbles and other destabilizing evils. Close the spigot too quickly, though, and the recession — think the letter W — could return. (See pictures of the Top 10 scared traders.)
That possibility makes unwinding state stimulus measures a tricky game. The conundrum is most advanced in China. As growth returns, the easy money that has lifted the economy might encourage a dangerous escalation in property prices while undercutting banks' balance sheets. But any rumor of tightening sends Shanghai stocks into a tailspin.
회복의 진정한 본질에 대한 이러한 불확실성은 다음의 큰 도전을 강조하게끔 한다.: 정책입안자들이 불황이 오는 것에 대한 위험을 누그러뜨리는 동안에 초기의 반복을 어떻게 방지할 수 있을까? 세계가 더 가혹한 침체나 혹은 심지어 불황을 피하는 유일한 방법은 정부와 중앙은행의 예측되지 않은 간섭이었다.-거의 제로금리, 은행규제, 재정부양프로그램, 어떤 경우에는 산업긴급회의. 그러나 이러한 정부조치가 너무 오래 지속된다면 자산가치거품과 다른 불안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무 빨리 뚜껑을 막으면 W자와 같이 침체는 되돌아올 수 있다.(표시된 상위 10개의 무역회사 그림을 참고하라.)
이러한 가능성은 문제를 해결하는 국가부양책을 계략게임으로 만들어버린다. 그 문제는 중국에서 가장 먼저 진행되었다. 성장이 되돌아옴에 따라 은행의 회계장부를 허약하게 만듦으로써 경제를 부양시켰던 돈들은 자산 가격에서 위험한 상승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Even when the era of big stimulus comes to a close, the reign of big government is unlikely to end with it. The world economy hasn't experienced such a heavy government hand since the 1970s; the recession has reopened the debate over the appropriate roles for the state and market in a modern economy. In Dalian, and again at the next G-20 meeting in Pittsburgh, Pa., there will be much talk of overhauling the world financial system to prevent a meltdown from happening again.
Yet before we worry about the next downturn, we still have to get through this one. The world economy may be over the worst, but we're still far from where we were before the crisis. The U.S. has lost 6.7 million payroll jobs since December 2007. "It'll take a long, long time to make up all the economic activity that was lost during the recession," says Jessop of Capital Economics. One year after the fall of Lehman, the best the world can collectively do is keep all fingers tightly crossed.
—with reporting by Adam Smith / London
심지어 거대경기부양책의 시대가 끝나갈 무렵 큰 정부는 그것과 함께 끝날 것 같지는 않다. 1970년대 이후로 세계경제는 거대정부를 겪어보지 못했다. 침체는 현대경제에서 국가와 시장의 적절한 역할에 대한 논쟁을 재개시켰다. 다롄에서 그리고 다시 플로리다의 피츠버그에서의 G-20 회담에서 다시 이러한 사태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세계금융시스템을 진단하는 것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음 침체를 걱정하기 이전에 우리는 이것을 한번 생각해보아야만 한다. 세계경제는 최악의 사태를 지났을 지도 모르지만 우리는 여전히 위기 이전의 지점에서 멀리 벗어나있다. 미국은 2007년 10월 이후로 600~700만개의 일자리를 잃었다. “침체기 동안 잃었던 경제활동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다.”라고 캐피탈 이코노믹스의 제솝은 말한다. 리먼의 사태 1년 이후 세계가 연합하여 할 수 있는 최상의 것은 두 손을 모두 모으는 것이다.
-런던에서 아담 스미스에 의해 제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