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음 닦는 법과 육바라밀은?
<옮긴이 법무사 김형학>
-이글은
제4분의 ’마음 닦는 법 妙行無住分‘은
# 육바라밀의 자기 생활화?
# 六波羅密을 修行하라!
# 현상에 집착하지 말라.!
순서로 쓰고 있지요.-
자~
# 妙行無住分 第 4는~
위의 수보리가 수행하는 법문을 청할 때
’어떻게 마음이 머물러야 하는가?
應云何住 ?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가 ?
云何修行 云何降伏其心?
라는 두가지 질문을 했지요.
그 첫 번째 질문은~
마음 머무는 법에서
네 가지 마음에 머무르되 4相을 항복
시키라‘고 했고,
여기서는
그 두 번째 질문에 대한 대답이랍니다.
’보살은 육바라밀을 수행해야 하며,
그것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4相에 집착하지 말라.‘
자~
이것은 보이는 세계, 들리는 세계,
우리 눈 앞에 펼쳐진 현상에~
세속적인 세계에~
욕심내거나 집착하지 않는 것이지요.
육바라밀을 닦는다는 말을
不住相 보시, 無住相 보시라고 한답니다.
’보시‘라는 말 속에는 육바라밀이~
다 들어있지요.
☀반야 바라밀의수행은 無住相 보시
이랍니다.
무주상 보시는~
色聲香味觸法에 집착하지 않고,
보시를 닦고 持戒를 닦고
인욕을 하고, 정진을 하고,
또 선정을 닦고,
지혜를 닦는 보시 이지요.
그러나
집착하지 않고 닦기 때문에
닦기는 수없이 닦지만~
닦는다는 마음은 없답니다.
또 수보리야,
보살은 온갖 법에 대하여
마땅히 머무름이 없이 공덕을 닦아야
하나니,
이른바
보이는 것에 집착하지 아니하고,
소리에 집착하지 말고, 좋은 냄새,
맛있는 음식, 여러 가지 촉감,
자기 주장에 집착하지 아니하고,
공덕을 닦아야 하느리라.
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하냐?~
동쪽에 있는 허공을 생각하여
헤아릴 수 있겠느냐?
’못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남쪽 서쪽 북쪽 네 간방과
위 아래에 있는 허공을 생각하며
헤아릴 수 있겠느냐?‘
’못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보살은
이 현실적인 욕망에 끌리지 않고
중생의 평화와 행복을 위해서
공덕생활을 하는 공덕도~
그와 같아서
생각하여 헤아릴 수 없느리라.
수보리야, 보살은
단지 이렇게 가르쳐 준 대로만
실천해야 할 것이니라.‘
復次 須菩提 菩薩 於法 應無所住 行於布施
所謂不住色布施 不住聲香味囑法布施
須菩提 菩薩 應如是布施 不住於相 何以故
若菩薩 不住相布施 其福德不可思量
須菩提於意云何 東方虛空可思量不不也
世尊 須菩提 南西北方四維上下虛空
可思量不不也
世尊 須菩提
菩薩無住相布施 福德亦復如是 不可思量
菩提樹 菩薩 但應如所敎住
자~
☀현상에 집착하지 말라.~
현상에 집착하면 결국은 잡히지도 않고
끝내 허망할 뿐이랍니다.
-이글은
My kakaotok Law Life.kr
에서 퍼 온 글입니다.-
-See You Again-
<옮긴이 법무사 김형학>
카페 게시글
우리들의 이야기
# 마음 닦는 법과 육바라밀은?
김형학
추천 0
조회 122
24.07.28 07:23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