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혈액 검사 시 설명
by 버티는 삶의 스토리~ 하루이만보 2021. 9. 27. 16:01
우리 암환우들은 혈액검사를 자주합니다.입원해서는 매일하기도 하죠.. 하지만, 항목들이 너무 많아 무엇이 무언지 잘 모르죠.그래서 각각의 항목이 무엇인지 어떤 관련이 있는지 간략히라도 알고 있으면 좋겠다.
지난 번에는 간질환 관련 피 검사를 올렸고, 이번에는 혈액검사 전체 항목에 대해서 올려본다.그리고 검사결과의 참고범위는 검사기관마다 조금씩 달라, 약간의 차이는 걱정할 필요가 없다.
■WBC Count(백혈구수)=>이 수치가 증가하면 신체의 염증을 나타내는 질환을 의심할 수 있으며 심하게 높으면 백혈병으로 발전 할 수 있다. 간경화,간암등에의한 간질환의 염증,감기, 치통, 비염등의 염증에도 상승할수 있습니다.
■RBC Count(적혈구수)=>부족하면 빈혈이 생길뿐아니라 신체 여러기관에 산소 부족으로 인한 이상증세가 나타나게 됩니다.
■Hb(hemoglobin:헤모글로빈)=>적혈구중에 함유된 단순단백질의 일종으로 빈혈측정의 가장 기본적인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이수치가 낮으면 빈혈이 올수 있습니다.
■Hct(hematocrit:헤마토크리트)=>체내 혈액의 물과 건더기 성분 중에 건더기가 얼마나 차지하는가를 보는 지표로 이 수치는 혈액 중 적혈구의 비율로 빈혈과 수화 상태를 나타냅니다.
■MCV(Mean Corpuscular Hemoglobin의 약어로 평균 적혈구 혈색소)=>이 수치는 크게 차이나지 않은 이상 그다지 중요성을 두진 않습니다.
■MCH(Mean Corpuscular Hemoglobin의 약어로 평균 적혈구 혈색소)=>적혈구 1개당 헤모글로빈이 얼마나 들어 있느냐를 보는 수치입니다.
■MCHC(mean cell hemoglobin concentration의 약어로 평균혈색소농도)=>적혈구 1개당 헤모글로빈 농도를 보는 수치입니다.MCH나 MCHC 모두 정상치에서 크게 벗어난게 아니라면 큰 의미는 없습니다.
■Platelet Count(혈소판수)=>혈액의 유형성분인 혈구의 하나로 혈액의 응고나 지혈작용에 관여합니다.이 수치가 낮으면 몸의 면역기능이 떨어지고 혈액의 응고가 잘 않됩니다.
■RDW[Red cell Distribution With의 약어로써 적혈구 분포폭, (CV)단위는 백분율:%로 표시되는 측정방법)=>적혈구 크기의 고른정도를 나타냅니다.
(SD)단위가 정량치:fl로 표시되는 측정방법)=>RDW[Red cell Distribution With의 약어로써 적혈구 분포폭
■PDW(platelet distribution width의 약어로써 혈소판 분포폭)=>이는 혈소판의 수치가 떨어지는 경우 (여러 원인들에 의해), 골수에서 체내 혈소판을 보충해 주기 위해서 과다하게 생성을 하게 되어 수치가 올라가게 되며 이는 미 성숙 혈소판이 많다는 뜻입니다.
■MPV(mean plasma volume의 약어로써 평균 혈소판 용적)=>혈소판의 용적이나 수치가 떨어지면 작은 충격이나 손상에도 출혈의 위험이 큽니다.
■P-LCR(Platelet-Large Cell Ratio의 약어로 혈소판 거대세포 비율)=>
이 수치가 높으면 인간 거대세포바이러스가 침입한 원인으로 일종의 거대세포 바이러스증이라는 희귀한 질환으로 봅니다.
■PCT(Porphyria cutanea tarda(지연(만발성)피부포르피린증)=>
이수치가 올라가는 경우는 음주, 경구 피임약, 폐경기 증후군, 당뇨병등과 관계되어 나타나는 수가 많습니다.
■MCV/MCHC index[MCV/MCHC 지수(MCV와MCHC의 비율을 의미하며]=>
철 결핍성 빈혈,
철적아구성(빈혈비타민₁₂와 엽산부족): MCH,MCV,MCHC 모두 감소
만성 실혈,지중해성 빈혈, 연중독: MCH, MCV 감소
급성 실혈, 만성 신부전증, 재생불량성 빈혈: MCH,MCV 정상
악성 빈혈: MCV,MCH 증가 MCHC 정상 simple microcytic anemia MCH 감소 MCHC 증가]를 나타내며 빈혈의 원인을 파악하기위한 측정항목임
■WBC Differential Count(백혈구 일종의면역관련 혈구수)
■Lym%(림프구의 백분율)=>백혈구의 하나의 형태로 백혈구는 자체가 식균작용을 하기때문에 세균이 침입했다면 그에 맞서 싸워야 되니까 수치가 상승할 수 밖에 없습니다.
■Lym#(림프구의 절대치)=>상기내용 참조
■Mono%(단핵구의 백분율)=>단핵구 수치가 높다는 것은 감기, 홍역, 눈병등,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때 높아질 수 있고 이 수치가 높다고 해서 어떤질환이 있다고 단적으로 이야기 할 수는 없습니다.
■Mono#(단핵구의 절대치)=>상기내용 참조
■Neu%(호중구의 백분율)=>백혈구의 구성 성분중 중성구(neutrophil)는 주로 세균 감염이 있을 때 많이 증가하나 염증만 있어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Neu#(ANC)(호중구의 절대치)=>백혈구의 구성 성분중 중성구(neutrophil)는 주로 세균 감염이 있을 때 많이 증가하나 염증만 있어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항목은 암환자에게 항암제를 투여할때 인체의 면역능력을 보는데 활용되며 항암제 투여기준은 1500 이상이 되어야 가능합니다.
■Eo%(호산구의 백분율)=>호산구는 기생충 감염시 흔히 증가되나 그 외에도 각종 알레르기성 질환에도 증가되는 현상이 관찰됩니다.
■Eo#(호산구의 절대치)=>상기내용 참조
■Ba%(호염기구의 백분율)=>세균성 감염 : 또는 바이러스 감염과 화농성 감염, 조직괴사 및 염증 : 근염 (myositis), 혈관염, 대사 질환 : 요독증 등에서도 올 수 있고 악성종양, 암, 림프종급성출혈 및 용혈- 약물 :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 시에도 증가하고
백혈병 등 골수구증식성질환 때도 증가 할 수 있으며 천식이나 알레르기 질환 시에도 증가합니다.
■Ba#(호염기구의 절대치)=>상기내용 참조
■Albumin(혈장단백질)=>간기능을 보능 항목으로 참고치이하로 많이떠어지면 간기능 부전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Total Protein(총단백질)=>간에서 단백질을 분해하는 능력을 보는것으로 이수치가 떨어질때는 식사를 제대로 잘 하고있는데도 간기능 저하로 떨어지거나 또는 단백질 성분이 적은 음식을 섭취 할때에도 떨어집니다.
■Glucose(포도당:혈당)=>당뇨를 측정하는 항목으로 식전혈당과, 식후 2시간 혈당이있으나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BUN(혈액내 요소질소)=>이 지표는 신장의 기능보다는 체내 수분 균형과 질소 대사와 관계된 내용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BUN이 콩팥기능을 어느 정도 대변하는 수치 중의 하나이고 정상범위를 벗어났다라는 것 외에 별다른 의미가 없습니다.
■Creatinine(신장기능의 지표)=>크레아티닌 수치가 정상 이하의 수치라면 소변으로 노폐물 배설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며, 정상 이상의 수치라면 신장의 노폐물 배설 기능이 떨어진 것이라고 판단합니다.
■Bilirubin,Total(총빌리루빈)=>급성간염, 활동성 만성간염, 간경변증, 용혈성 지혈등에서 수치가 올라갑니다.
■Bilirubin, Direct(직접빌리루빈)=>간세포 이상과 담즙 유출장애 등에서는 Direct bilirubin이 더 많아집니다.
■AST[SGOT](간기능;염증검사)=>간에 염증이 많으면 증가합니다.
■ALT[SGPT](간기능;염증검사)=>AST[SGOT]와 ALT[SGPT]의 비율이 커질수록 간경화일 경우가 많습니다.
■r-GT(Gamma-GTP)=>간기능 쇠약, 음주, 뼈이상,담석,담낭부종,담낭 폴립발생, 담도계통 이상등에서 수치가 올라갑니다.
■ALP(alkaline phosphatase)=>ALP 역시 위와 같으며 ALP가 상승하면 담즙 배설에 문제가 많이 있습니다.
■Na(Sodium)=>혈중 나트륨=>Sodium은 Na 나트륨을 말한 것으로 체액 수분량의 상태 및 혈청 삼투압의 증감에 파악됩니다.
■K(Potasssium)=>혈중칼륨=>혈중에 포함된 칼륨 K를 말한 것으로 삼투압 및 산염기 평형의 조절평가를 위해 검사를 시행합니다.
■Cl(Chloride)=>혈중염소=>이수치가 증가 할경우 : Cl 과잉투여, 수분 결핍성 탈수, 설사, 췌장액 흡인, 계속된 담즙 흡인, 과호흡, 뇌염등 이수치가 감소 할 경우 : Cl 섭취부족, 수분과잉, 구토, 위액흡인, addison병, 이뇨제, 호흡성 산증에 기인 합니다.
■Total CO2(혈중 총 이산화탄소수치)=>혈액속에서 운반되는 이산화 탄소의 총량을 의미하며 정상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 걱정할것 없습니다.
■A/G Ratio(알부민과 글로부린의 비율)=>이 수치는 대개 1이상이기는 하나 1이하로 떨어지면 알부민 수치가 글로부린 단백질보다 적다는 얘기로 간 기능이 많이 쇠약 해진것으로 판단합니다.
■Index(Icteric)=>황달지수=> 황달 발생 가능여부를 확인 합니다.
■Index(Lipemic)=>지방지수=> 체내의 근육과 지방이 차지하고 있는비율 입니다.
■Index(Hemolytic)=>용혈성지수=>헤마토크리트의 값 과 망(網) 적혈구수로 계산해서 체내에서 용혈이 항진하고 있는 지를 알기 위해서 이용하는 지수이다. 3이상 있으면 용혈성 빈혈이 강하게 의심된다고 합니다.
혈액검사 항목 해설
검사결과의 참고범위는 검사기관마다 조금씩 달라 여기 검사기관에서 나온 결과가 미미하게 참고범위를 벗어났다고 하여 걱정하실 필요는 전혀 없다고 생각합니다.
일반혈액검사 혈구검사
●WBC Count(백혈구수)=>이 수치가 증가하면 신체의 염증을 나타내는 질환을 의심할 수 있으며 심하게 높으면 백혈병으로 발전 할 수 있다. 간경화,간암등에의한 간질환의 염증,감기, 치통, 비염등의 염증에도 상승할수 있습니다.
●RBC Count(적혈구수)=>부족하면 빈혈이 생길뿐아니라 신체 여러기관에 산소 부족으로 인한 이상증세가 나타나게 됩니다.
●Hb(hemoglobin:헤모글로빈,혈색소)=>적혈구중에 함유된 단순단백질의 일종으로 빈혈측정의 가장 기본적인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이수치가 낮으면 빈혈이 올수 있습니다.(혈색소)
●Hct(hematocrit:헤마토크리트)=>체내 혈액의 물과 건더기 성분 중에 건더기가 얼마나 차지하는가를 보는 지표로 이 수치는 혈액 중 적혈구의 비율로 빈혈과 수화 상태를 나타냅니다.
●MCV(Mean Corpuscular Hemoglobin의 약어로 평균 적혈구 혈색소)=>이 수치는 크게 차이나지 않은 이상 그다지 중요성을 두진 않습니다.
●MCH(Mean Corpuscular Hemoglobin의 약어로 평균 적혈구 혈색소)=>적혈구 1개당 헤모글로빈이 얼마나 들어 있느냐를 보는 수치입니다.
●MCHC(mean cell hemoglobin concentration의 약어로 평균혈색소농도)=>적혈구 1개당 헤모글로빈 농도를 보는 수치입니다.MCH나 MCHC 모두 정상치에서 크게 벗어난게 아니라면 큰 의미는 없습니다.
●Platelet Count(혈소판수)=>혈액의 유형성분인 혈구의 하나로 혈액의 응고나 지혈작용에 관여합니다.이 수치가 낮으면 몸의 면역기능이 떨어지고 혈액의 응고가 잘 안됩니다.
●RDW[Red cell Distribution With의 약어로써 적혈구 분포폭, (CV)단위는 백분율:%로 표시되는 측정방법)=>적혈구 크기의 고른정도를 나타냅니다.
●RDW(SD)단위가 정량치:fl로 표시되는 측정방법)=>RDW[Red cell Distribution With의 약어로써 적혈구 분포폭, (CV) 참조.
●PDW(platelet distribution width의 약어로써 혈소판 분포폭)=>이는 혈소판의 수치가 떨어지는 경우 (여러 원인들에 의해), 골수에서 체내 혈소판을 보충해 주기 위해서 과다하게 생성을 하게 되어 수치가 올라가게 되며 이는 미 성숙 혈소판이 많다는 뜻입니다.
●MPV(mean plasma volume의 약어로써 평균 혈소판 용적)=>혈소판의 용적이나 수치가 떨어지면 작은 충격이나 손상에도 출혈의 위험이 큽니다.
●P-LCR(Platelet-Large Cell Ratio의 약어로 혈소판 거대세포 비율)=>이 수치가 높으면 인간 거대세포바이러스가 침입한 원인으로 일종의 거대세포 바이러스증이라는 희귀한 질환으로 봅니다.
●PCT(Porphyria cutanea tarda(지연(만발성)피부포르피린증)=>이수치가 올라가는 경우는 음주, 경구 피임약, 폐경기 증후군, 당뇨병등과 관계되어 나타나는 수가 많습니다.
●MCV/MCHC index[MCV/MCHC 지수(MCV와MCHC의 비율을 의미하며]=>철 결핍성 빈혈,
철 적아구성(빈혈비타민₁₂와 엽산부족): MCH,MCV,MCHC 모두 감소
만성 실혈,지중해성 빈혈, 연중독: MCH, MCV 감소
급성 실혈, 만성 신부전증, 재생불량성 빈혈: MCH,MCV 정상
악성 빈혈: MCV,MCH 증가 MCHC 정상 simple microcytic anemia MCH 감소 MCHC 증가]를 나타내며 빈혈의 원인을 파악하기위한 측정항목임
●WBC Differential Count(백혈구 일종의면역관련 혈구수)
●Lym%(림프구의 백분율)=>백혈구의 하나의 형태로 백혈구는 자체가 식균작용을 하기때문에 세균이 침입했다면 그에 맞서 싸워야 되니까 수치가 상승할 수 밖에 없습니다.
●Lym#(림프구의 절대치)=>상기내용 참조
●Mono%(단핵구의 백분율)=>단핵구 수치가 높다는 것은 감기, 홍역, 눈병등,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때 높아질 수 있고 이 수치가 높다고 해서 어떤질환이 있다고 단적으로 이야기 할 수는 없습니다.
●Mono#(단핵구의 절대치)=>상기내용 참조
●Neu%(호중구의 백분율)=>백혈구의 구성 성분중 중성구(neutrophil)는 주로 세균 감염이 있을 때 많이 증가하나 염증만 있어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Neu#(ANC)(호중구의 절대치)=>백혈구의 구성 성분중 중성구(neutrophil)는 주로 세균 감염이 있을 때 많이 증가하나 염증만 있어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항목은 암환자에게 항암제를 투여할때 인체의 면역능력을 보는데 활용되며 항암제 투여기준은 1500 이상이 되어야 가능합니다.
●Eo%(호산구의 백분율)=>호산구는 기생충 감염시 흔히 증가되나 그 외에도 각종 알레르기성 질환에도 증가되는 현상이 관찰됩니다.
●Eo#(호산구의 절대치)=>상기내용 참조
●Ba%(호염기구의 백분율)=>세균성 감염 : 또는 바이러스 감염과 화농성 감염, 조직괴사 및 염증 : 근염 (myositis), 혈관염, 대사 질환 : 요독증
등에서도 올 수 있고 악성종양, 암, 림프종급성출혈 및 용혈- 약물 :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 시에도 증가하고 백혈병 등 골수구증식성질환 때도
증가 할 수 있으며 천식이나 알레르기 질환 시에도 증가합니다.
●Ba#(호염기구의 절대치)=>상기내용 참조
●Albumin(혈장단백질)=>간기능을 보능 항목으로 참고치이하로 많이떠어지면 간기능 부전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Total Protein(총단백질)=>간에서 단백질을 분해하는 능력을 보는것으로 이수치가 떨어질때는 식사를 제대로 잘 하고있는데도 간기능 저하로 떨어지거나 또는 단백질 성분이 적은 음식을 섭취 할때에도 떨어집니다.
●Glucose(포도당:혈당)=>당뇨를 측정하는 항목으로 식전혈당과, 식후 2시간 혈당이있으나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BUN(혈액내 요소질소)=>이 지표는 신장의 기능보다는 체내 수분 균형과 질소 대사와 관계된 내용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BUN이 콩팥기능을 어느 정도 대변하는 수치 중의 하나이고 정상범위를 벗어났다라는 것 외에 별다른 의미가 없습니다.
●Creatinine(신장기능의 지표)=>크레아티닌 수치가 정상 이하의 수치라면 소변으로 노폐물 배설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며, 정상 이상의 수치라면 신장의 노폐물 배설 기능이 떨어진 것이라고 판단합니다.
●Bilirubin,Total(총빌리루빈)=>급성간염, 활동성 만성간염, 간경변증, 용혈성 지혈등에서 수치가 올라갑니다.
●Bilirubin, Direct(직접빌리루빈)=>간세포 이상과 담즙 유출장애 등에서는 Direct bilirubin이 더 많아집니다.
●AST[SGOT](간기능;염증검사)=>간에 염증이 많으면 증가합니다.
●ALT[SGPT](간기능;염증검사)=>AST[SGOT]와 ALT[SGPT]의 비율이 커질수록 간경화일 경우가 많습니다.
●r-GT(Gamma-GTP)=>간기능 쇠약, 음주, 뼈이상,담석,담낭부종,담낭 폴립발생, 담도계통 이상등에서 수치가 올라갑니다.
●ALP(alkaline phosphatase)=>ALP 역시 위와 같으며 ALP가 상승하면 담즙 배설에 문제가 많이 있습니다.
●Na(Sodium)=>혈중 나트륨=>Sodium은 Na 나트륨을 말한 것으로 체액 수분량의 상태 및 혈청 삼투압의 증감에 파악됩니다.
●K(Potasssium)=>혈중칼륨=>혈중에 포함된 칼륨 K를 말한 것으로 삼투압 및 산염기 평형의 조절평가를 위해 검사를 시행합니다.
●Cl(Chloride)=>혈중염소=>이수치가 증가 할경우 : Cl 과잉투여, 수분 결핍성 탈수, 설사, 췌장액 흡인, 계속된 담즙 흡인, 과호흡, 뇌염등 이수치가 감소 할 경우 : Cl 섭취부족, 수분과잉, 구토, 위액흡인, addison병, 이뇨제, 호흡성 산증에 기인 합니다.
●Total CO2(혈중 총 이산화탄소수치)=>혈액속에서 운반되는 이산화 탄소의 총량을 의미하며 정상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 걱정할것 없습니다.
●A/G Ratio(알부민과 글로부린의 비율)=>이 수치는 대개 1이상이기는 하나 1이하로 떨어지면 알부민 수치가 글로부린 단백질보다 적다는 얘기로 간 기능이 많이 쇠약 해진것으로 판단합니다.
●Index(Icteric)=>황달지수=> 황달 발생 가능여부를 확인 합니다.
●Index(Lipemic)=>지방지수=> 체내의 근육과 지방이 차지하고 있는비율 입니다.
●Index(Hemolytic)=>용혈성지수=>헤마토크리트의 값 과 망(網) 적혈구수로 계산해서 체내에서 용혈이 항진하고 있는 지를 알기 위해서 이용하는 지수이다. 3이상 있으면 용혈성 빈혈이 강하게 의심된다고 합니다.
[출처] 혈액 검사 시 설명|작성자 산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