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시간에 들었던 내용 중 우리나라의 로지스틱스는 아웃소싱보다는 자회사 위주로 운영을 하고 있다는 설명이 흥미로워서 한번 찾아보았습니다.
1. 현대, 기아차의 "현대 글로비스"

'현대글로비스는 종합물류업, 유통판매업을 하는 회사다. 물류사업 부문에서는 자동차, 철강, 화학, 유통, 산업자재, 식품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군의 고객사에게 운송, 보관/하역, 국제 물류, 물류기기 임대, 포장용역 등 3PL 통합물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유통판매사업 부문은 CKD부품 공급사업과 중고차 경매장 운영사업을 한다. CKD는 'Complete Knock Down'의 약자로 완제품이 아닌 반제품으로 수출하는 KD부품 중 특히 가장 작은 부품 단위로 수출하는 형태다. 현대글로비스는 현재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 체코 공장, 터키 공장, 러시아 공장, 브라질 공장, 사천 공장과 기아차 슬로바키아 공장, 조지아 공장, 멕시코 공장 등에 CKD부품 공급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중고차 사업은 도매 형태의 중고차 경매장 운영을 말하며, 현재 분당과 시화, 양산 등 3곳에서 경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물류 부문의 영업설비로는 완성차 수출입을 위한 평택항 물류기지와 CKD 집하 및 포장을 위한 KD센터, 자동차공장의 부품 서열화에 기여하는 C/C(Consolidation Center) 등 자동차 관련 거점을 구축해 운영중이다.'
2. 삼성의 "삼성전자로지텍"

삼성전자로지텍주식회사(SELC)는 삼성전자의 종합 물류관리 대행기업으로서, 최적의 물류 시스템 구축으로 최고 수준의 물류서비스를 창출함으로써 최상의 고객만족 실현을 위해 '98년 4월 삼성전자 물류 조직에서 분사한 기업입니다.
출처: 삼성전자로지텍 홈페이지
* 예외로 삼성 SDS(IT부문)가 출시한 온라인 물류 플랫폼 "첼로스퀘어"도 운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삼성SDS가 20일 온라인 플랫폼 ‘첼로 스퀘어(Cello Square)3.0’을 출시하며 글로벌 전자상거래(e-커머스) 물류시장 공략을 시작했다.
이날 오후 경기 성남시 삼성SDS 판교캠퍼스 이노베이션홀에서 화주 등 고객사에 처음 선보인 첼로 스퀘어 3.0은 삼성SDS의 글로벌 물류 운영 노하우와 블록체인, 인공지능(AI) 등 최신 정보기술(IT)이 망라된 물류 플랫폼이다.
e-커머스로 글로벌 시장에 제품을 판매하는 사업자들은 첼로 스퀘어3.0이 자동으로 선정하는 최적의 배송수단 및 운송사를 통해 배송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위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 기술로 국제화물 원산지를 증명할 수 있어 배송제품의 신뢰도도 높인다.'
출처: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806201752718361
3. LG의 "판토스"

'판토스는 고객의 물류비용 절감과 최고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와 첨단 물류
정보시스템, 세계 주요 항만과 공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바탕으로 Project Cargo, Break
Bulk, General Cargo, Consolidation, Door to Door Service, 컨테이너 운송, 보세운송 및 통관, 배송,
보관, 컨설팅 등 다양한 물류분야에서 고객의 가치 창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출처: 판토스 홈페이지
- 우리나라 기업들은 직접 컨트롤하려는 기질이 있기 때문에 확실히 자회사 위주로 운영하는 사례가 많았습니다. 비용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대기업들이 특히 그러하다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최근에는 포스코 또한 물류 자회사를 설립하는 것에 있어서 뜨거운 논쟁이 발생하고 있었습니다.
포스코, 물류 자회사 설립 이번주 결정…해운업계 반발
'포스코가 별도의 물류자회사를 설립해 그룹과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터미날 등에 각각 흩어진 원료 수송과 물류업무를 통합하는 방식이다. 물류 기능과 업무를 통합해 물류 고도화·전문화·스마트화를 추진하겠다는 것으로 전문 자회사를 설립하면 중복과 낭비를 줄여 상당한 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을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반발은 거세다. 특히 철광석, 석탄 등 원재료 물자 운송을 책임져온 해운업계의 우려가 크다. 한국해양산업총연합회는 지난달 청와대, 정부, 국회에 포스코의 물류주선자회사 설립을 반대하는 '해양·해운·항만·물류산업 50만 해양가족 청원서'를 제출했다. 또 포스코와 물류전문기업이 상생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줄 것을 요청했다.
해운업계는 포스코가 물류업에 진출하면 자회사가 일종의 수수료인 통행세를 걷어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포스코는 연간 철광석을 비롯한 제철원료 8000만t를 수입하고 철강제품 2000만t을 수출하는 초대형 화주다.'
출처: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506_0001015829&cID=13001&pID=13000
- 재벌기업들의 물류자회사 문제로 제3자 물류전문시장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입장과 기업의 입장에서는 스스로 통제할 수 있고 좀 더 전문화된 지식으로 독립적인 자회사를 설립하는 것이 이득이라는 입장이 서로 대립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물류 로지스틱스도 글로벌화 되면서 국내 기업들도 물류 아웃소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전체적인 물류 생태계를 살릴 수 있는 방향이 아닐까 생각해보았습니다. 폐쇄적인 시장을 갖추기보다는 하나둘씩 외부로 맡기다보면 우리나라에서도 글로벌 물류전문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지 않을까 생각하였습니다.
첫댓글 중간시험 평가 5
혜주가 수업의 보완자료를 올렸네~
다들 많은 도움이 되겠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