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망매가(祭亡妹歌) - 월명사 - | |
生死路隱 |
|
[현대어 풀이] | |
삶과 죽음의 길은 / 여기(이승)에 있으므로 두렵고 / '나(죽은 누이)는 간다'는 말도 / 다 하지 못하고 갔는가 /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 여기 저기 떨어지는 나뭇잎처럼 / 한 가지에서 태어나고서도 / 가는 곳을 모르겠구나 / 아아, 극락 세계에서 만나볼 나는 / 불도를 닦으며 기다리겠노라.
| |
[배경설화] | |
신라 서라벌의 사천왕사(四川王寺)에는 피리를 잘 부는 한 스님이 있었다. 그의 이름은 월명이었는데, 그는 향가도 잘 지어 일찍이 죽은 누이를 위하여 재(齋)를 올릴 때 향가를 지어 제사를 지냈다. 이렇게 노래를 불러 제사를 지냈더니, 문득 광풍이 불어 지전(紙錢)이 서쪽으로 날아가 사라지게 되었다. 한편, 피리의 명수인 월명이 일찍이 달 밝은 밤에 피리를 불며 문 앞 큰 길을 지나가니, 달이 그를 위해 가기를 멈추었다. 그래서, 그 동리 이름을 '월명리'라 하고, 그의 이름인 '월명'또한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
| |
[이해와 감상] | |
신라 경덕왕 때의 월명사가 지은 10구체 향가로, 일명 <제망매영재가>라고도 하는데, 죽은 누이의 재를 올리며 미타 신앙을 호소한 불찬 추도가로, 현존 향가 중 최고의 걸작으로 평가된다. 10구체 향가의전형적인 모습인 3단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도 하다. 불교의 아미타 사상을 바탕으로 고도의 비유를 통해서 인간 고통의 종교적 승화를 노래한 작품으로, 현존하는 향가 중 표현 기교와 서정성이 매우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숭고한 불교적 신앙심을 바탕으로 피안의 세계를 지향하는 신라 지식인의 의식 세계를 탁월한 표현과 서정성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 노래 전반에 무겁게 깔린 서정은, 사랑하는 누이의 죽음으로 인하여 삶과 죽음 사이에서 깊이 고뇌하는 작자의 슬픔과 애절한 그리움이다. 이것이 불교적 내세관을 통해 승화되고 있어 작품의 이미지를 더해주고 있다. 이 작품의 표현상의 묘미는 5행에서 8행까지의 비유에 있다. 같은 부모에서 태어난 남매 사이의 헤어짐을 한 가지에 났다가 떨어져 흩어지는 낙엽으로 표현한 것과, 젊은 나이에 죽는 것을 덧없이 부는 이른 바람에 떨어진 잎으로 비유하여 요절의 슬픔과 허무함을 감각적으로 구상화한 것이다. 이 노래는 구절구절을 읽어 내려가는 사람으로 하여금 누이의 죽음에 대한 슬픔과 허망함을 절절히 느끼게 하며, 이와 더불어 작자의 신앙심이 얼마나 깊은가를 느낄 수 있게 한다.
| |
[핵심정리] | |
■ 성격 : 10구체 향가. 추도가. 서정시가.(추모적, 애상적, 불교적) ■ 표현 : 비유(직유)법, 상징법 ■ 구성 : 기, 서, 결의 3단 구성방식 ■ 중요 시어 및 구절 * 이른 바람 → 시적 대상(누이)이 요절하였음을 암시 ■ 시적 화자의 태도 : 이별의 슬픔을 종교적 신앙심으로 승화,극복하고 재회를 다짐함. ■ 의의 ■ 주제 : 죽은 누이를 추도함 ■ 관련작품 : 박목월의 <이별가> → 시적 화자의 대상과의 혈육관계, 이별을 수용하면서 재회를 다짐하는 시적 화자의 태도가 유사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