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철 “용인 골치 아픕니다”…산림청 땅 팔게한 JP의 묘수 (63)
김종필 증언록: 소이부답
관심
먹을 것이 없어서 미국에 손을 벌려야 했던 나라, 5000년 가난은 나라님도 구하지 못한다고 체념했던 나라. 5·16혁명을 거사했을 때, 우리의 목표는 극빈에 처한 이 나라를 배고프지 않고 자유롭게 사는 국가로 일으키는 것이었다.
세계 최빈국의 그런 나라가 지금은 세계 11위의 경제강국이 됐다. 참으로 기적같이 경이로운 일이다. 오늘날의 대한민국 경제력을 만든 사람은 어제의 아버지와 어머니, 형님, 누나들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큰 공로자를 꼽으라면 나는 두말없이 두 사람을 꼽는다. 고(故) 이병철(1910~87) 삼성그룹 회장과 고 정주영(1915~2001) 현대그룹 회장이다.
1975년 5월 29일 청와대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이병철 삼성그룹 회장(오른쪽)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가운데는 김종필 국무총리. 이날 박 대통령은 방위성금을 헌납한 각계 대표를 접견하고 칵테일 파티를 열었다. 박 대통령은 “다소 손해를 보더라도 수출을 계속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사진 김종필 전 총리 비서실
오랫동안 지켜본 두 기업가는 성격이 확연히 다르다. 이병철 회장은 한번 결심하면 그 일은 틀림없이 최상으로 해내고 마는 사람이었다. 정주영 회장은 일단 해봐야겠단 생각이 들면 ‘실패를 해도 할 수 없다’며 덤벼들었다. 두 사람은 성격이 다르지만 기업인으로서 누가 더 낫다고 가릴 수가 없다. 두 분 다 한국 경제의 잊지 못할 공로자들이다.
이병철 회장은 무슨 일을 시작하기 전에 하나부터 열까지 정밀하게 알아봤다. 따질 대로 따져보고, 일본의 ‘재계 총리’로 불리던 이나야마 요시히로(稻山嘉寬) 게이단렌(經團連) 회장의 의견까지 물어본 뒤 승산이 있다는 확신이 서면 그때야 새로운 사업에 손을 댔다. 1967년 말 어느 날, 중화학공업 쪽에 관심을 쏟던 박정희 대통령이 내게 말했다. “이병철 회장한테 이제 중화학공업을 좀 해보라고 해. 임자가 가서 좀 물어봐.” 이 회장을 만나 대통령 말씀을 전했다. 그는 한참을 앉아 뭔가를 골똘히 생각하더니 결심이 섰는지 “대통령 뵈러 갑시다”라며 일어섰다. 함께 청와대로 들어갔다.
박 대통령은 내게 말했던 대로 이 회장에게 “중화학공업에 손대면 어떻겠습니까”라고 했다. 이 회장이 “중화학공업이라면, 어떤 것을 말씀하십니까”라고 묻자 박 대통령은 “조선이나 자동차, 전자공업 중 하나를 해보십시오”라고 제안했다. 이 만남이 계기가 돼서 이 회장은 전자공업을 채택했다. 그것이 바로 오늘의 삼성전자다.
🔎 인물 소사전: 이나야마 요시히로(稻山嘉寬·1904~87)
일본을 철강대국으로 부상시킨 인물. 상공성 관료로 일하다 야하타제철소에 들어가 1962년 사장에 올랐다. 70년 후지제철과 합병해 신일본제철을 탄생시켜 초대 사장·회장을 지냈다. 일본 철강업의 기술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이끌었다. 80~86년엔 게이단렌(經團連) 회장을 역임했다. 한국에 철강 기술을 전수해 줌으로써 포항제철소 설립에 기여했다.
1970년대 흑백TV를 생산하는 삼성전자 수원공장. 아래는 75년 12월 첫 생산한 현대자동차 포니.
69년 수원에 삼성전자의 첫 공장이 들어섰다. 나는 이 회장과 함께 최신 설비의 TV와 라디오 생산공장을 돌아보았다. “전력을 들여서 한번 해보겠소”라는 이 회장 말에 힘이 느껴졌다. 나는 “이 회장님은 대한민국 제일이 아니면 하지 않는 성격 아니십니까. 한번 해보십시오”라고 응원했다. 그 삼성전자가 반도체로 대한민국 제일이란 말이 무색할 수준의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