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 전라북도, 경상북도 등의 표고 100∼1,300m에서 자라며 중국, 만주 등에 분포한다.
주요생육지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중부 이북에 주로 자생한다.
생육형
상 : 낙엽활엽교목
수형 : 난형 또는 원형
수고 : 20m 내외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어릴때는 음수이지만 커지면 양수로 바뀐다. 적습의 사질양토를 좋아하고 뿌리는 직근과 측근이 발달되어 있다.
번식방법
6∼7월경 채취하여 직파하면 발아율이 높다. 2년간 노천매장하였다가 봄에 파종하기도 한다. 가로수로 개발할 경우 삽목번식으로 동일수형의 묘 생산한다.
재배방법
음지에서도 잘 자라며 건조한 토양에서도 잘 견딘다. 내염성과 내공해성은 보통이며 이식은 용이하고 우리나라 전역에 식재 가능하다. 어릴 때 생육이 부진하지만 이 시기를 넘기면 재배가 무난하다.
조경가치 및 용도
신재기록상 1890년 유럽에 소개되었고 1917년 Wilson이 처음 미국에 도입하였다. 수림하에서 자생하는 수목으로 내음력이 있고 가을에 불타는 듯한 붉은색 단풍은 "가을의 광름숲을 붉게 물들인다"고 할만큼 아름다우며 수형도 양호하다. 이른봄 노랗게 피는 꽃도 관상의 대상이 되며 흔치 않는 수종으로 육성이 용이한 나무이다. 조경수로써 독립수, 군식하며 풍치림, 가로수 개발이 시급하다. 품종에는 젓털복자기(Acer triflorum Kom. for. subcoriacea Kom.) 가 있다.
우리 나라 전라북도, 경상북도 등의 표고 100∼1,300m에서 자라며 중국, 만주 등에 분포한다.
주요생육지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중부 이북에 주로 자생한다.
생육형
상 : 낙엽활엽교목
수형 : 난형 또는 원형
수고 : 20m 내외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어릴때는 음수이지만 커지면 양수로 바뀐다. 적습의 사질양토를 좋아하고 뿌리는 직근과 측근이 발달되어 있다.
번식방법
6∼7월경 채취하여 직파하면 발아율이 높다. 2년간 노천매장하였다가 봄에 파종하기도 한다. 가로수로 개발할 경우 삽목번식으로 동일수형의 묘 생산한다.
재배방법
음지에서도 잘 자라며 건조한 토양에서도 잘 견딘다. 내염성과 내공해성은 보통이며 이식은 용이하고 우리나라 전역에 식재 가능하다. 어릴 때 생육이 부진하지만 이 시기를 넘기면 재배가 무난하다.
조경가치 및 용도
신재기록상 1890년 유럽에 소개되었고 1917년 Wilson이 처음 미국에 도입하였다. 수림하에서 자생하는 수목으로 내음력이 있고 가을에 불타는 듯한 붉은색 단풍은 "가을의 광름숲을 붉게 물들인다"고 할만큼 아름다우며 수형도 양호하다. 이른봄 노랗게 피는 꽃도 관상의 대상이 되며 흔치 않는 수종으로 육성이 용이한 나무이다. 조경수로써 독립수, 군식하며 풍치림, 가로수 개발이 시급하다. 품종에는 젓털복자기(Acer triflorum Kom. for. subcoriacea Kom.) 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