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치 | 강원 횡성군 둔내면/청일면/ 평창군 봉평면/ 홍천군 서석면 | |
높이 | 1,261m |
횡성군에서 가장 높다. 본래는 덕고산(德高山)이었는데 삼한시대 진한의 마지막 왕인
태기왕이 산성을 쌓고 신라에 대항하던 곳이라 하여 이름을 고쳐 부르게 되었다.
이 산에서 발원하는 갑천도 원래는 주천이었으나 태기왕이 박혁거세의 추격을 받아 산으로 들어올 때
더러워진 갑옷을 씻었다 하여 이름을 고쳐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이밖에도 이 지역 일대의 지명은 태
기왕과 관련된 이름이 많다.
산 정상에는 길이 약 1km의 태기산성과 태기산성비가 있고 신라 선덕여왕 16년에 자장율사가 창건한
봉복사가 있다. 산성 주변에는 허물어진 성벽과 집터, 샘터가 남아 있으며, 산 아래 봉평면에는
《메밀꽃 필 무렵》의 작가인 이효석 생가가 있다.
산행은 둔내면에서 봉평면으로 넘어가는 양구 두미재에서 시작한다. 양구 두미재에서 1,142m봉을 지
나 정상 아래 삼거리에서 태기산성·송덕사를 거쳐 신대리로 하산한다. 정상에는 한국방송공사 송신소
가 있어 입산이 통제되기 때문에 오를 수 없다.
또 다른 코스로는 신대리에서 산행을 시작해 정상 아래 삼거리에서 동문밖 길로 태기산성을 지나 송덕
사를 거쳐 신대리로 하산하는 길이 있다.
찾아가려면 횡성읍에서 청일면행 시내버스를 탄다.
승용차로 가려면 횡성에서 6번 국도로 장평 방면으로 가다 태기산 입구 표시를 따라 왼쪽으로 양구 두미재
로 가거나, 횡성에서 441번 지방도를 타고 갑천을 지나 129번 지방도로 신대리 종점으로 간다. [백과사전]
++++++++++++++++++++++++++++++++++++++++++++++++++++++++++++++++++++++++++++++++++++++++
태기산은 강원도 횡성군 청일면, 둔내면과 평창군 봉평면의 경계를 이루는 흙산이다. 일명 덕고산이라고
불리는 태기산은 삼한시대 말기 진한의 마지막 왕인 태기왕이 신라군에게 쫓기어 이곳에 성을 쌓고 군사를
길러 신라와 싸웠 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태기산 산 자락인 성골 골짜기에는 허물어진 성벽을 비롯해 집터와 샘터등이 수림지대 아래 흩어
져 있다. 산자락 봉평 땅에는 아직도 인구에 회자하는 '메밀꽃 필 무렵', '낙엽을 태우면서' 등 주옥같은 작품
을 남긴 가산 이효석의 생가가 있다.
태기산 산행 코스는 두 코스가 있는데, 둔내에서 봉평으로 넘어가는 양구 두미재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웬만한 끈기가 아니고는 찾기가 쉽지 않은 산이다.
#산행코스
*1코스(4시간 30분)
양구두미재-1142m봉-안부-삼거리-얼레지나물밭-주능선-정상-삼거리-동문밖능선길- 신대리 수능
*2코스(7시간)
송덕사∼큰성골∼낙수대∼임도∼정상 ∼태기 분교터∼태기산성∼작은성골∼송덕사. [한국의 산하]
++++++++++++++++++++++++++++++++++++++++++++++++++++++++++++++++++++++++++++++++++++
정선하면 아라리요 노래고 정선땅 하면 탄광지대라고 누구든 대답을 한다. 보릿고개 시절까지만 해도 정선땅
탄광촌은 보릿고개를 별로 격지않고 살았다고 한다. 탄광촌에서 새어 나오는 돈줄이 그나마 풀칠을 할 정도였
다는데 지금은 폐광이 많아지다보니 탄광촌도 페허가 되어간다.
돈을벌기위해 탄광촌을 밟고 탄맥을 찾기위해 산을 누볐지만 지금은 도시의 공해를 피해 건강을 위해 산길을
밟는다. 정선땅 탄광촌 사북읍에서 서쪽으로 솟아있는 두위봉 사방 산자락에도 구멍이 뻥뻥 뚫여있으나 북사면
허리춤 위로는 그런대로 산이 깨끗하다.
북쪽으로 흘러내리는 도사골, 척산골, 작은골에는 울창하게 자란 수림과 각양각색의 야생화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 이에 맛서 나도 질세라 두위봉 꼭대기 부근에는 연분홍 치마를 두르고 있다.
봄에 올라보면 허리춤 아래로는 짙푸른 수림이고 곳곳에 야생화가 만발하여 구태여 꼭대기까지 올라가지 않아도
흥껏 꽃취향에 젖어들 수 있지만 허리춤 위로 올라가면 두눈이 휘둥그래지며 입이 절로 딱 버리지는 진풍경을 목격
할 수가 있다. 산판에 핀 꽃보다도 여기저기 공연히 히죽거리며 웃는 사람들의 모습도 볼만 하다. 누가처다보지만
않는다면 펄펄 뛰고 둥글고 소리지르고 싶은 감정이 이마까지 치솟아 이를 참는 괴로움에 이마까지 핏대가 솟아
연분홍빛 철죽꽃 빛갈로 얼굴색이 변한 사람들도 부지기수 이다.
강원도 깊은 산의 느낌 물씬 풍긴... 태기산과 흥정계곡
태기산(1,261m)은 강원도 횡성군 청일면과 둔내면, 평창군 봉평면, 홍천군 서석면의 경계를 이루며 솟아 있다. 횡성군에서는 가장 높은 산으로 옛 이름은 덕고산이었는데, 삼한시대 말 진한의 마지막 왕인 태기왕이 이곳에 성을 쌓고 신라에 대항하던 곳이라 하여 이름을 고쳐 부르게 되었다.
태기산은 강원도 특유의 빼곡한 산림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산이다. 계곡 또한 깊어 한여름에도 항상 맑고 차가운 물이 흐른다. 특히 횡성군 청일면 일대의 큰성골과 작은성골, 인근 봉복산에서 발원한 봉복산계곡과 봉복사골 등은 수량이 풍부하고 오염이 안돼 피서지로 제격이다.
태기산은 교통이 불편하기 때문에 일반 등산객들은 잘 찾지 않는 곳이다. 게다가 중요시설물 때문에 정상을 오를 수 없어 산행지로서 인기가 덜한 면도 있다. 하지만 그 덕분에 자연은 오염도지 않은 모습을 그대로 보존할 수 있게 됐다.
태기산 산행은 양두구미재 정상에서 시작해 청일면쪽으로 하산하는 코스로 잡는게 일반적이다. 횡성군과 평창군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양두구미재는 대중교통편이 마땅치 않아 승용차나 택시를 이용해 접근한다.
양두구미재에 올라서면 커다란 통신탑이 보이고, 그 건너편 산자락으로 급경사의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가 보인다. 이 도로는 태기산 정상 바로 아래까지 연결되는데, 태기산 산행을 하려면 이 길을 따른다. 콘크리트 포장도로는 곧 비포장으로 바뀌지만 지프차는 무난히 다닐 수 있을 정도의 노면상태가 유지된다. 폭은 상당히 넓어 차량의 교행도 가능할 정도.
도로를 따라 걷다보면 가끔씩 시야가 트이며 강원도 산골 특유의 산록 풍경이 펼쳐진다. 해발 1,000m에 육박하는 높은 산릉에서 첩첩산중을 내려다보며 걷는 맛은 참으로 짜릿하다. 다만 그늘이 전혀 없어 한여름 내리쬐는 뙤약볕이 가장 큰 문제다.
양두구미재에서 출발해 30여분 걷다보면 잠시 내리막길이 나타나고 오른쪽 사면으로 산 정상에 이르는 급경사 계단길이 나타난다. 하지만 이곳은 군부대 시설로 일반인 출입금지 구역이다. 곳곳에 경고판이 붙어 있다.
계속해 넓은 비포장도로를 따라 700m쯤 내려간 뒤 다시 오르막이 시작될 즈음 삼거리가 나타난다. 이곳에 횡성군에서 설치한 이정표가 서 있긴 하지만, 뚜렷한 삼거리가 아니기 때문에 무심코 지나칠 수 있다. 길 왼쪽으로 산악회에서 붙여놓은 표지리본을 잘 살펴보면 쉽게 찾을 수 있다.
삼거리에서 태기산성을 거쳐 신대리 하산지점까지 3시간 정도 산행이 이어진다. 길은 비교적 뚜렷하지만, 사람이 많이 찾는 곳이 아니기 때문에 잡목이 우거진 곳이 많다. 짐승들의 이동로와 다름없을 정도로 좁고 낮은 구간도 있다. 수풀을 헤치고 나가는 구간이 제법 많으니, 가급적 긴팔셔츠와 긴 바지를 입고 산행하는게 좋다.
하산길은 햇빛 한 점 보기 어려운 완벽한 숲길이다. 울창한 숲 아래로 산죽이 지천에 깔려 있다. 하산도중 특별한 갈림길이 전혀 없어 길을 잘못 들 염려는 없다. 삼거리에서 1시간 반이면 태기산 성터에 이르게 된다.
성터를 지나 내려서면 절벽을 끼고 이어진 등산로가 나타난다. 하지만 밧줄을 매어놓아 크게 위험하지는 않다. 절벽지대를 지나 조금 더 내려서면 계곡이 시작되고, 이곳에서 불과 10분이면 실질적인 산행은 끝이 난다. 여기서 신대리 버스종점까지 2km 거리.
*펜션 밀집지역 흥정계곡
흥정계곡은 평창강 최상류의 물줄기로 수질이 뛰어나고 숲이 짙어 여름철 피서지로 각광받는 곳이다. 이 골짜기에는 무려 60개 이상의 펜션이 들어서 있다. 이곳에 펜션단지가 조성되게 된 것은 이 계곡 가운데 자리한 허브나라 덕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평창의 유명 관광지로 자리잡은 허브나라는 10여년 전쯤 국내에는 생소했던 '허브' 라는 테마로 꾸며진 농원이다. 현재 허브나라는 크게 허브가든, 숙박시설, 식당으로 구성돼 있다.
흥정계곡에서 야영은 금지되고 있다. 피서철이면 야영장이 두 곳 정도 문을 열지만 그리 큰 규모는 아니다. 하지만 물놀이 정도는 얼마든지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다만 계곡의 경치 좋은 곳마다 대개 펜션들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어서 투숙객이 아니면 차 세울 곳도 마땅치 않다. 피서철에는 이 계곡에서 지내고 싶다면 펜션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교통
서울-횡성=상봉터미널에서 하루 8회(06:30~17:20) 운행하는 횡성행 직행버스 이용. 1시간50분 소요. 요금 7,800원.
횡성-신대리=1일 8회(1시간 소요) 운행하는 군내버스 이용.
산행시작 기점인 양두구미재는 대중교통편이 운행하지 않는다. 인근의 봉평에서 택시를 이용해 이동한다. 전화 033-335-6254 봉평 개인택시.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영동고속도로 면온나들목으로 빠져나와 피닉스파크 스키장으로 진입한다. 스키장 앞을 지나 2km 가량 진행하면 봉평에서 횡성으로 연결된 6번 국도와 만나는 삼거리에 닿는다. 여기서 좌회전해 5.8km 가면 양두구미재 정상이다.
*숙박
흥정계곡 내의 펜션이나 민박을 이용한다. 피닉스파크 주변에도 숙박시설이 많다. 허브나라 335-2902, 숨은그림찾기 336-5744, 그라찌아 335-8887, 어울림 336-5424, 에델바이스 336-3598, 좋은사람들 336-5516, 통나무마을 336-8921, 평창갤러리 336-2656, 폴라리스 335-3686, 하얀메밀꽃 335-2447.
참고:월간<산> 2005년 8월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