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SAY
오늘은 新聞처럼, 내일은 新聞紙처럼 |
창가로 비쳐 드는 아침 햇살과 신문, 그리고 향(香)이 그윽한 원두커피 한 잔, 이것이
우리 집 '아침 3종 세트'다. 이들의 공통점은 '이제 막 나온 것'이다. 오늘의 기사가
궁금한지 내가 펼치는 면마다 햇살이 저 먼저 고개를 드민다. 키가 작은 커피 잔도 계
속 하얀 김을 전령으로 내보내며 소식을 기다리는 눈치다. 신문에 쏠리는 눈들이 아
침을 더 팽팽하게 당기고 있다.
신문 기사는 대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신문을 읽는 동안 내 마음의
온도는 오르락내리락한다. 의안을 한 건도 가결하지 않은 채 회기를 넘긴 국회의원
들의 세비를 생각하면 열이 나고, 내수 경기가 조금씩 가라앉고 있다는 기사에는 마
음이 서늘해진다. 그러다가 사회면에 들어가 누가 온정을 베푼 사연을 읽고 나면 다
시 마음이 뜨듯해진다. 허투루 쓴 기사가 없다. 가끔 두 면에 걸친 전면 광고가 나오
기도 하지만 그 또한 신문사의 허리를 받쳐주는 힘이라 생각하며 다음 장으로 넘어
간다.
신문은 그날이 지나가면 '신문지'가 된다. 이게 또 매력덩어리다. 신문이 갓 시집온
새댁 같다면 신문지는 살림꾼이 다 된 아낙과도 같다. 못 하는 게 없고 가리는 일이
없으며 궂은일일수록 두 팔을 걷어붙인다. 콩나물이나 멸치를 다듬으려고 할 때, 어
쩌다가 주방 바닥에 식용유를 쏟았을 때, 중국 음식이 배달됐을 때, 소포 상자에 어정
쩡하게 남은 빈 공간을 채울 때 등 그때마다 신문지가 나선다. 가구가 한쪽으로 기울
었다 싶을 때에도 야무지게 접힌 신문지가 들어가서 평형을 맞춘다. 신문지가 우리
집 해결사다. 구겨지고, 접히고, 잘리고, 뭉쳐지면서 제게 맡겨진 일을 잘도 해낸다.
사람의 일생도 그런 것 같다. 젊어 한때 주목받는 '신문'이 되지만 곧 '신문지'의 삶을
살게 되는 게 아닐까. 내가 '신문'으로 살았던 때를 꼽는다면 아마 첫 부임지에서 근
무하던 시절일 것이다. 아침에 눈을 뜨면 곧장 학교로 달려갔다. 초임 교사로서 꿈도
많았고 할 일도 많았다. 무엇보다 아이들과 생활하는 게 즐거웠다. 동료 교사들 사이
에서 내 별명은 '조간신문'이었다. 항상 일찍 출근하는 것을 빗댄 별명이었다. 동료들
에게 다소 눈치가 보이긴 했지만 나는 그 별명이 마음에 들었다. '신문' 하면 성실함
이 먼저 떠올랐기 때문이다. 그 별명 때문인지 모르지만 나는 종종 나 자신에게 묻곤
했다. 매일 새로워지려고 노력하고 있는지, 정직하게 말하고 있는지, 모든 아이에게
공정한지를.
아무리 멋진 옷이라도 내 몸에 맞지 않을 때는 벗어놓을 수밖에 없다. 학교를 그만두
기로 마음먹은 것은 어느 일요일 아침에 있었던 일 때문이다. 세 살 된 아이를 무릎에
앉혀놓고 한껏 억양을 살려서 동화책을 읽어주고 있었다. 그런데 아이는 자꾸만 내
게서 빠져나가려고 몸을 뒤틀었다. 그러더니 걸레 하나를 손에 들고 와서는 거실 유
리문에 붙어 서서 유리를 닦는 게 아닌가. 저를 돌봐주는 도우미 아주머니가 하는 양
그대로였다. 그다음에는 걸레를 뒤집어 거실 바닥도 닦고 식탁 의자의 다리도 닦았
다. 그 순간 머릿속이 하얘지는 것 같았다.
마치 전쟁을 치르는 듯 힘겨웠다. 그러나 나는 분명 이전보다 더 열심히 살고 있었
다. 가끔 '119 대원'이 되어 시댁이나 친정으로 출동도 해 가면서. 내가 그렇게 바뀐
데에는 시어머니의 영향이 컸다.
어머님은 돌아가시기 전까지 참 바쁘게 사셨다. 너무 바빠서 죽을 새가 없다고 하셨
다. 당신 도움이 필요한 자식이 많다는 것을 항상 기쁘게 생각하셨다. 중풍으로 병원
에 입원한 딸을 병간호하느라 여든이 넘은 연세에도 한 달 동안 병원에서 숙식하신
적이 있다. 집을 팔려고 내놓은 둘째 딸 집에 가서 부동산 사무실의 연락을 기다리며
그 집 강아지와 함께 두 달간 집을 지키신 적도 있다. 노환으로 더는 기동을 못 하게
된 어머님을 뵈러 갔더니 누운 상태로 당신 배 위에다 소쿠리를 얹어놓고 깻잎을 차
곡차곡 챙겨 실로 묶고 계셨다. 깻잎 김치를 좋아하는 며느리를 위해서라고 하셨다.
손가락에 남은 마지막 힘까지 가족과 집안을 위해 다 내어주시는 어머님을 보면서
나는 문득 신문지의 마지막 한 장을 떠올렸다.
잘 살다 간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죽고 난 뒤에 그를 그리워하고 아쉬워하는 사람이
많을수록 잘 산 삶이 아닐까. 그리고 신문지처럼 자신이 가진 것을 이 세상에 다 내어
주고 홀가분하게 떠나는 삶이 아닐지. 오늘은 신문처럼, 내일은 신문지처럼 살다 가
는 것은 어떨까. 매일 아침 문 앞에 놓인 '세상'을 집어 들면서 그런 생각이 든다.
※ 입력자 註
에세이라는 말은 나라마다 그 뜻이 다르다. 우리는 아직 문학의 장르가 확정되지 않아서 -어느 나라도 장르가 고정된 나라는 없
다.- 모호하다. 에세이는 수필이라는 말과 동의어로 쓰이기도 하고, 문학평론이라고 보기도 하고, 잡문이라고도 하고, 중고등학교에
서는 논술이라고도 하며, 가벼운 비평, 세태비평, 대중비평이라고도 한다.
정성화가 조선일보에, 저 대단한 조선일보에 글을 실었다. 아니, 실렸다. 조선일보의 에세이가 처음부터 그렇듯이 매우 대중적이
고, 대단한 미문이며, 굉장히 감동적인 것은 틀림없다.
정성화가 왜 이렇게 되었을까? 빛나는 참신성과 개성은 어디에 두고 여기엘 왔을까? 너무나 평범하고 보편적이다. 평범 속의 비범
이 여기서는 보이질 않는다. 신문과 신문지를 사람의 삶에 비유한 것이 그렇고, 어머니를 형상화한 것이 그렇고, 자기 자랑이 그렇고
그렇다.
그렇고 그런 매끄러운 문장이 슬프고 가련하다.
첫댓글 역쉬... 이름있는 수필가 답네요
신문에 엮인 의미화 하며....
세상의 어머니를 의미하는 많은 사물들 가운데
신문으로^^ 으흠~~
부산의 밤바다를 보며 도선사를 떠올리며
내 동생과 정성화님 떠올렸답니다
입력자라 하시면 목현 선생님이신가요?
아, 입력자의 평이 징소리로 울립니다.
의인화의 묘미가 기막히다 싶은데 저 실망과 한탄이라니.
욕심도 이 정도면,
감히, 자유분방 관용이 없는 평에서 오히려 소름이 끼친다.
이 글, 성화 님 읽는다면,
어찌해야 신문지 아닌 신문이 될 수 있을까 고심하겠지요.
그러다 입력자에게 묻겠지요, 당신 머리카락은 왜 점점 희어가느냐고,
아, 글쓰기가 겁난다.
세상에는 엉덩이에 뿔난 독자도 있고,
방귀 뀌면 시원하시겠습니다, 하시는 독자가 있어야
민주사회이고 재미있고 살만한 사회이지요, 지가 문학작품 읽기는 잼병이지요.
하 하 하 왜 사냐면 웃지요.
선생님 제자라서 지평샘 노심초사 아니하셔도 괜찮으십니다.
조선일보에 에세이 실렸다고 폼 안 잡겠지요! 정성화 님께서는?
이 입력자 평 정성화 님 꼭 읽히고 싶습니다. 반응이 궁금?
@목현 만 사람이 좋다 하면 좋은 거겠지요.
성화님 반응, 입력자님은 왜 머리카락이 허옇습니까, 그거 참신하게 검게 좀 해 보세요. 하겠지요.
그럼 입력자는 이게 검은 거 보다 좋습니다 할 거고요.
입력자는 혹여 조선일보에 알레르기?
@박지평 조선일보 뿐만이 아니라 신문에만 실리면 자신의 작품이 실렸다고 폼 잡는 사람이 많습니다.
영남수필문학회에서도 '이 작품은 모모 신문에 실린 것인데' 하고 폼 잡았지요.
폼 잡은 것은 좋은데 신문에 작품 못 실은 사람을 아주 깔보거든요. 그 우월감 !
그렇고 그렇고 그렀습니다.
자유로운 몸과 자유분방으로 사용되는 신문 .....
일상생활에서 꼭필요한 신문지에는 오늘기사도
깨알처럼 빼곡히 들어 차 있겠지요?
상대방을 사로잡는 칭찬의 기사로 ......요
글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