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서비스 제공내용
서비스 제공내용 : 구분 및 내용을 포함한 표입니다.구분내용
공통 |
|
긴급, 폭력피해 상담 및 긴급지원서비스 연계활동 |
|
생활정보 제공 |
|
생활통역 및 3자 통화 서비스 |
|
(2)이용방법
전화 상담(3자 통화 가능)
온라인 상담
방문상담 및 면접상담
긴급피난처
긴급피난처 : 지역, 대표상담전화 및 지역별 직통전화를 포함한 표입니다.지역대표상담전화지역별 직통전화
서울 | ☎1577-1366 | 1577-1366 |
경기 수원 | 031-257-1841 | |
대전 | 042-488-2979 | |
광주 | 062-366-1366 | |
부산 | 051-508-1366 | |
경북 구미 | 054-457-1366 | |
전북 전주 | 063-237-1366 |
02다문화가족지원센터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다문화가족의 한국사회 적응을 위하여 가족 내 관계 증진을 위한 교육(가족, 성평등, 인권 등), 한국어교육, 방문교육, 상담, 정보 안내, 결혼이민자 통·번역 서비스, 자녀 언어 발달지원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기관으로, 2022년 현재, 전국에 231개소가 설치·운영되고 있다.
(1)프로그램 내용
프로그램 내용 : 구분,공통필수,선택 및 비고를 포함한 표입니다.구분공통필수선택(예시)비고
가족 |
|
| 연간 필수 14시간, 선택 26시간 이상 (이중언어코치 배치 센터는 공통필수 중 이중언어환경조성 프로그램 160시간 이상) |
성평등・인권 |
|
| 20시간 이상 실시 |
사회통합 |
| - | e새일시스템과 연계된 워크넷 등록 및 새일센터 연계 (10건 이상) |
|
| 15시간 이상 실시 (봉사자 소양교육 필수 4시간 포함) | |
상담 | 가족상담 |
| 연간 80회기 이상 |
또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다문화가족을 위한 특성화 사업은 다음과 같다.
다문화가족을 위한 특성화 사업 : 구분 및 내용을 포함한 표입니다.구분내용
특수목적 한국어교육 | 수요자 맞춤형 실용 한국어 프로그램으로 지역수요를 반영하여 7개 과정(자녀학습 지도, 취업준비, 지역문화활동, 중도입국, 자녀 topik읽기/듣기/쓰기) 운영 |
방문교육 서비스 |
|
사례관리 지원 | 가정폭력·이혼 등 다문화가족의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해결을 위한 심리·정서적인 안정 및 자립 역량 강화 지원 등 맞춤형 종합 서비스 제공 |
통·번역 서비스 | 한국말이 서툰 결혼이민자의 가족, 사회생활에 필요한 의사소통을 지원하기 위한 통·번역서비스 제공 |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 지원 | 다문화가족 자녀의 언어발달 상태를 평가하여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가진 아동에게 언어교육을 실시하고 부모를 대상으로 교육방법을 제공 |
이중언어환경조성사업 | 다문화가족 자녀가 가정 내에서 영유아기부터 자연스럽게 이중언어로 소통할 수 있는 환경조성(이중언어 부모코칭, 부모-자녀 상호작용 프로그램, 이중언어 활용프로그램, 가족코칭) |
(2)이용방법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지역별로 운영되고 있으며, 다누리콜센터 ☎1577-1366으로 전화하면 가장 가까운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전화번호를 안내 받을 수 있다(보통 09:00~18:00까지 이용할 수 있다). (10장 부록 참조)
03이주배경청소년지원재단 무지개청소년센터
이주배경청소년지원재단 무지개청소년센터는 청소년복지지원법 제18조에 명시된 이주배경청소년 (북한이탈·중도입국·다문화청소년)을 지원하는 전문기관이며, 동법 제30조에 따른 이주배경청소년 지원센터로서 이주배경청소년의 한국사회정착과 학습능력 및 자립역량 향상 등을 위한 업무를 수행 하는 비영리 재단법인이다(*이주배경청소년은 부모 중 1인 이상 또는 본인이 한국 외 지역 출생 이거나, 한국 출생 후 국외에서 성장한 청소년으로 한국사회의 다양한 이주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을 포괄하는 개념).
(1)지원 내용
다문화가족을 위한 특성화 사업 : 구분 및 내용을 포함한 표입니다.구분내용
이주배경청소년 교육지원사업 레인보우스쿨 |
|
진로지원 프로그램 • 무지개Job아라 • 내-일을 잡아라 |
|
탈북청소년사회입문프로그램 • 비교문화체험 • 미래를 향한 첫걸음 |
|
상담 및 지역사회연계프로그램 맞춤형정보제공 ☎ 02-722-2585 |
|
상담통역지원사 양성 |
|
이주배경청소년심리사회적응척도 |
|
이주배경청소년 지원 인력 양성 |
|
청소년 다문화감수성 증진프로그램 ‘다가감’ |
|
(2)이용방법
04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
(1)프로그램 내용
프로그램 내용 : 구분 및 내용을 포함한 표입니다.구분내용
상담 |
|
교육 |
|
행사 |
|
진료 |
|
(2)이용방법
평일 09:00~18:00까지 이용할 수 있으며, 일부 교육에 대해서는 일요일에도 실시된다.
05외국인력상담센터
사업개요
현황
현황 : 명칭, 주소, 운영시간, 상담언어 및 상담내용을 포함한 표입니다.상담주소운영시간상담언어상담내용
외국인력상담센터(☎1577-0071)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2길 16, 에머랄드빌딩 3층 |
연중무휴(09:00~18:00)
|
한국어, 중국어, 베트남어, 타갈로그(필리핀)어, 영어, 태국어, 인도네시아어, 싱할라어, 몽골어, 우즈베크어, 크메르(캄보디아)어, 벵골어, 우르드어(파키스탄), 네팔어, 미얀마어, 키르기즈스탄어, 동티모르어 등 총 17개 언어로 구성 |
외국인근로자 및 사업주의 고충 등 국내생활 및 사업장 적응에 필요한 생활 정보상담 |
06출입국·외국인청(사무소)
출입국·외국인청(사무소)(출입국·외국인청(사무소) 현황은 부록 참조)는 내외국인의 출입국심사, 사증발급인정서 발급, 외국인등록, 체류기간연장, 체류자격변경 등 각종 체류허가, 위반조사, 국적, 난민업무 등 외국인의 국내 지위와 관련된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이민자의 정착지원과 사회통합을 위하여 사회통합프로그램, 이민자 조기적응프로그램, 국제결혼 안내 프로그램 등 각종 교육·정보제공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07다국어 지원 웹사이트
정보통신이 발달한 한국에서는 웹사이트를 통해서 한국생활에 대한 정보를 얻거나 한국어, 한국사회 이해 등을 사이버 교육으로 수강할 수 있다. 특히 다문화가족·외국인 지원기관 등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는 여러 국가의 언어로 이용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다국어 지원 웹사이트 : 웹사이트 주소, 운영기관 및 제공서비스를 포함한 표입니다.웹사이트 주소운영기관제공서비스
공공운영 | |||
다누리 (다문화가족 지원 포털) | www.liveinkorea.kr | 한국건강 가정진흥원 | 한국생활정보, 학습정보, 센터정보, 상담실, 자료실, 다문화소식, 웹진 운영, 가정폭력·성폭력·성매매 등 긴급한 상황에 처한 폭력 피해 이주여성에게 자국어 상담 및 통역 지원 |
하이 코리아 (외국인 대상 전자 정부 포털) | www.hikorea.go.kr | 법무부 | 온라인 민원 서비스, 출입국, 고용, 취업, 투자 안내, 생활편의, 상담 서비스, 민원서류 제공 |
다문화 꾸러미 | www.kidsnfm.go.kr | 국립민속박물관 | 나라별 문화 소개 |
찾기 쉬운 생활법령정보 | www.easylaw.go.kr/CSM | 법제처 | 결혼이민자, 비자·여권, 산업재해보험, 외국인근로자, 운전면허, 이사 주택임대차, 금전거래 등 외국인이 우리나라에서 생활하는 데 필요한 법령정보를 12개 언어로 알기 쉽게 제공 |
korea.net | www.korea.net | 해외문화홍보원 | 대한민국 뉴스, 경제, 역사, 문화, 관광정보 제공 |
정부24 | www.gov.go.kr | 행정안전부 | 대한민국 정부에서 제공하는 각종 증명서 온라인 발급, 외국인 근로자, 결혼이민자 유학생을 위한 정부서비스 종합 안내 |
VisitKorea | www.visitkorea.or.kr | 한국관광공사 | 한국의 여행 및 축제, 음식점, 숙박 등 정보 |
두리안 | www.ebsd.co.kr | EBS | 한국어, 한국문화를 배울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및 EBS 다문화 콘텐츠 제공 |
누리세종학당 | www.sejonghakdang.org | 세종학당재단 | 한국어, 한국문화 온라인 학습 사이트 |
국민건강보험공단 | www.nhis.or.kr | 국민건강보험공단 | 건강보험제도 및 혜택에 대한 소개와 정보 제공 |
KBS World Radio | world.kbs.co.kr | KBS | 다국어 뉴스, 시사교양, 연예오락 프로그램 소개 등 |
서울시 한울타리 | www.mcfamily.or.kr | 서울특별시 | 서울특별시 다문화가족 지원 프로그램, 커뮤니티, 한국어교육, 취업, 직업 훈련, 대중교통 정보 제공 |
서울시 글로벌센터 | global.seoul.go.kr | 서울특별시 외국인 전용 민원센터, 외국인 대상 생활 지원서비스, 외국인 면허발급 및 세무 상담 등 제공 | |
안산시 다문화지원본부 | global.iansan.net | 경기도 안산시 | 안산시 외국인 주민센터 및 다문화가족지원사업 소개, 8개 언어 웹진, 한국어 교육, 통역, 상담지원, 의료 및 법률 생활정보 등 제공 |
충남다울림 | www.dawoolim.net | 충청남도 | 한국 체류 및 충남 생활에 필요한 정보 제공(센터소식, 한국생활가이드, 나라별 문화소개, 일상생활 용어) |
국민연금공단 | www.nps.or.kr | 국민연금공단 | 국민연금 가입 및 신고, 보험료 납부 방법 등 국민연금 관련 정보 제공 |
민간운영 | |||
이주민 방송 | www.mntv.net | 이주민 방송 MNTV | 다국어 뉴스, 생활한국어 |
다문화 가정 e-배움 캠페인 | ecamp.cuk.edu | 고려사이버 대학교 | 한국어, 한국문화 교육, 배우자 출신 국가의 문화교육 |
08다국어 지원 모바일앱
다국어 지원 모바일앱 : 모바일명, 운영기관명, 내용 및 제공서비스를 포함한 표입니다.모바일명운영기관명내용제공서비스
다누리 (Danuri) | 한국건강가정진흥원 | 한국생활 가이드북, 전국다문화가족지원센터 정보, 긴급연락처 안내 | 안드로이드, IOS |
共ZONE | 법무부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가 발간하는 소통매거진 제공 | 안드로이드, IOS |
찾기 쉬운 생활법령정보 | 법제처 | 결혼이민자, 비자·여권, 산업재해보험, 외국인근로자, 운전면허, 이사 주택임대차, 금전거래 등 외국인이 우리나라에서 생활하는 데 필요한 법령정보를 12개 언어로 알기 쉽게 제공 | m.easylaw.go.kr/MOM |
My Seoul | 서울특별시 | 외국인주민, 다문화가족을 위한 행정정보, 취업정보, 한국어 학습 정보, 다국어 채팅, 국제전화, 생활 전화, 급여계산, 다산콜센터 정보 | 안드로이드, IOS |
다문화 행복스케치 | 부산광역시 | 한국생활 정보, 한국어 학습정보, 취업정보, 상담정보, 프로그램 소개 및 일정, 부산시 다문화가족 지원센터·글로벌센터 정보 | 안드로이드, IOS |
KBS World Radio | KBS | 11개 언어의 뉴스, 시사, 엔터테인먼트, 기타 한국 관련 프로그램의 텍스트 및 동영상 제공 | 안드로이드, IOS |
이머전시 레디앱(Emergency Ready APP) | 행정안전부 | 국내 거주 외국인을 위한 재난안전정보 서비스 | 안드로이드, IOS |
출처: 여성가족부 홈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