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나는 빨래를 널고 있었다 제목도 없는 시간 속으로 태양은 아무렇지도 않게 쏟아지고 나는 마치 처음부터 빨래 건조대를 알고 있었던 것처럼 나는 마치 처음부터 엄마엄마 보행기로 거실을 누비는 저 아이를 알고 있었던 것처럼 나는 마치 처음부터 베란다 너머 저 허공을 알고 있었던 것처럼 익숙해익숙해미치겠어 오늘 하루도 눈감아 주는데 거울아 거울아! 이 여자는 도대체 누구니? 하고 묻는 것이 코미디처럼 느껴지는 마치 처음부터 잘 알고 있었던 것 같은 시간 속에서 이제껏 살고도 날 모른단 말이야? 비아냥댈 것 같은 시간 속에서 도대체 빨래나 널고 있지 않으면 저마다의 베란다에서 저렇게도 마음 편히 말라가는 아파트의 빨래들이나 멍하니 감상하지 않으면 거울아 거울아! 도대체 무엇을 하겠니? 나는 마치 처음부터 나로 수천 년 수만 년을 살아온 듯 너무도 익숙하게 내 팔 속으로 내 팔을 뻗고 내 다리 속으로 내 다리를 뻗고 내 얼굴 속으로 내 얼굴을 드밀며 안녕 안녕 선생님? 안녕 안녕 친구들? 오늘도 이렇게 인사하는데 햇살 가득한 아파트 베란다에서 한가롭게 빨래를 너는 시간, 저 안에서는 한 돌이 안 된 아기가 “엄마, 엄마,” 옹알대면서 보행기를 타고 거실을 누빈다. 결혼을 꿈꾸는 젊은 여인들이 바라 마지않을 정경인데, 정작 당사자인 화자의 마음은 겉돌고 있다. 제 아기를 ‘저 아이’란다. 영화 ‘디 아워스(The hours)’에서 줄리언 무어가 제 아이를 한없이 낯선 눈길로 바라보던 장면이 떠오른다. 물론 화자는 아기를 사랑할 테다. 어쩐지 육아도 살림도 ‘마치 처음부터 잘 알고 있었던 것’처럼 능숙할 것 같다. 경제적으로나 감정적으로 남편이 속을 썩이는 것 같지도 않고, 아기도 본인도 건강한 것 같다. 그런데도 화자는 ‘익숙해익숙해미치겠어!’ 비명을 지른다. 이 미칠 것 같은 권태와 채워지지 않는 공허…. 안락한 가정을 이루는 것만으로 한 생을 보내는 것을 도저히 수락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 제 삶의 시간이 장삼이사의 고만고만한 ‘제목도 없는 시간’인 것이 가당치 않게 느껴지는데 어찌 호락호락 행복할까. 자기애 강한 엄마시여, 아이는 자라게 마련이지요. 곧 당신만의 ‘무엇을 할’ 시간이 주어질 거예요. 황인숙 시인
I Do It Fof you / BRYAN ADAMS 1991 Cover - BRANDY
❤️ Have a Good Day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