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 | 주요사건 | 참고사항 |
1대 추모왕 기원전 37년 32년 | 고구려 건국, 비류국 통합 행인국 정복 북옥저 정복 | |
2대 유리왕 19년 9년 서기 3년 12년 13년 14년 | 유리명왕 즉위 선비 공격 국내성 천도 신(薪)나라와의 전쟁 부여와의 전쟁 양맥을 멸망시킴, 현도군 고구려현 공격 | 백제 건국 (기원전 18년) 왕망의 신(薪) 성립 (8년) |
3대 대무신왕 18년 20년 21~22년 26년 28년 32년 37년 44년 | 대무신왕 즉위 동명왕묘 세움 부여 공격, 부여의 내분 - 갈사국 탄생 개마국, 구다국 점령 후한의 요동태수와 다툼 왕이 비류부 대가들의 지위를 박탈 낙랑국(최리의 낙랑국)을 멸망시킴 후한이 살구 이남에 낙랑군 설치 | 후한 성립 (25년) |
4대 민중왕 | 민중왕 즉위 | |
5대 모본왕 48년 49년 | 모본왕 즉위 후한의 우북평,어양,상곡,태원지방을 기습공격 | |
6대 태조대왕 53년 55년 56년 68년 72년 74년 98년 105년 118년 121년 121~122년 | 계루부의 혁명, 태조대왕 즉위 요서지방에 10성을 쌓음 동옥저 정복 갈사국 투항 조나 정복 주나 정복 책성 지역을 순수 후한의 요동군 공격 후한의 현도군 공격 후한의 유주자사 군대 격파 부여에 행차, 유화부인묘에 제사 후한공격시 부여의 방해로 패배당함 | 로마 - 네로 황제 시대 |
7대 차대왕 146년 | 차대왕 즉위 | |
8대 신대왕 165년 167년 172년 | 명림답부의 혁명, 신대왕 즉위 왕이 졸본에 가서 시조묘에 제사 지냄 명림답부가 후한의 대군을 좌원에서 격파 | |
9대 고국천왕 179년 190년 191년 194년 | 고국천왕 즉위 연나부 좌가려의 반란 진압 을파소 등용 진대법 실시 | 후한 황건적의 난 발생 (184년) 공손씨의 성장 |
10대 산상왕 197년 209년 217년 | 산상왕 즉위, 발기의 난 진압 환도산성으로 수도 옮김 망명해온 한인 천여 명을 책성에 배치하여 살게 함 | 중국 삼국시대 혼란 (220년) |
11대 동천왕 227년 234~236년 238년 242년 246년 245년 247년 | 동천왕 즉위 위나라와 사신을 교환하고, 오나라 사신을 죽임 위나라와 함께 공손씨 공격 (요양지방) 요동군 서안평현 공격 위나라 관구검의 침입 신라를 공격함, 동예는 이미 고구려에 복속 평양성으로 수도를 일시 옮김 | 3세기 초반 벽화고분 등장 |
12대 중천왕 248년 259년 | 중천왕 즉위, 순장 금지시킴, 나부의 해체 위나라 침입을 양맥곡에서 대파 함. | |
13대 서천왕 270년 276년 280년 285년 | 서천왕 즉위 신성 순시 - 숙신과 부여에 대한 영향력 확대 숙신이 공격해오자 이를 격퇴함. 모용선비와 부여쟁탈전쟁 - 동부여 성립 | 서진이 일시 중국을 통일함. |
14대 봉천왕 292년 293년 | 봉상왕 즉위 모용선비의 기습. 고노자의 활약으로 격퇴 | |
15대 미천왕 300년 302년 311년 313년 314년 319년 | 창조리의 혁명, 미천왕 즉위 현도군 공격, 8천 여명을 평양으로 잡아옴. 요동군 서안평현 공격 낙랑군을 멸망시킴 대방군을 멸망시킴. 모용선비를 서진, 단선비와 연합공격했으나 실패 서진의 평주자사 최비가 망명해옴 | 밀라노칙령-기독교공인 중국 5호16국시대 혼란기 (316년) 인도 굽타왕조성립 (320~520년) |
16대 고국원왕 331년 338년 339년 342년 355년 371년 | 고국원왕 즉위 후조가 모용선비를 연합공격할 것을 제의해 옴 모용선비가 신성을 공격해 옴 모용선비의 공격으로 수도 함락됨. 왕모를 데려감 왕모 주씨왕후가 돌아옴 고국원왕 백제와의 전쟁에서 죽음 | 로마 콘스탄티누스황제 시대 모용선비, 전연이라 칭함 안악3호분 건설됨 백제의 전성기-근초고왕 |
17대 소수림왕 372년 373년 378년 | 소수림왕 즉위 불교 수입, 태학 설립 율령 반포 거란족이 변경지대를 공격해 옴 | 전연, 전진에게 멸망 (370년) 게르만 족의 이동 시작 (375년) |
18대 고국양왕 384년 385년 391년 | 고국양왕 즉위 요동군, 현도군에서 후연과 공방전을 벌임 유주와 기주의 백성들이 대거 망명해 옴 불교 권장, 국사와 종묘 수리 신라 실성이 인질로 옴 | 후연이 건국됨 북위 건국 (386년) |
19대 광개토태왕 391년 392년 393년 394년 395년 396년 398년 399년 400년 402년 404년 406년 407년 408년 410년 | 광개토대왕 즉위 백제 10성을 빼앗음, 관미성을 함락시킴 거란 정벌, 민가 1만 명을 귀순시킴 평양에 9사(寺)를 창건 백제와 수곡성에서 싸워 이김 백제와 패수에서 싸워 이김 거란을 정벌하고 국경지대를 점검함 백제왕에게 항복받고, 58촌 700촌락 빼앗음 숙신을 정벌함 백제-왜가 신라를 공격, 신라가 구원을 요청해 옴 5만 군대로 신라 구원 작전. 가야,왜를 정복함 후연의 숙군성 공격. 평주자사 모용귀 도망 백제-왜를 대방 전투에서 격파 일본열도로 쳐들어감 후연의 연군지역을 공격함 후연의 군대가 3천 리나 쫓겨다님 5만 군대로 후연 격파, 갑옷 1만여 벌 등을 빼앗음 후연 멸망, 고운이 북연왕이 괸 것을 축하해 줌 동부여를 정벌 | 로마제국이 동서로 분리 덕흥리 벽화고분 건설 |
20대 장수왕 413년 427년 433년 436년 439년 450년 463년 468년 469년 472년 475년 476년 479년 481년 483년 484년 491년 | 장수왕 즉위 평양 천도 (안학궁성, 대성산성) 나제동맹 첫 성립 북연을 접수함 - 북위군과 대치 송나라에게 말 800필 수출 신라가 고구려 장수를 죽임. 신라의 사죄로 무마 신라 금성에 주둔한 고구려군 100명 몰살당함 신라 실직주성을 공격함 백제가 반격해 옴 백제가 북위에 공동작전 협의했으나 실패 백제 공격, 개로왕을 죽임. 백제 웅진으로 천도 백제와 송의 교류를 차단함 유연과 함께 지우두 분할, 거란 8부를 붕괴시킴 신라 미질부(경주 북쪽)를 공격함 백제와 남제간의 교류 차단 물길이 북위에 사신보내 고구려 공격모의, 실패 장수왕 죽음 | 광개토태왕릉비 건설 (414년) 북위 북중국을 통일함 서로마제국 멸망 거란 일부, 북위에 굴복 중원 고구려비 (480년?) 프랑크 왕국 건국 (486~843년) |
21대 문자명왕 492년 494년 504~507년 504년 | 문자명왕 즉위 북부여에서 자진해서 항복해 옴 물길을 제압함 백제에게 섭라 등 일부 지역 빼앗김 | 백제와 신라 혼인동맹 (493년) |
22대 안장왕 519년 | 안장왕 즉위 이 무렵 백제로부터 한강유역을 다시 회복 | |
23대 안원왕 531년 544년 | 안원왕 즉위 귀족내부의 분열 - 세군,녹군 간의 다툼 | 북위가 동위, 서위로 분열 (534년) |
24대 양원왕 545년 551년 552년 553년 558년 | 양원왕 즉위 돌궐이 신성을 공격해옴 백제, 신라, 가야 연합군이 고구려 남부를 공격해옴 장안성 건설 시작 북제와 외교적 갈등이 일어남 북제가 거란을 공격 간주리가 국내성에서 반란 | 돌궐이 유연을 멸망시킴 신라가 한강 유역을 차지 |
25대 평원왕 559년 578년 586년 589년 | 평원왕 즉위 이 무렵 돌궐 격파, 거란 지배력 강화 후주와의 전쟁, 온달의 활약으로 승리함 장안성으로 천도 평원왕 죽음 | 돌궐이 동서로 분열 후주가 북제를 멸망시킴 (577년) 수, 중국통일 |
26대 영양왕 590년 598년 600년 607년 612년 613년 614년 | 영양왕 즉위 수나라 요서지방을 선제 공격함 수나라의 1차 침입을 요서와 발해만에서 격파함 태학박사 이문진 신집 5권 만듬 동돌궐에서 고구려 사신과 수양제가 만남 수의 2차 침입. 요하, 요동성, 평양성, 살수에서 대승 수의 3차 침입 격퇴 수의 4차 침입, 자진 퇴각 | 수에서 대운하 건설 (605~608년) |
27대 영류왕 618년 624년 631년 | 영류왕 즉위 당에서 고구려에 도사를 파견함 당의 사신이 고구려 경관 파괴, 천리장성 수축 | 수 멸망, 당 건국 이슬람 기원원년 마호메드 메카점령(630) |
28대 보장왕 642년 645년 647년 648년 649년 654년 655년 660년 661년 662년 665년 666년 667년 668년 669년 670년 671년 672년 673년 676년 699년 | 연개소문 혁명, 보장왕 즉위 백제가 신라의 40여 성을 빼앗음 신라 김춘추 사신으로 옴. 산라와 협상 실패 당의 침입, 안시성 전투, 퇴각하는 당군을 격파 당이 석성, 남소성을 공격해 옴 압록강 하구로 당 수군이 공격해 옴, 격파함 당태종 죽음, 당의 고구려 침략 일시 중지 거란 공격 실패 백제와 연합, 신라 33성 점령함. 당군이 변방 침입 백제가 멸망당함. 당이 변방지대를 침입함 신라와 북한산성에서 다툼. 당군이 평양성 포위함 당 방효태군을 사수에서 전멸시킴. 당 침입 격퇴 연개소문 죽음 남생-남건,남산 형제 내분 남생이 당에 투항, 연정토 신라에 투항 신성이 당군에게 함락됨 부여성이 당에게 함락, 한성이 신라에 함락됨 9월 하순 고구려가 멸망함 고구려인 20만 명 당나라 내지로 끌려감 안승의 부흥운동 검모잠의 부흥운동 안시성 함락 백수산 전투에서 고구려 부흥군 패배 호로하 전투에서 고구려 부흥군 패배 보장왕의 부흥운동 보장왕의 아들 덕무의 부흥운동 - 소고구려국 대조영의 발해건국 | 산라 당에 사신 보내 백제정벌 요청 신라 김춘추 왕위에 오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