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이 죽은 뒤에 그 일생을 평가하여, 호칭에 조와 종을 붙여 짓는데요
이것을 "'묘호" 라고 합니다
또한 시호 (諡號)는 살았을 때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올려진 칭호였구요.
조 ( 祖 ) 는 한 왕조를 창업하거나 그에 준하는 탁월한 공이 있다는 의미로서
나라를 세웠거나 변란에서 백성을 구한 큰 업적이 있는 왕들에게 붙여졌습니다
종 ( 宗 ) 은 덕으로서 나라를 다스리고 문물을 융성케 한 왕에게 붙여진 묘호입니다
따라서 창업군주에 버금가는 중흥군주에게 종이 붙여졌습니다.
군 ( 君 ) 은 폐위된 왕들에게 붙여졌습니다.. 연산군과 광해군처럼 왕으로서, 그 시대
의 질서에 크게 벗어나 부도덕한 행위를 저지른 군주에게 붙여진 것으로, 이들은 반정을
당하여 임금의 자격을 박탈당했기 때문에 묘호가 없이 군으로 합니다
군이란 왕자들에게 붙여지는 것으로, 중전의 왕자들에게는 대군이라 하고, 후궁들의 왕
자들에게 군이라 합니다. 따라서 연산군의 어머니는 후궁이었다가 중전에 오르기까지 했
으나 후에 다시 폐위되어 사사를 받았습니다. 또 광해군도 선조의 후궁 공빈의 소생 왕자
이므로 군이라고 붙여졌습니다. 이 두사람은 임금에 올랐으나, 나라를 폭정으로 다스리다
가 반정을 당하여 강등되어지니 본래의 군이란 호칭으로 되돌아 간 것입니다.
조선의 2 7 왕 가운데 태조,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 만이 조를 썼어요
그리고 죽은 뒤에 왕으로서 대접을 받지 못한 연산군과 광해군을 제외한 나머지
왕들은 모두 종을 썼습니다.
태조는 나라를 처음 세웠기 때문에 조가 붙여졌습니다. 나머지 조가 붙은 왕들중
선조와 인조는 큰 국난을 극복한 경우이고, 세조는 반정을 통해 왕에 오른 경우입니다.
영조 . 정조 . 순조는 숨지자 바로 종을 썼지만 후에 조 자로 바뀌어 붙여졌습니다.
그러나 조선 후기로 갈수록 조와 종을 나누는 기준이 불투명해졌습니다.
조와 종은 원래 차별있는 것은 아니었지만 조가 종보다 나은 것처럼 받아들여지는
백조대관들의 심리 때문에 기준이 불분명해진 것입니다
선조의 경우 처음의 묘호는 선종이었습니다. 공보다는 덕이 앞선다고 평가한 것이죠.
그러나 나중에 허균과 이이첨이 주장하여 이를 선조로 바꾸었습니다.
임진왜란 때 왜구를 물리친 커다란 공이 있다는 것이 그 까닭이었습니다
또 중종의 경우는 연산군을 몰어낸 큰 공이 있다는 점을 인정하여 중조로 하자는
주장이 인종에 의해 제기되기도 했으나 신료들의 반대로 그냥 종으로 결정되었습니다
.
살았을 때와 다르게 왕들에게 이런 이름을 만들어 붙이는 것은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시는 왕실 사당 종묘에 신위를 모실 때 쓰기 위해서였습니다.
조와 종으로 죽은 왕을 부르는 것은 삼국시대에 신라 무열왕이 사용했고,
고려는 태조 왕건 이후 계속 사용하다가 원의 간섭으로 쓰지 못했습니다.
오직 조선에서만이 처음부터 끝까지 이 조와 종의 칭호법을 사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