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러치는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클러치의 주요 특징은 '마찰 저항'을 활용한다는 점이다. 자동차의 자동 변속기는 토크 컨버터의 유체 저항을 이용하며, 오토바이는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저항을 활용한다. 특히 오토바이의 클러치와 클러치 디스크 간의 거리는 매우 가까워, 마치 '붙어 있는' 것처럼 긴밀하게 작동한다. 이는 중립 상태에서 시동을 걸더라도, 구동 바퀴가 무부하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이 정상임을 의미한다. 한편, 혼다 DCT(듀얼 클러치 변속기)는 듀얼 클러치를 사용하며, 이를 자동차의 토크 컨버터와 비교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DCT는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두 개의 축 클러치를 통해 동력을 단속하는 방식이다. 앞으로, 듀얼 클러치 시스템에서 무부하 상태에서도 구동 바퀴가 회전하는지를 확인해 볼 계획이다.
첫댓글 해당 영상은 냉간시이며 온간시 rpm이 낮아져 뒷바퀴의 회전이 약해지거나 멈춤
멍멍이 끈을 묶어서 밖에 데리고나가면 난 붙잡고있는데
앞으로 가고싶어서 막 날뛰는것과 동일하지않을까..싶네요ㅋㅋ
지구 자전!
엔진오일이 동력전달 하는게 아닐까
클러치는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클러치의 주요 특징은 '마찰 저항'을 활용한다는 점이다.
자동차의 자동 변속기는 토크 컨버터의 유체 저항을 이용하며, 오토바이는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저항을 활용한다.
특히 오토바이의 클러치와 클러치 디스크 간의 거리는 매우 가까워, 마치 '붙어 있는' 것처럼 긴밀하게 작동한다. 이는 중립 상태에서 시동을 걸더라도, 구동 바퀴가 무부하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이 정상임을 의미한다.
한편, 혼다 DCT(듀얼 클러치 변속기)는 듀얼 클러치를 사용하며, 이를 자동차의 토크 컨버터와 비교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DCT는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두 개의 축 클러치를 통해 동력을 단속하는 방식이다.
앞으로, 듀얼 클러치 시스템에서 무부하 상태에서도 구동 바퀴가 회전하는지를 확인해 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