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panisasuttaṃ (SN 12.23) 기반 경(S12:23) Upanisā-sutta
♦ 23. sāvatthiyaṃ viharati ... pe ...
“jānato ahaṃ, bhikkhave, passato āsavānaṃ khayaṃ vadāmi, no ajānato no apassato.
3. “비구들이여, ●알고 보는 자는 번뇌들이 멸진한다.고 나는 말하고,
알지 못하고 보지 못하는 자는 번뇌들이 멸진하지 않는다고 나는 말한다.
kiñca, bhikkhave, jānato kiṃ passato āsavānaṃ khayo hoti ?
iti rūpaṃ iti rūpassa samudayo iti rūpassa atthaṅgamo,
iti vedanā ... pe ... iti saññā... iti saṅkhārā...
iti viññāṇaṃ iti viññāṇassa samudayo iti viññāṇassa atthaṅgamoti.
evaṃ kho, bhikkhave, jānato evaṃ passato āsavānaṃ khayo hoti”.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을 알고 ●●무엇을 보는 자에게 ●번뇌들이 멸진하는가?
'이것이 물질이다. 이것이 물질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물질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느낌이다. 이것이 느낌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느낌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인식이다. 이것이 인식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인식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형성들이다. 이것이 형성들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형성들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알음알이다. 이것이 알음알이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알음알이의 사라짐이다.'라고
이와 같이 알고 이와 같이 보는 자에게 번뇌들은 멸진한다.”
♦ “yampissa taṃ, bhikkhave, khayasmiṃ khayeññāṇaṃ, tampi saupanisaṃ vadāmi, no anupanisaṃ.
kā ca, bhikkhave, khayeñāṇassa upanisā? ‘vimuttī’tissa vacanīyaṃ.
4. “비구들이여, [번뇌들의] 멸진에 대한 멸진의 지혜는 기반이 있는 것이지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라고 나는 말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멸진의 지혜의 기반170)인가? 해탈171)이라고 말해야 한다.
170) “'기반이 있다(saupanisaṃ).'란 원인이 있고(sakāraṇaṃ), 조건이 있다(sappaccayaṃ)는 뜻이다." (Ibid)
“결실이 여기에 의지하기 때문에 원인(kāraṇa)이 바로 기반이다(upani-sīdati phalaṃ etthā ti kāraṇaṃ upanisā)."(SAȚ.ii.55)
171) “여기서 '해탈(vimutti)'이란 아라한과의 해탈(arahatta-phala-vimutti)을 말한다. 이것은 그 [소멸의 지혜]의 강하게 의지하는 조건[親依止緣, upanissaya-paccaya]으로 조건이 된다. 아래에 나타나는 것들도 모두 이 [강하게 의지하는] 조건이 된다고 알아야 한다.”(SA.ji.53)
vimuttimpāhaṃ , bhikkhave, saupanisaṃ vadāmi, no anupanisaṃ.
kā ca, bhikkhave, vimuttiyā upanisā? ‘virāgo’tissa vacanīyaṃ.
비구들이여, 해탈도 기반이 있는 것이지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라고 나는 말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해탈의 기반인가? 탐욕의 빛바램172)이라고 말해야 한다.
172) “'탐욕의 빛바램[慾, virāga]'이란 도(magga)를 말한다. 이것은 오염원 (kilesa)들에 대한 탐욕이 빛바래고(virājenta) 던져버릴(khepenta) 때 생기기 때문에 탐욕의 빛바램이라 불린다.” (Ibid)
virāgampāhaṃ, bhikkhave, saupanisaṃ vadāmi, no anupanisaṃ.
kā ca, bhikkhave, virāgassa upanisā? ‘nibbidā’tissa vacanīyaṃ.
비구들이여, 탐욕의 빛바램도 기반이 있는 것이지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라고 나는 말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탐욕의 빛바램의 기반인가? 염오173)라고 말해야 한다.
173) “'염오(nibbidā)'란 염오의 지혜(nibbidā-ñāṇa)를 말하는데 이것으로 강한 위빳사나(balava-vipassanā)를 드러내고 있다. 여기서 강한 위빳사나란 [10가지 위빳사나의 앎 가운데] ④ 공포의 앎(bhayat-upaṭṭhāne ñāṇa) ⑤ 위험을 관찰하는 앎(ādīnava-anupassane ñāṇa) ⑦ 해탈하기를 원하는 앎(muñcitukamyatā-ñāṇa) ⑨ 상카라[行]에 대한 평온의 앎(saṅkhār-upekkhā-ñāṇa)의 네 가지 지혜와 동의어이다.” (Ibid)
『아비담마 길라잡이』 제9장 §25와 §§32~33과 『청정도론』 XXI와 XXII를 참조할 것.
nibbidampāhaṃ, bhikkhave, saupanisaṃ vadāmi, no anupanisaṃ.
kā ca, bhikkhave, nibbidāya upanisā? ‘yathābhūtañāṇadassanan’tissa vacanīyaṃ.
비구들이여, 염오도 기반이 있는 것이지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라고 나는 말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염오의 기반인가?
있는 그대로 알고 봄[如實知見]174) 이라고 말해야 한다.
174) “'●있는 그대로 알고 봄[如實知見, yathā-bhūta-ñāṇa-dassana]'이란 고유성질(sabhāva)대로 아는 것이라 불리는 봄(dassana)을 말한다. 이것으로 얕은 위빳사나(taruṇa-vipassanā)를 드러내고 있다. 얕은 위빳사나는 강한 위빳사나의 조건(paccaya)이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얕은 위빳사나란 형성된 것들을 한정하는 앎(saṅkhāra-paricchede ñāṇa), 의심을 제거함에 의한 앎(kaṅkhā-vitaraṇe ñāṇa), 명상의 앎(sammasane ñāṇa), 도와 도아님에 대한 앎(maggāmagge ñāṇa)의 네 가지 앎과 동의어이다.”(SA.ji.53)
한편 복주서는 형성된 것들을 한정하는 앎은 '정신과 물질'을 파악하는 앎(nāmarūpa-pariggaha-ñāṇa)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앙굿따라니까야』「계행이 나쁨 경」 (A5:24)에 대한 주석서(AA.iii.228)에는 정신과 물질을 한정하는 앎(nāmarūpa-pariccheda-ñāṇa)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청정도론』XVIII.37에 의하면 『청정도론』 XVIII에서 설해지는 견청정의 내용이다. 특히 XVIIII.2에서는 위빳사나의 출발이라 할 수 있는 견청정을 정신 · 물질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yathābhūtañāṇadassanampāhaṃ, bhikkhave, saupanisaṃ vadāmi, no anupanisaṃ.
kā ca, bhikkhave, yathābhūtañāṇadassanassa upanisā? ‘samādhī’tissa vacanīyaṃ.
비구들이여, 있는 그대로 알고 봄도 기반이 있는 것이지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라고 나는 말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있는 그대로 알고 봄의 기반인가? ●●삼매175)라고 말해야 한다.
175) “'여기서 삼매(samādhi)'란 [위빳사나의] 기초가 되는 禪의 삼매(pādakajjhāna-samādhi)이다. 이것은 얕은 ●위빳사나의 조건이 되기 때문이다.”(SA.ii.54)
이것은 칠청정 가운데 두 번째인 심청정(citta-visuddhi)에 해당된다.
samādhimpāhaṃ, bhikkhave, saupanisaṃ vadāmi, no anupanisaṃ.
♦ “kā ca, bhikkhave, samādhissa upanisā? ‘sukhan’tissa vacanīyaṃ.
비구들이여, 삼매도 기반이 있는 것이지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라고 나는 말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삼매의 기반인가? 행복176)이라고 말해야 한다.
176) “여기서 '행복(sukha)'이란 본삼매(appanā) 이전(pubba-bhāga)에 나타나는 행복을 말한다. 이것은 [위빳사나의] 기초가 되는 禪의 조건이 되기 때문이다.”(SA.ii.54)
“본삼매 이전에 나타나는 행복이란 ●근접삼매와 함께하는 행복(upacāra-jjhāna-sahita-sukha)이다.”(SAȚ.ii.56)
sukhampāhaṃ, bhikkhave, saupanisaṃ vadāmi, no anupanisaṃ.
kā ca, bhikkhave, sukhassa upanisā? ‘passaddhī’tissa vacanīyaṃ.
비구들이여, 행복도 기반이 있는 것이지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라고 나는 말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행복의 기반인가? 경안[輕安]177)이라고 말해야 한다.
177) “여기서 '●경안[輕安, passaddhi]'이란 둔감함- 가라앉힘(daratha-paṭippassaddhi)이다. 이것은 본삼매 이전에 나타나는 행복의 조건이 되기 때문이다.”(SA.ii.54)
“여기서 ●둔감함(daratha)이란 감각적 욕망 등의 [다섯 가지 장애인] 오염원에 둔감함(kāmacchandādi-kilesa-daratha)을 말한다.” (SAȚ.ii.56) 「한적한 곳에 감 경」(S36:11) §7을 참조할 것.
passaddhimpāhaṃ, bhikkhave, saupanisaṃ vadāmi, no anupanisaṃ.
kā ca, bhikkhave, passaddhiyā upanisā? ‘pītī’tissa vacanīyaṃ.
비구들이여, 경안함도 기반이 있는 것이지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라고 나는 말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경안함의 기반인가? 희열178)이라고 말해야 한다.
178) “'희열(pīti)'이란 강한 희열(balava-pīti)을 말한다.”(SA.ii.54)
(전율 유체이탈 법율 등 희열)
pītimpāhaṃ, bhikkhave, saupanisaṃ vadāmi, no anupanisaṃ.
kā ca, bhikkhave, pītiyā upanisā? ‘pāmojjan’tissa vacanīyaṃ.
비구들이여, 희열도 기반이 있는 것이지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라고 나는 말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희열의 기반인가? 환희179)라고 말해야 한다.
179) “'환희(pāmojja)'란 약한 희열(dubbala-pīti)을 말한다.”(SA.ii.54)
pāmojjampāhaṃ, bhikkhave, saupanisaṃ vadāmi, no anupanisaṃ.
kā ca, bhikkhave, pāmojjassa upanisā? ‘saddhā’tissa vacanīyaṃ.
비구들이여, 환희도 기반이 있는 것이지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라고 나는 말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환희의 기반인가? 믿음180)이라고 말해야 한다.
180) “'믿음(saddhā)'이란 계속적으로(aparāparaṃ) 생겨나는 믿음을 말한다.”(SA.ii.54)
“믿음은 삼보의 덕(ratanattaya-guṇa)과 업의 과보(kamma-phala)를 믿어서(saddahana-vasena) 생기는 확신(adhimokkkha)이다. 이것은 자기 자신에게서 한번만이 아니라 계속해서(punappunaṃ) 일어나기 때문에 '계속적으로 생겨나는 믿음'이라고 설명하고 있다.”(SAȚ.ii.56)
saddhampāhaṃ, bhikkhave, saupanisaṃ vadāmi, no anupanisaṃ.
♦ “kā ca, bhikkhave, saddhāya upanisā? ‘dukkhan’tissa vacanīyaṃ.
비구들이여, [31] 믿음도 기반이 있는 것이지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라고 나는 말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믿음의 기반인가? 괴로움181)이라고 말해야 한다.
181) “'괴로움(dukkha)'이란 윤회의 괴로움(vaṭṭa-dukkha)이다.” (SA.ii.54)
dukkhampāhaṃ, bhikkhave, saupanisaṃ vadāmi, no anupanisaṃ.
kā ca, bhikkhave, dukkhassa upanisā? ‘jātī’tissa vacanīyaṃ.
비구들이여, 괴로움도 기반이 있는 것이지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라고 나는 말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괴로움의 기반인가? 태어남182)이라고 말해야 한다.
182) “'●●태어남(jāti)'이란 변화를 수반하는(sa-vikārā) ●●오온의 생겨남(khandhajā)이다.” (Ibid)
●(오온- 색의 몸에 느낌과 인식을 거듭 형성하며 분별로 아는 것(수상행식)
jātimpāhaṃ, bhikkhave, saupanisaṃ vadāmi, no anupanisaṃ.
kā ca, bhikkhave, jātiyā upanisā? ‘bhavo’tissa vacanīyaṃ.
비구들이여, 태어남도 기반이 있는 것이지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라고 나는 말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태어남의 기반인가? 존재183)라고 말해야 한다.
183) “'존재(bhava)'란 업으로서의 존재[業有, kamma-bhava]이다.” (Ibid) (존재-有에 의도)
bhavampāhaṃ, bhikkhave, saupanisaṃ vadāmi, no anupanisaṃ.
kā ca, bhikkhave, bhavassa upanisā? ‘upādānan’tissa vacanīyaṃ.
비구들이여, 존재도 기반이 있는 것이지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라고 나는 말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존재의 기반인가? 취착이라고 말해야 한다.
upādānampāhaṃ, bhikkhave, saupanisaṃ vadāmi, no anupanisaṃ.
kā ca, bhikkhave, upādānassa upanisā? ‘taṇhā’tissa vacanīyaṃ.
비구들이여, 취착도 기반이 있는 것이지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라고 나는 말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취착의 기반인가? 갈애라고 말해야 한다.
taṇhampāhaṃ, bhikkhave, saupanisaṃ vadāmi, no anupanisaṃ.
“kā ca, bhikkhave, taṇhāya upanisā? ‘vedanā’tissa vacanīyaṃ ... pe ...
비구들이여, 갈애도 기반이 있는 것이지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라고 나는 말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갈애의 기반인가? 느낌이라고 말해야 한다. …
‘phasso’tissa vacanīyaṃ...
‘saḷāyatanan’tissa vacanīyaṃ...
‘nāmarūpan’tissa vacanīyaṃ...
‘viññāṇan’tissa vacanīyaṃ...
‘saṅkhārā’tissa vacanīyaṃ.
saṅkhārepāhaṃ, bhikkhave, saupanise vadāmi, no anupanise.
kā ca, bhikkhave, saṅkhārānaṃ upanisā? ‘avijjā’tissa vacanīyaṃ.
감각접촉이라고 말해야 한다. … 여섯 감각장소라고 말해야 한다. …
정신 · 물질이라고 말해야 한다. … 알음알이라고 말해야 한다. …
의도적 행위들이라고 말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형성(행)들도 기반이 있는 것이지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라고 나는 말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형성(행)들의 기반인가? 무명이라고 말해야 한다.”
♦ “iti kho, bhikkhave, avijjūpanisā saṅkhārā, saṅkhārūpanisaṃ viññāṇaṃ,
viññāṇūpanisaṃ nāmarūpaṃ, nāmarūpūpanisaṃ saḷāyatanaṃ, saḷāyatanūpaniso phasso,
phassūpanisā vedanā, vedanūpanisā taṇhā, taṇhūpanisaṃ upādānaṃ, upādānūpaniso bhavo,
bhavūpanisā jāti, jātūpanisaṃ dukkhaṃ,
dukkhūpanisā saddhā, saddhūpanisaṃ pāmojjaṃ, pāmojjūpanisā pīti, pītūpanisā passaddhi,
passaddhūpanisaṃ sukhaṃ, sukhūpaniso samādhi, samādhūpanisaṃ yathābhūtañāṇadassanaṃ,
yathābhūtañāṇadassanūpanisā nibbidā, nibbidūpaniso virāgo, virāgūpanisā vimutti,
vimuttūpanisaṃ khayeñāṇaṃ.
5.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무명을 기반으로 형성(행)들이,
형성(행)들을 기반으로 알음알이가, 알음알이를 기반으로 정신 · 물질이,
정신 · 물질을 기반으로 여섯 감각장소가, 여섯 감각장소를 기반으로 감각접촉이,
감각접촉을 기반으로 느낌이, 느낌을 기반으로 갈애가, 갈애를 기반으로 취작이,
취착을 기반으로 존재가, 존재를 기반으로 태어남이, 태어남을 기반으로 괴로움이,
괴로움을 기반으로 믿음이, 믿음을 기반으로 환희가, 환희를 기반으로 희열이,
희열을 기반으로 고요함이, 고요함을 기반으로 행복이, 행복을 기반으로 삼매가,
삼매를 기반으로 있는 그대로 알고 봄이, 있는 그대로 알고 봄을 기반으로 염오가, [32]
염오를 기반으로 탐욕의 빛바램이, 탐욕의 빛바램을 기반으로 해탈이,
해탈을 기반으로 멸진의 지혜가 있다."
♦ “evameva kho, bhikkhave, avijjūpanisā saṅkhārā, saṅkhārūpanisaṃ viññāṇaṃ,
viññāṇūpanisaṃ nāmarūpaṃ, nāmarūpūpanisaṃ saḷāyatanaṃ, saḷāyatanūpaniso phasso,
phassūpanisā vedanā, vedanūpanisā taṇhā, taṇhūpanisaṃ upādānaṃ, upādānūpaniso bhavo,
bhavūpanisā jāti, jātūpanisaṃ dukkhaṃ,
dukkhūpanisā saddhā, saddhūpanisaṃ pāmojjaṃ, pāmojjūpanisā pīti, pītūpanisā passaddhi,
passaddhūpanisaṃ sukhaṃ, sukhūpaniso samādhi, samādhūpanisaṃ yathābhūtañāṇadassanaṃ,
yathābhūtañāṇadassanūpanisā nibbidā, nibbidūpaniso virāgo, virāgūpanisā vimutti,
vimuttūpanisaṃ khayeñāṇan”ti.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무명을 기반으로 형성들이, 형성들을 기반으로 알음알이가, …
탐욕의 빛바램을 기반으로 해탈이, 해탈을 기반으로 멸진의 지혜가 있다.”
tatiyaṃ.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