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13-11어림고개-돗재 (오산.천왕산) : 2025-01-12
어림고개(3.7km) - 오산(별산 687 2.0km) - 묘치고개(4.6km) - 주라치(2.0km) - 천왕산(427.3 1.9km) - 복암리몰가래들(1.0km) - 복암리몰가래들 - 구봉산갈림길(1.8km) - 서밧재(1.4km) - 천운산(604.7 4.6km) - 돗재(1.9km) : (약 20.7km/9시간)
* 산행지도
1. 산행일자 : 2025-01-12
- 2호차 대장 누리사랑 입니다.
- 문의점이나 필요한 사항이 있으면 답글이나 전화 주세요.
- 누리사랑 : 010-7396-3573
2. 버스 탑승지 :
- 사당역 1번출구~대항병원 건너편(평일아침은 공영주차장) (23시50분)
- 양재역 12번출구 200m 국립외교원 앞 (24시00분)
- 죽전정류장(관광버스승차지점-하행) (00시15분)
- 신갈간이정류장 (00시20분)
3. 시간계획
ㅇ23:50~04:00 : 어림고개 이동 (전남 화순군 동면 청궁리 700 주변)
ㅇ04:00~13:00 : 산행
* 차량 대기 장소 : 전남 화순군 한천면 오음리 산1-1 한천자연휴양림
ㅇ13:00~18:00 : 귀경
들머리 : 전남 화순군 동면 청궁리 700
날머리 : 전남 화순군 한천면 오음리 산1-1
4. 산행코스 :
어림고개-오산/별산(산패 인증)-묘치삼거리-천왕산(산패 인증)-서밧재-천운산-돗재(약 20.7km/9시간)
어림고개(3.7km) - 오산(별산 687 2.0km) - 묘치고개(4.6km) - 주라치(2.0km) - 천왕산(427.3 1.9km) - 복암리몰가래들(1.0km) - 복암리몰가래들 - 구봉산갈림길(1.8km) - 서밧재(1.4km) - 천운산(604.7 4.6km) - 돗재(1.9km)
5. 산행지도 :
6. 등산로 현황 :
* 탈출로 서밧재 -> 돗재
- 거리 약6.5km / 2시간 소요.
- 서밧재에서 도로로 진행 : 10.1km / 자동차 14분 소요 택시비 :15,000원
- 서밧재에서 도로로 진행 : 9.6km / 걸어서 2시간30분 (빠른걸음 2시간 소요)
* 서밧재 택시 : 화순 사평면
- 사편개인택시 : 010-3640-7244
* 3D 등산지도
* 오산 (별산) 진행 방법
- 빨강색 : 정코스 등산로 진행 : 별산까지 약2.0km/1시간 소요
- 파랑색 : 쉬운코스 임도 진행 : 별산까지 약4.2km/1시간 소요
1) 어림고개 진행 (육산 잡목지역)
- 어림고개에서 대나무숲으로 진행
- 대나무숲을 나와서 잡목지대에서 임도가 아닌 숲으로 진행
2) 별산(오산) 진행 (687M) (육산)
- 풍력발전기 서부발전소 표지판 도로에서 우측 산으로 진행
- 별산 진행 후 3개의 풍력발전기를 지나서 직진방향 등산로 진행
3) 묘치고개 (육산)
- 묘치고개 이전에 산죽구간 진행
- 도로를 건너 무덤우측으로 진행하여 등산로 진행
- 트랙확인 후 소나무 군락 및 잡목지역 통과.
4) 천왕산 진행
- 잡목지역 통과 (나뭇잎)
- 밤나무 농장 도로 진행후 우측으로 진행
- 7개 무덤을 지나서 임도 갈림길에서 우측방향 작은임도로 진행
5) 서밧재
- 우측으로 문성석재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도로를 만나면 다시 좌측으로 도로를 따라서 지하차도를 건넌다.
- 지하차도를 건너서 다시 우측 방향의 백송리고인돌군 담 도로를 따라서 200M 진행후 좌측 산으로 진행
- 광주 학생교육원 D동을 지나서 갈림길에서 좌측방향 임도로 진행
- 철탑지나서 이정표 정상3.2KM 방향으로 진행..!
6) 천운산
- 표지판 호남정맥 중간지점 (456.8KM/228.4KM 지점)
- 천운산 제2봉을 지남..!
- 570.8M 준.희 산패 지남.
- 광주학생교육원에서 약3.5KM 지점
- 잡목과 낙엽지역
7) 돗재 (잡목지역)
- 천운산에서 1.8KM 지점
- 천운산에서 0.5KM 지점에 능선 삼거리 만나고 이정표 있음.
- 천운산에서 약1.4KM 지점에 팔각정 쉼터 있음. 잔여거리 0.4KM
- 돗재 주차창 도착
* 구봉산 진행
- 거리 약750m 왕복1.3km
- 소요시간 약30분
- 고도 : 갈림길 355m -> 구봉산407.7m ( 고도차 약53m)
* 들머리 별산 진행하는 방법
- 하늘색 정코스 등산로
- 우측 임도 길
* 별산(오산) 묘치고개 능선길
* 서밧재에서 천운산 등산로 현황
7. 좋은 사람들 산행 바로가기 :
좋은사람들 예약 홈페이지
8. 산행지 소개
어림고개는 전남 화순군 동면 청궁리 어림마을과 이서면 갈두리 갈두마을 사이의 고개로 지방도로가 지나간다. 청궁은 마을이 활처럼 굽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어림은 원래 갈머리(刀頭, 칼두) 마을이라 불리었는데, 갈두는 산능선을 경계로 물이 나뉘는(갈리는) 곳을 갈물이라 부르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갈물이 갈몰, 갈머리, 갈두로 변음된 것이다. 갈두는 발음을 강하게 하여 칼두라고도 한다.
전남 화순군 동면 청궁리와 이서면 안심리, 야사리, 월산리 경계의
오산(별산 687)은 수평식 프로펠러형 영구자석형(PMSG) 풍력발전 단지가 조성되어있다.
★ 블랙야크 호남정맥 인증지 : 12-01 오산(별산) 산패
묘치고개는 전남 화순군 동면 경치리 묘치마을과 이서면 서리 사이의 고개로 15번도로가 지나간다. 과거에는 거리가 짧은 주라치를 많이 용하였으나 현재는 도로가 개설되면서 묘치가 그 기능을 흡수하였다. 경현마을은 괭이형국이라는 묘치(猫峙)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다. 괭이재를 한자로 표기하면서 하나는 고양이 묘(猫)자와 언덕 치(峙)자를 각각 취하여 묘치라 불렀고, 이후 생겨난 마을은 괭이재가갱이재로 변음되고, 다시 경치재가 되었다. 경치재는 경치 경(景)자와 언덕 치(峙)자가쓰였는데, 언덕 치(峙)가 고개 현(峴)으로 바뀌고, 고개 현(峴)이 다시 발음이 같은 어질현(賢)자로 바뀌어서, 결국 경현리(景賢里)가 되었다. 곧 경현리의 원뜻은 묘치와 같으며 괭이재라는 의미이다.
주라치(蛛羅峙)는 전남 화순군 동면 복암리 주리재골과 동복면 읍애리 주릿재골 사이의 고개이다. 주로치(周路峙), 주릿재 라고도 하였으며 마을에서 나쁜 일을 했을 때 주리를 틀었다고 해서 주릿재라 하였다고 전한다.
전남 화순군 남면 장전리, 동면 복암리, 동복면 연둔리 경계의
천왕산(天王山 427.3)은 유래를 찾기 어렵고 장전리는 긴밭이 있다 하여 진밭 또는 장전이라 부르던 것에서유래한 지명이다.
★ 블랙야크 호남정맥 인증지 : 12-02 천왕산 산패
복암리 몰가래들은 전남 화순군 동면 복암리로 아래쪽으로 복암마을이 위치해 있고 15번도로가 지나간다. 복림(福林)마을의 복(福)자와 구암(龜岩)마을의 암(巖) 자를 각각 취하여 복암리라 하였다. 복림 마을은 봉황이 숨어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봉림(鳳林)이라고 하였다가 후에 복림(福林) 마을로 명칭이 변하였다고 한다.
돗재는 전남 화순군 한천면 반곡리와 오음리 사이의 고개로 한천 자연휴양림이 위치해 있고 822번도로가 지나간다. 한천자연휴양림은 화순군청이 운영하며 2003년 7월에 개장 하였다. 1일 최대 1천명을 수용할 수 있다. 반곡리의 오곡마을은 마을 뒷산이 봉황새의 형국이라 하여 봉동골(鳳洞)로 불렸으며, 후에 봉황은 오동과 대나무가 아니면 먹지 않는다하여 오동의 오(梧)자를 넣어 마을명을 삼았다고 한다.
9. GPS 트랙
1) 정코스 트랙 (설명 포함)
2) 오산 진행을 임도를 따라서 진행
3) 정코스 + 구봉산(1.5KM) 진행
10. 참고 산행기
어림고개 ~ 돗재 :: 산지촌인
호남정맥 종주 11구간 어림고개~돗재 까지
12구간 동영상(어림고개~돗재) : 네이버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