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옛길 소개
삼남길은 조선시대 전라도, 충청도, 경기도 지역을 총칭하는 삼남대로로 해남-강진-광주-익산-천안-서울을 잇는 1,000리 길을 말한다. 경기옛길은 역사적 고증을 토대로 원형을 밝혀 지역의 문화유산을 도보길로 연결한 새로운 형태의 역사문화탐방로다.
조선시대에는 한양과 지방을 연결하는 교통로가 있다. 이 중 경기도를 지나는 주요 6개의 도로망은 제1로인 의주로를 시작으로 시계방향으로 경흥로ㆍ평해로ㆍ영남로ㆍ삼남로ㆍ강화로가 있다.
이러한 원형길을 바탕으로 새롭게 조성한 ‘경기옛길’ 중 2013년 5월 삼남길 경기도 전체 구간이 개통되었다. 경기옛길에는 지역의 문화유산과 민담ㆍ설화ㆍ지명유래와 같은 스토리텔링이 곳곳에 녹아있어 길을 걸으며 역사와 문화를 경험할 수 있다.
영남대로
조선시대에 사용된 6대로 중 주요간선도로의 하나로 서울과 부산을 잇는 최단거리의 노선을 '영남대로' 또는 '동래로'라고 불렀다. 문경새재(643m)를 통과한 후 상주에서 대구를 경유하여 부산진에 이르는 이 도로는 현재 경기도의 행정구역 상으로는 성남, 용인, 안성, 이천을 경유한다. 한강유역과 낙동강유역의 교통은 약 2세기 중엽부터 활발했던 것으로 보이며, 삼국통일 이후 경주를 중심으로 교통망이 본격적으로 정비되면서 영남대로가 본격적으로 성립되었다. 조선시대에 한양을 중심으로 하는 도로망이 체계화되면서 영남대로도 지금의 모습으로 정비되었으나, 조선초기에는 충주, 말기에는 청주를 경유하여 문경새재를 넘는 것으로 노선이 일부 변화하게 되었다. 영남대로의 연장선은 서울에서 의주에 이르는 의주대로(관서대로)다. '의주-서울-부산'을 잇는 직선은 조선의 5대 도시 한양, 평양, 개성, 충주 상주를 비롯하여 의주, 황주, 광주, 선산, 대구, 밀양, 동래 등의 도시가 위치하는 우리나라 최대의 간선도로였다. 또한 영남대로와 의주대로를 통해 일본으로의 통신사와 중국으로의 연행사가 왕래하였다. 영남대로는 국제적인 문화와 경제 교류의 허브로서 동아시아 문화가 왕래한 핵심적인 루트였다.
고구려에서 이름지은 옛 용인의 중심 구성현길
구성현은 삼국시대에 용인이 고구려에 편입되면서 옛 용인의 중심지가 되었던 지역입니다. 현재는 기흥구에 편입되어 행정동으로 변화하였지만 영남길을 걷다보면 아직도 옛 용인의 중심이었던 흔적을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탄천을 거쳐 구성역을 지나면 잘 보존된 마북동 석불입상과 을사늑약 체결을 반대하며 자결한 민영환의 묘소를 마주친다. 조금 더 옛 용인의 중심으로 들어가면 용인향교와 더불어 고즈넉한 법화산의 숲길을 지나면 용인의 새로운 신도시로 각광받는 동백지구의 호수공원으로 도착할 수 있다.
영남길 제2길 낙생역길은 풍수지리가 좋아 영락장생지지(永樂長生之地)라고 불렀다는 것에서 유래된 조선시대 역원 낙생역이 있던 길이다. 특히 1기 신도시인 분당의 분당구청을 지나 중앙공원에 이르면 잘 보존된 한산 이씨의 고가(古家)를 만나게 된다. 중앙공원을 나와 아파트 사이사이에 있는 녹지를 따라 걷다보면 불곡산 숲길로 진하게 되고, 녹음이 우거진 불곡산을 따라가다 보면 성남을 지나 요인에 이르게 된다.
서현역 3번 출구로 나와서 길을 건너면 분당구청 잔디광장이다.
분당구청을 끼고 걸어내려가면 탄천으로 내려가는 길을 만날 수 있다.
수내동 가옥은 1980년대까지 이곳에서 집성촌을 이루고 살았던 한산 이씨의 살림집 가운데 하나로 분당신도시 개발로 살림집은 모두 철거되고 수내동 가옥만 현재 분당 중앙공원 안에 남아 있다. 가옥 뒷편으로는 한산 이씨 묘역이 있다.
수내동 가옥 앞에 설치되어 있는 영남길 스탬프 함이다.
불곡산은 늘 알바를 하게 만드는 산이다. 대덕초등학교로 내려가면 오늘 트레킹은 완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