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경력이 오래되었다고 하더라도 도로표지판을 제대로 알고 운전하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다. 실제로 몇 가지의 중요한 표지판만 알고 있어도 운전하는 데는 큰 지장이 없다. 그러나 도로표지판을 많이 알고 있으면 안전운전에 큰 도움이 된다. 갖가지 도로상황을 알려주는 표지판의 의미를 알고 그것에 따른다면 몇 가지의 운전기술을 익히는 것보다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운전면허를 취득하기 위해서 외웠던 도로표지판이 거리에서는 한눈에 들어오지도 않고, 그 의미를 알기도 쉽지 않다. 더욱이 초보운전자는 운전에 신경이 쏠려 도로표지판이 눈에 들어올 리가 없다. 지리도 잘 알지 못하는 데다가 도로표지판도 잘 보지 못해 남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가 많다. 운전자라면 중요한 표지판은 꼭 알아두어야 한다.
반사경 뒤에는 헤어핀 코너 있다
도로표지판은 ‘주의표지’와 ‘규제표지’ ‘지시표지’ 등 세 가지로 구분되고, 이 표지판에 ‘보조표지’를 덧붙여 사용한다.

주의표지는 주로 도로 형태를 알려준다. 교차로의 형태, 도로의 굴곡과 구배의 정도, 도로의 폭과 안전도 상태 등을 안내한다. 황색 바탕에 적색 띠를 두르고, 가운데 도로의 형태를 표시하는 삼각판이다.
교차로 표지는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도록 단순하게 되어 있다. 우합류도로 표지판은 자주 등장한다. 메인도로를 지나는 차가 우선권을 갖지만 조금씩 양보하는 미덕이 필요한 곳이다.
외곽도로에서는 커브길에 대한 안내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미리 커브의 굽은 정도를 파악하고 속도를 줄이며 안전하게 코너링할 준비를 해야 한다. 또한 심하게 꺾인 도로는 방향을 따라 갈매기 화살표가 있으므로 참고하고, 반사경이 있으면 매우 심한 헤어핀 커브라는 것을 알아채야 한다.
공사 중인 도로에는 대체로 폭이 좁아지는 주의표지가 설치된다. 만약 ‘우측차로 없어짐’ 표지판이 나오면 서서히 속도를 줄이면서 차선을 좌측으로 바꾼다. 이 표지판은 주로 거리 표지판과 함께 나온다. 주의표지판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어린이보호 표지판과 횡단보도 표지판이다. 이곳에서는 즉시 정지할 수 있는 절대서행의 의무를 갖는다.
규제표지는 통행을 제한하는 강제사항을 알린다. 이곳에서는 표지판의 지시를 따르지 않으면 적발대상이 되고 벌금이 부과되므로 모든 표지판을 꼭 알아두어야 한다. 흰색 바탕에 적색 띠를 두르고 가운데 금지표시가 있고 주로 원판으로 되어 있다.

비보호 좌회전 때는 앞을 잘 살펴야
최근 시내도로는 일방통행이 일반화되어 ‘진입금지’ 표지판을 잘 살펴야 한다. 일방통행로를 거꾸로 들어갔다가는 낭패를 당하게 된다. 차량통행이 뜸한 야간에도 통행원칙은 꼭 지켜야 한다.
차량통행이 많아지면서 좌회전 금지와 U턴 금지가 보편화되고 있다. 목적지를 가기 전에 미리 파악해 두어야 혼란을 피할 수 있다. 주, 정차금지판 또한 꼭 알아두어야 한다.
고속 도로는 최고속도제한이 있지만 최저속도제한도 있다. 최저속도제한이 있는 도로에서는 수치보다 높은 속도로 주행해야 한다. 제한최고속도 이상으로 달리는 것도 위험하지만 무조건 천천히 달린다고 안전한 것만은 아니기 때문이다.

지시표지는 도로의 사용범위를 주로 알려준다. 파란 바탕에 흰색으로 되어 있으며 교통상황을 알리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표지판이다. 규제표지와는 반대되는 내용이다. 이 표지판에서 주의해야 하는 것은 버스전용차로다. 이곳은 승용차가 진입할 수 없는 곳이기 때문에 벌칙이 부과된다. 요즈음 서울 시내는 도로의 색깔을 적색으로 구분하기 때문에 좀더 알기 쉬워졌고, 고속도로는 청색 실선을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비보호 좌회전 표지판은 잘 활용하면 유익하지만 항상 주의를 해야 한다. 비보호는 직진신호가 녹색등일 때 좌회전이 가능하다는 의미. 그러므로 적색등일 때는 좌회전이 금지되고, 이곳에서 일어나는 사고는 비보호 좌회전을 하는 차에 책임이 있다.
비보호 좌회전하는 차를 들이받고 책임을 물리는 황당한 일도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보조표지는 백색 바탕에 글씨로 적어 위의 세 가지 표지판과 함께 제시된다. 주로 구간, 구역의 거리, 방향 등을 표시하므로 많은 참고가 되는 표지판이다. 각종 규제표지판의 뒤에 안전함을 표시하는 해제표지판도 있다.
첫댓글 감사합니다.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에휴 너무 어렵다 한두개도 아니고...
좋은정보 감사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