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 바람벽이 있어
백석
오늘 저녁 이 좁다란 방의 흰 바람벽에
어쩐지 쓸쓸한 것만이 오고 간다
이 흰 바람벽에
희미한 십오 촉(十五燭) 전등이 지치운 불빛을 내어던지고
때 글은 다 낡은 무명셔츠가 어두운 그림자를 쉬이고
그리고 또 달디단 따끈한 감주나 한 잔 먹고 싶다고 생각하는 내 가지가지 외로운 생각이
헤매인다.
그런데 이것은 또 어인 일인가
이 흰 바람벽에
내 가난한 늙은 어머니가 있다
내 가난한 늙은 어머니가
이렇게 시퍼러둥둥하니 추운 날인데 차디찬 물에 손을 담그고 무며 배추를 씻고 있다.
또 내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
내 사랑하는 어여쁜 사람이
어느 먼 앞대 조용한 개포가의 나즈막한 집에서
그의 지아비와 마주 앉아 대구국을 끓여 놓고 저녁을 먹는다
벌써 어린것도 생겨서 옆에 끼고 저녁을 먹는다
그런데 또 이즈막하여 어느 사이엔가
이 흰 바람벽엔
내 쓸쓸한 얼굴을 쳐다보며
이러한 글자들이 자나간다
나는 이 세상에서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살아가도록 태어났다
그리고 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내 가슴은 너무도 많이 뜨거운 것으로 호젓한 것으로 또 사랑으로 슬픔으로 가득찬다
그리고 이번에는 나를 위로하는 듯이 나를 울력하는 듯이
눈질을 하며 주먹질을 하면 이런 글자들이 지나간다
-하늘이 이 세상을 내일 적에 그가 가장 귀해 하고 사랑하는 것들은 모두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그리고 언제나 넘치는 사랑과 슬픔 속에 살도록 만드신
것이다.
초생달과 바구지꽃과 짝새와 당나귀가 그러하듯이
그리고 또 「프랑시스 잼」과 도연명(陶淵明)과 「라이넬 마리아 릴케」가 그러하듯이
(『문장』 25호. 1941.4)
[어휘풀이]
-바람벽 : 집안의 안벽
-촉 : 촉광(燭光)의 준말로, 촉광은 광도(光度) 또는 조도(照度)의 단위를 말한다.
-때 글은 : 오래도록 땀과 때에. 전
-쉬이고 : 쉬게 하고
-앞대 : 평안도를 벗어난 남쪽 지방이나 먼 해변가
-이즈막하여 : 시간이 그리 많이 흐르지 않은, 이슥한 시간이 되어서
-울력하는 :여럿이 힘을 합치는
[작품해설]
이 시는 객지 생활에서 느낀 외로움을 통해 성찰해 본 인생의 본질적 의미를 노래한 작품으로 타향 생활이라는 소재뿐 아니라 외로움이라는 정서 및 그 외로움을 수용하는 운명론적 태도 등에서 「남신의주유동 박사봉방」과 매우 흡사하다.
시인의 전기적 사실을 고려해 보면, 이 시에 나타난 ‘내 사랑하는 어여쁜 사람’은 그와 절친했던 친구의 아내가 된 경남 통영 출신의 박경련이라는 여인이다. 그녀에게 ‘어린것도 생’겼을 만큼 많은 세월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녀를 사랑하는 슬픔으로부터 이 시는 창작되었다. 그런 까닭으로 낯선 이역에서의 외로움과 삶의 고통은, 사랑을 빼앗겼다는 상실감과 자신에 대한 무력감 및 그녀에 대한 변함없는 사랑 등과 어우러져 그로 하여금 ‘하늘이 이 세상이 내일 적에 그가 가장 귀해하고 사랑하는 것들은 모두 /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그리고 언제나 넘치는 사랑과 슬픔속에 살도록 만드신 것’이라는 인생관을 얻게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녀를 만나기 위해 떠났던 몇 번의 남도 여행에서 얻은 「남행시초」 등에 ‘란(蘭)’ 또는 ‘천희(天姬)’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는 그녀는 백석 시 전편에서 연인의 이미지로 자주 나타난다. 백석이 그녀를 처음 본 것은 친구 허준(許俊)의 결혼식 피로연에서였는데, 그 때 그는 24세, 그녀는 18세로 이화여고보에 재학 중이었다고 한다. 그녀와 함께 백석의 삶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또 다른 여인은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에 등장하는 ‘나타샤’로, 그녀는 권번(券番)출신의 인텔리 기생인 김진향이다. 그녀는 백석이 함흥 영생고보에 영어교사로 있을 때 만난 사람으로, 백석은 그녀에게 ‘자야(子夜)’라는 이름을 붙여 준 바 있다.
어느 겨울 저녁, 시적 화자는 자신이 거처하고 있는 ‘좁다란 방’에 들어 온다. 그 ‘방’은 비밀과 밀폐, 또는 몽상과 단절이라는 부정적 이미지라기보다는 안식과 평화라는 긍정적 이미지로 사용되고 있으며, ‘흰 바람벽’은 ‘쓸쓸한 것만이 오고 가’는 화자의 내면의식을 투영하여 독자들에게 실루엣처럼 보여 주는 영화 스크린 같은 역할을 한다. 그리고 ‘지치운 불빛을 내어던지’는 ‘십오 촉 전등’은 화자의 외로운 내면세계를 표상하며, ‘어두운 그림자를 쉬이’게 하는 ‘때글은 다 낡은 무명셔츠’는 화자의 고단한 현실을 상징한다. 또한 ‘달디단 따끈한 감주 한 잔’은 고향과 가족들에 대한 그리움과 만주의 겨울 추위를 녹여 줄 사랑을 의미한다.
그 ‘흰 바람벽’에 먼저 ‘가난한 늙은 어머니’가 떠오른다. 백석의 시에 나타나는 ‘어머니’는 항상 ‘집’과 관련되어 있으며, 그것은 주로 유년기적 몽상을 통해 제시된다. 즉 대표적 초기 시인 「여우난 곬 족」에서 ‘엄매’는 ‘아르간’에서 ‘엄매’들끼리 웃고 이야기하면서도 ‘웃간’에서 ‘히득거리다 잠이 드는’ 아이들을 감싸 주는 존재요, 「고야(古夜)」에서는 (타관 가신 아베 대신) ‘산비탈 외따른 집’의 ‘나’를 지켜 주는 존재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유년의 화자에게 ‘어머니’는 원초적 충족성의 공간으로 ‘집’이나 ‘방’과 동일한 이미지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추억의 유년에서 현재의 청년으로 화자가 바뀐 지금, ‘어머니’도 그에 따라 ‘가난하고 늙은’ 모습으로 변모해 있다. 화자는 가족들을 위해 ‘시퍼러둥둥하니 추운 날인데 차디찬 물에 손을 담그고 무며 배추를 씻’는 어머니의 모습을 제시함으로써, 그 원초적 충족성의 공간이 아직 훼손되지 않았음을 보여 준다. 그러나 아늑하고 행복하고 충만한 공간은 이미 유년 시절의 추억으로만 존재할 뿐이다.
이러한 상황하에 이번엔 ‘사랑하는 사람’이 떠오른다. 비록 ‘지아비’와 ‘어린 것’이 있는 그녀이지만, 그녀에 대한 화자의 사랑은 조금도 탈색되지 않았다. 그녀가 지금쯤 ‘어는 먼 앞대 개포가 나지막한 집’에서 가족들과 함께 ‘대구국’을 끓여 놓고 저녁식사를 하고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화자의 ‘오늘 저녁’을 더욱 쓸쓸하게 만든다. 고향과 가족을 떠나 타향을 유랑하고 있는 화자의 현재 모습은 원초적 충족성의 공간인 ‘어머니’로부터 이탈되어 있음을 상징한다. 그것은 화자가 ‘어머니’ 밖으로 내쳐진 상황이거나, ‘어머니’를 대신할 새로운 안식처로의 탐색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시인은 ‘어머니’를 대신할 구원의 여인상을 제도적인 아내가 아닌, 기혼녀나 기생처럼 현실적 제약이 있는 여인들에게서 찾으려 했을 뿐 아니라, 부모의 강요에 의해 이루어진 결혼은 모두 실패로 끝났다는데 그의 비극이 있다. 그러므로 어떤 면에서는 절친했던 친구의 배신과 그로 말미암은 사랑의 실패 등이 그로하여금 한탄과 체념의 운명론적 인식 태도를 갖게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운명론이란 자신과 자신의 세계 속에 내재된 삶의 고뇌를 하나의 필연으로 받아 들이는 태도를 말한다. 따라서 시적 의미로만 보면, ‘자아’가 기생이라는 운명적 삶을 살던 것이나, ‘란’이 시인의 절친한 친구와 결혼하게 된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인이 그런 여인들을 사랑하는 것이나 삶의 고뇌를 껴안고 살던 것 모두가 시인의 운명론적 현실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기에 이 시의 화자는 빼앗긴 사랑에 대해서도 애증의 감정을 드러내기는커녕 오히려 지고지순한 사랑을 베품으로써 그 운명론을 실천하고 있을 것이다.
시인이 꿈꾸는 삶은 비록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지만, 그것은 ‘넘치는 사랑과 슬픔속에 사는’ 것이요, ‘프랑시쓰 잼과 도연명과 라이넬 마리아 릴케가 그러’했던 삶이기에 결코 절망적이거나 슬플 것이 없다. 백석이 시인을 일러 ‘세상의 온갖 슬프지 않은 것에 슬퍼할 줄 아는 영혼을 가진 사람’이라고 정의한 것도 세상 모든 것에 대한 시인 특유의 연민에 바탕을 둔 것이다. 작고 가냘프고 여린 것, 또는 외롭고 못난 사람이나 가여운 생명에 대한 남다른 관심과 애착을 드러낸 백석의 애틋하고 섬세한 시 세계는 결국 이 운명론을 모태로 하여 산출된 것이라고 하겠다.
[작가소개]
백석(白石)
본명 : 백기행(白夔行)
1912년 평안북도 정주 출생
1929년 오산보고 졸업, 동경 아오야마(靑山)학원에서 영문학 공부
1934년 귀국 후 조선일보사 입사
1935년 시 「정주성(定州城)」을 『조선일보』에 발표하며 등단. 함흥 영생여고보 교사
1942년 만주의 안동에서 세관 업무에 종사
1945년 해방 후 북한에서 문학 활동
1995년 사망
시집 : 『사슴』(1936), 『백석시전집』(1987), 『가즈랑집 할머니』(1988), 『흰 바람벽이 있어』(1989), 『멧새소리』(1991), 『내가 생각하는 것은』(1995),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1997), 『집게네 네 형제』(1997), 『백석전집』(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