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 지키시네요?. 1개의 정보글에 한해 1개의 광고글 허용입니다. 기본을 지키는 회사가 뭐든 잘합니다. ^^ >
2019년 통계 태양광 모듈 세계시장 제조사별 출하량 순위
PV infolink global data 2019
태양광인버터 세계시장 출하량 및 점유율 순위를 알아보았던 지난 시간에 이어, 약속드린대로 태양광 모듈에 대한 출하량
정보를 올려드리려고 합니다. 저번시간에도 말씀드렸다싶이 이미 세계시장 상위 10대기업의 시장 장악력이 70%가 넘어가
는 만큼 회사의 신뢰도나 제품의 선정 기준이 되실까 싶어 올려드리는 자료입니다.
유의하실 점은 태양광 모듈의 제조사 순위는 인버터 제조사별 세계 순위가 단상/3상인버터로 나뉘어 지는 것 처럼
단면모듈/양면모듈의 구분자료와 통합자료가 별도 존재합니다.
저희도 론지솔라 모듈을 광고하는 입장에서 "세계시장 출하량 1위"로 표현하고 있지만, 전체시장을 보시는 안목과 광고를
보시는 안목을 키워드리기 위해 세부내용에 대하여 글을 올려드립니다.
2019년 세계시장 태양광모듈 제조사별 출하량 순위
2019 세계시장 태양광모듈 (단면/양면) 모듈 제조사별 출하량 순위 | ||||||
순위 | 제조사 | 2017 출하량 | 2018 출하량 | 2019 출하량 | 성장률 | 제조국 |
1위 | Jinko Solar | 9.7GW | 11.4GW | 14.2GW | + 25% | China |
2위 | JA Solar | 7.5GW | 8.8GW | 10.3GW | + 17% | China |
3위 | Trina Solar | 9.1GW | 8.1GW | 9.7GW | + 20% | China |
4위 | LONGI Solar(Lerri) | 4.4GW | 7.2GW | 9.0GW | + 25% | China |
5위 | Canadian Solar | 6.9GW | 7.1GW | 8.5GW | + 20% | Canada |
6위 | Hanwha Q CELLS | 5.4GW | 5.5GW | 7.3GW | + 33% | South Korea |
7위 | Risen Energy | 2.5GW | 4.8GW | 7.0GW | + 46% | China |
8위 | First Solar | 2.6GW | 2.7GW | 5.5GW | + 104% | USA |
9위 | GCL | 4.6GW | 4.1GW | 4.8GW | + 17% | Hong Kong |
10위 | Shunfeng Photovoltaic | 2.5GW | 3.3GW | 4.0GW | + 21% | China |
( 출처 : Globaldata, Power Intelligence Center , 다른 통계데이터에서도 1위-7위의 순위는 동일하며, 8위에서 10위는
Suntech,Astronergy,Talesun 등의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상기 데이터는 세계시장의 지역별 통계 구분이 워낙 다양하고 통계기관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어 어느정도 변동이 있을
수는 있으나, pv infolink와 pv magazine USA 자료를 통합 비교해보았을 때, 객관적인 예상자료로 활용하기에는 무리가
없을 듯 하여 첨부합니다. (호주권 / 아시아권 / 중동권 / 미국남부/ 미국서부 등 다양한 통계데이터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순위권 및 세계시장 점유율은 대동소이합니다.)
2020년 1월 21일 발표된 PV컨설팅 회사 PV infolink 세계시장 태양광 모듈 출하량 순위 데이터에 따르면, 상위 대부분의
업체가 중국회사이고, First Solar (미국)를 제외한 대부분의 회사가 패널의 일부 또는 전부를 중국에서 제조하거나
수입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기업 한화큐셀의 6위권 유지는 대단한 성과로 보입니다.
양면모듈 분야의 세계 출하량 순위
모듈 출하량 세계순위 정리하는것이 힘드네요. 우드맥켄지 보고서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에너지 연구 컨설팅 업체입니다.
맥켄지보고서로 유명하죠. 세계시장 양면모듈 설치 용량 예상 자료 통계에 따르면 2019년 말까지 전세계 5.42GW의
설치용량을 예상하였습니다. 그중 론지솔라가 2019년 8월까지 2.4GW이상의 출하량을 기록하며 2016-2018년 세계시장
양면모듈 출하량 1위에 이어 현재까지 순위를 지키고있습니다.
태양광 발전사업 시장 전체가 양면모듈로 중심이 이동되고 있고 상단에 소개드린 2019년 모듈 판매량 데이터의 상위 1~4위
의 기업 모두 양면모듈을 생산/판매 하고 있어, 순위 변동이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론지솔라 단결정 모듈 판매량 세계1위,
통합 판매량 세계 4위 , 양면모듈 분야 세계 1위
세계시장 상위 10대 기업
[통합 1위기업] Jinko Solar 양면모듈 백조모듈 (SWAN)을 출시하였는데, 기존 듀얼글라스와 비교했을때 같은 사이즈에
25%이상 가벼운 무게와 전면 415W / 후면 5~25% 추가발전이 가능하며, 일정한 조건을 갖추었을 때 최대 500W의 발전량
을 얻을 수 있다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진코솔라 회사의 백조(SWAN)양면모듈의 발전량에도 관심을 가져 볼 만 한 것
같습니다.
[통합 2위기업] Ja Solar 양면모듈 JAM72D09 370-390/BP 자솔라 양면모듈의 경우 3%~15% 후면 발전량 증가로
제품을 소개하고 있으며, 전/후면 더블글라스 기술이 적용되어있고, 저조도 고온 하에서도 높은 발전 성능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통합 3위기업] Trina Solar 양면모듈 트리나솔라 양면모듈 또한 주목할 만합니다. 500W급 Duomax V Tallmax V 시리즈
모듈을 양산할 시범라인을 구축했다고 하며, 변환효율이 21%인 신규모델 출시에 대한 소식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트리나솔라 또한 국내에서 서서히 인지도를 쌓고 있는 기업인데 , 세계시장에서는 입지가 확고한 기업입니다.
[통합 4위기업] LONGI Solar 양면모듈 론지솔라 양면모듈의 경우에는 저희 회사에서 실제 발전량을 확인하고
직접수입판매까지 진행하고 있는 회사이며 단결정분야 판매량 세계 1위 , 양면모듈 분야 세계 1위의 우량 기업입니다.
최근에는 PV-Tech 조사 태양광 제조업체 중에서 2분기 연속재무건전성 AAA등급을 획득하고, 2018년 대비 28% 증가한
9.10GW를 기록하였고, 중국 이외의 출하량 5.0GW로 총 판매량의 67%를 해외수출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습니다.
제품 설명은 워낙 많이해서^^ 생략합니다.
[통합 7위기업] RISEN ENERGY 양면모듈 통합판매량 1위업체 JINKO SOLAR를 제외하고는 출하량이 큰 차이가 없습니다.
모두 우량한 기업들이구요. 라이젠에너지의 경우에도 국내시장에서 알려지기 시작한지는 얼마 안되었지만 세계시장에서는
탄탄한 회사입니다. 간혹 하단 자료를 보시고 세계시장 3위 등으로 오인하시는 분들이 계신데, 하단의 자료는 bloomberg
new energy finance 블룸버그 재무건전성 자료로써 연간 생산가능량과 회사 신뢰도에 대한 자료입니다.
태양광모듈 세계 순위는 기준에 따라 다릅니다.
판매량 ? 안정성? 재무건전성 (bloomberg NEF)
2019년 1분기 연간생산량 / 재무건전성 평가 순위
1위 진코솔라 (10GW) / 2위 카나디안솔라 (8.7GW) / 3위 라이젠에너지 (8.6GW) / 4위 JA솔라 (8.5GW) /
5위 한화큐셀 (8.0GW) / 6위 트리나솔라 (8.0GW) / 7위 론지솔라 (7.5GW) / 8위 GCL (5.4GW)...
2019년 2분기 연간생산량 / 재무건전성 평가 순위
1위 진코솔라 (10.8GW) / 2위 한화큐셀 (10.7GW) / 3위 JA솔라 (10.5GW) / 4위 카나디안솔라 (8.88GW)
5위 론지솔라 (8.80GW) / 6위 라이젠에너지 (8.6GW) / 7위 트리나솔라 (8.0GW) / 8위 Chint (5.5GW)
2019년 3분기 연간생산량 / 재무건전성 평가 순위
1위 론지솔라 (15GW) / 2위 진코솔라 (10.8GW) / 3위 한화큐셀 (10.7GW) / 4위 카나디안솔라 (9.4GW)
5위 라이젠에너지 (8.0GW) / 6위 트리나솔라 (8.0GW) / 7위 First Solar (6.2GW) / 8위 GCL (6.0GW)
2019년 4분기 연간생산량 / 재무건전성 평가 순위
1위 진코솔라 (16GW) / 2위 론지솔라 (15GW) / 3위 한화큐셀 (10.7GW) / 4위 JA솔라 (10.5GW)
5위 카나디안솔라 (9.4GW) / 6위 라이젠에너지 (9.1GW) / 7위 트리나솔라 (8.0GW) / 8위 GCL( 7.2GW)
결론, 1위-10위 상관없이 회사는 우량한 기업들이니 제품만 좋으면 적용합시다.^^;
한화큐셀이 여전히 세계적으로 높은 시장점유율과
재무안전성 지표가 높은 평가를 받으니, 기분이 좋습니다.
2019년 1-4분기 태양광패널 분야 블룸버그 재무건정성 평가 자료입니다. 국가단위의 프로젝트 수주시 회사별
재무건정성을 평가하여 제품보증 및 성능보증 등에 대한 위험성을 은행이 부담해야 되는데, 은행에서 평가 할 때의
건전성 정보 순위로 보시면 되고, 우량기업 및 믿을 수 있는 기업의 지표로 삼아도 무방할 듯 합니다.세계시장 상위
10대기업의 경우에는 순위보다는 제품과 성장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 좋지 않을까 조심스레 생각합니다.
간단하게 끝내려고 했는데, 양면 단면 구분데이터가 아직 최신화가 안되었고,
순위 데이터의 종류가 너무 많아서 고생했네요;;
(결론은 분기마다, 지표마다 , 구분마다 순위가 다 다릅니다;;)
오늘도 글이 너무 길어졌네요 ㅜㅜ . 여하튼, 최근 좋은 기업들의 제품이 국내에 다양하게 들어오고 있고, 발전량에 대한
실증데이터를 준비하는 기업들도 많아져서 선택의 기준만 잘 확립하신다면, 그 어느때보다 태양광발전사업을 진행하기에 좋은 시기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첫댓글
좋은 정보에 감사를 드립니다.
질 좋고 값싼 제품, 즉 가성비가 좋은 모듈이 어느 제품인지
판단하기가 어렵겠지요?
하지만 많이 팔리는 제품이 좋은 것이겠지요?
우리나라 중소기업 제품도 잘 만들어 많이 팔렸으면 합니다,
이런 객관적인 정보가 향후에 발전사업주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국산 인버터 구매후 조금은 실망하였으나 모듈은 가성비 좋은 최상위 판매제품을
결정하여 흡족한 생각이 듭니다.
소비자, 즉 고객(발전사업주들)이 왕인데 국내 기업들(시공사 및 제조회사 등),
특히 대기업들이 아직도 갑질을 하고 있는
현실이 참으로 안타까습니다.
우리 발전사업주들이 많은 노력과 경험으로 정보를 습득하여 사기당하지 않도록 사전에 깨어나도록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