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팔로우
국가철도공단, '녹색교통' 철도로 탄소중립 선도한다[모빌리티on]
10분 전
오늘의 시장
KS11▲ +0.58%
KQ11급상승 중
USD/KRW▼-0.06%
친환경 자재 활용·저탄소 건축물 구축…유휴부지에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철도 수송분담 늘리면 온실가스 6억톤↓"…도로·차량에 쏠린 제도 개선 '과제'
국가철도공단 대전 본사 사옥(국가철도공단 제공)© 제공: 뉴스1
(서울=뉴스1) 박승희 기자 = 탄소중립이 전 세계적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친환경 운송수단으로 철도가 주목받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는 에너지 효율이 가장 높은 수송 수단으로 '철도'를 꼽았다. 철도 수송을 확대하면 세계 수송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망치(BAU·온실가스 감축 조처하지 않을 경우 예상되는 온실가스양) 대비 약 6억톤이 줄어든다는 전망도 했다.
우리나라 철도시설 조성을 책임지는 국가철도공단도 '녹색교통'인 철도 중심 교통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수송부문 탄소 중립에 기여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실현' 목표에 발맞춰 저탄소 철도 인프라 건설·관리로 탄소를 지속해 감축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공단은 지난 2021년 탄소중립 정책 발굴 전담 조직인 '탄소중립 철도 전략 위원회'를 구성하고, 이듬해 철도 부문 공공기관 최초로 탄소중립 추진 전략을 마련했다. 현재는 △철도 수송 분담률 증대 △저탄소·친환경 철도건설 △탄소 감축 철도시설 구현 △KR 탄소 감축 실천 저변 확대라는 4대 전략 및 15개 세부 전략과제를 추진 중이다.
철도는 도로에 비해 에너지 소비량은 22분의 1, 온실가스 배출량은 9분의 1에 불과하다. 공단은 탄소배출이 높은 도로 운행의 수요를 친환경 수단인 철도로 전환하면, 수송부문 총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뉴스1
공단은 인프라 생애주기 관점에서 탄소를 저감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선 철도 건설 단계에선 친환경·저탄소 자재를 적용해 탄소 배출을 줄이고 있다. 일례로 지난해 중앙선 안동~영천 간 궤도(45㎞) 설계 당시 철근 대신 저탄소 자재인 유리섬유보강근(GFRP)을 콘크리트 궤도에 적용했다. 이를 통해 약 6000톤의 탄소 감축 효과를 낼 것으로 공단은 예상한다.
아울러 저탄소 철도 건축물 구축에도 힘쓰고 있다. 공단은 지난 2021년 9월 '철도건축물 제로에너지 추진 로드맵'을 수립해 2025년부터 모든 철도건축물을 에너지자립률 60% 이상(3등급)으로 설계하기로 했다. 500㎡ 이상 공공건축물에 대해 2030년부터 에너지자립률 60% 이상을 달성하도록 하겠다는 정부 목표보다 5년 앞선 것이다.
교통 분야 최초로 수송전환에 대한 탄소 감축 사업을 승인받기도 했다. 지난 2019년 국토부로부터 호남고속철도 건설사업을 탄소감축사업으로 승인받은 것이다.
이 사업을 통해 2021~2022년 32만톤의 감축량을 인증받아 탄소배출권을 획득했고, 2025년까지 누적 100만톤을 인증받을 계획이다. 탄소배출권 판매 수익으로는 저소득층 에너지 설비 전환, 신재생에너지 구매 등 친환경 사업에 투자하는 선순환 체계를 확립한다.
유휴부지 등 철도자산을 활용해 신재생에너지 발전 확대에도 나섰다.
공단은 이러한 노력을 통해 2030년까지 370만톤을 감축하고, 2050년에는 철도로의 수송 전환으로 수송부문 감축 목표 20% 상당의 탄소 감출을 주도하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있다.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