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문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서 해당 언론사의 메인페이지 링크를 제공하오니 키워드로 검색하시면 원문 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2011년 이후 중국의 인상흑연(천연흑연) 분말 가루의 가격은 3년 연속 하락했다. 가장 높은 가격이었을 때와 비교하면 가격 하락률이 50%를 넘는다. 한 흑연 전문가는 철강업 등 다운스트림 산업의 수요가 감소하는 것 외에, 과잉 공급도 흑연 가격 하락의 원인 중 하나라고 분석했다. 2011년 전까지 흑연 가격은 계속 오름세였고, 많은 소기업들이 떠오르는 흑연 사업에 뛰어들어 생산을 가속화했다. 무분별한 생산과 공급으로 생산 과잉 현상이 나타나면서, 흑연산업이 침체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흑연산업은 오염을 유발하고 과잉생산 문제를 가져왔다. 이에 헤이룽장(黑龍江)성은 흑연 업체의 흑연 생산 및 공급에 대해 ‘일괄적’ 보호 조치를 내렸다. 중국에서 흑연 생산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헤이룽장성의 지시(鷄西)시와 허강(鶴崗)시의 뤄베이(蘿北)현이다. 올해 들어 두 지역 모두 천연흑연의 채굴과 공급을 중단했고, 두 곳의 흑연 1차제품1) 생산량은 대폭 감소했다.
헤이룽장성 흑연업협회의 천위췬(陳育群) 협회장은 “무분별하고 무질서한 흑연 채굴과 공급 문제가 적절하게 통제된다면, 올해 흑연 가격의 하락세는 멈출 것이다.”라고 했다. 그는 천연흑연 자원이 20년 내에 모두 채굴되어 없어진다는 의견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하얼빈(哈爾賓)공업대학교의 위안궈후이(袁國輝) 교수도 ‘20년’이라는 시간에는 과학적인 근거가 없다며, 중국에서 흑연 관련 데이터는 모두 정확도가 떨어진다고 밝혔다. 흑연이 희토류와 다른 점은 천연자원이 고갈되어도 인공 제조를 통해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천위췬 협회장은 “흑연 비축량 데이터는 흑연 매장량의 일부 비축량만 반영할 뿐이다.”라며, 올해 헤이룽장성이 채굴 제한을 지시했으므로 흑연 채굴량도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전했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의 흑연 자원이 곧 고갈된다는 걱정은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무질서한 흑연산업 시장의 상황을 개선하려면 자원분배 ‘통합’의 과정이 필요하다. 흑연 자원분배의 시장화를 통해 산업발전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1)1차제품: 인간이 자연에서 얻은 광물 또는 식물 등의 원료를 가공하여 최초로 만들어낸 제품을 가르킨다. 예를 들면 면화(綿花)에서 만든 면사(綿絲)라든가 철광석에서 만든 철 등은 1차제품이다. 이에 대해서 면사로 만든 면포나 철로 만든 함석•양철•철사 등은 2차제품이라고 한다.
출처: 2014-08-06 / 每日经济新闻 / 편집문
키워드: 石墨, 开采, 限产 (흑연, 채굴, 생산제한)
Comment
중국은 1980년대까지만 해도 에너지는 물론 기초적인 자원을 자급할 수 있었다. 오랜 기간 북한에 석유를 공급할 만큼 석유 또한 자급자족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공업화가 빠르게 확대됨에 따라 에너지의 상당 부분을 해외에서 수입하는 상황이 됐다. 상대적으로 매장량이 많았던 석탄 또한 자체조달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중국은 가까운 북한의 탄광개발을 선점하며 자원확보를 위해 전략적인 접근을 하고 있다. 미국의 석유 패권을 우회해야 함은 물론, 각종 자원의 안정적인 조달을 위해 전방위적인 노력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참고) 임진희, “중국의 자원안보와 외교전략”, China연구, 2014
※ 본 페이지에 등재된 모든 자료는 KIEP 및 CS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