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에서 파는 수면 유도제, 고령층은 ‘치매’ 조심해야
수면 유도제의 성분인 항콜린성 부작용으로 변비, 녹내장, 치매 생길 수 있다.
쉽게 구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알려진 수면 유도제여도, 오남용하면 부작용을 겪을 수 있다. 무엇일까.
의사 처방 필요한 수면제와 달라
수면제는 의사의 처방이 필요한 약이다. 푸른약국 이재훈 약사는 "병원의 처방전이 필요한 수면제의 경우 향정신성의약품으로 지정돼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 약이다"며 "중추신경계를 강력하게 억제해 수면을 유도한다"고 말했다. 졸피뎀, 벤조디아제핀계 등이 있다. 반면 수면 유도제는 일시적 불면증의 완화를 위한 일반의약품에 해당한다. 이재훈 약사는 "수면 유도제는 항히스타민제다" 며 "항히스타민제는 감기약, 콧물 알레르기약 등 다양한 약에 포함된 성분으로 진정 효과가 강해 수면 유도제로 허가 났다"고 말했다. 이런 약을 먹고 졸릴 수 있는데, 수면 유도제는 다른 약에서는 '부작용'이었던 졸린 증상을 강화해 개발된 약이다.
변비, 녹내장, 치매 생길 수 있어
이런 수면 유도제 역시 부작용이 존재한다. 이재훈 약사는 "수면 유도제를 자주 먹으면 변비가 생길 수 있다"며 "이는 항히스타민제로 인한 항콜린성 부작용 때문이다"고 말했다. 부작용은 변비뿐만이 아니다. 이 약사는 "항콜린성 부작용으로 입 마름, 소변 정체, 잦은 맥박, 녹내장 등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항콜린성 약물은 부교감신경 작용을 억제한다. 부교감신경계의 신경 섬유는 위장관, 요로, 폐 등 신체 여러 부위에 존재하는 평활근의 움직임을 담당한다. 부교감신경이 억제되면 동공이 커져 흐릿하게 보이거나 녹내장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위장관 운동 저하에 의한 ▲구역 ▲구토 ▲변비 등이 나타난다. 따라서 천식, 전립선 비대증, 요로폐색 환자는 애초에 수면 유도제를 사용하면 안 된다.
특히 항콜린성 약물은 고령층이 주의해야 할 약물이다. 고령층은 젊은 층보다 대사 작용이 느려 다음날까지 어지러움·섬망 등 부작용이 지속돼 낙상이나 사고를 당할 위험이 훨씬 크다. 이재훈 약사는 “수면 유도제가 치매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며 “항히스타민제가 뇌의 신경전달물질(아세틸콜린) 작용을 억제해 인지능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불면증 원인 찾고, 생활 습관 개선해야
수면 유도제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 항히스타민제의 복용 기간은 2주일이다. 따라서 수면 유도제를 2주 이상 사용할 경우 의사를 찾아 정확한 원인을 찾아야 한다. 효과가 없는데 계속 먹거나, 약에 의존하게 되는 경우 모두 해당한다. 또한 수면 유도제를 쓰기 전, 혹은 쓰는 중에 수면 습관 개선을 위해 노력이 필요하다. ▲매일 잠드는 시간과 깨는 시간을 일정하게 하기 ▲자기 전 따뜻한 우유 한 잔 마시기 ▲따뜻한 목욕하기 등이 있다. 잠자는 환경을 조용하게 하고 환하지 않게 한다. 또한 ▲커피 ▲홍차 ▲녹차에 들어 있는 카페인은 수면 유도제의 작용을 상쇄시키므로 이러한 음료는 피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