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naver.me/5JpDFqLc
상제
上帝
정의
지고무상(至高無上)한 지위를 가진 천신(天神).
내용
중국 고대에서의 상제는 천계(天界)에 조정(朝廷)을 조직하여 운영하면서, 동시에 지상(地上)을 감시하여 지상의 만물을 생성, 변화시키는 조물주였다. 그 구체적인 성격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원시적인 천신 신앙에서 상제는 항상 의인화된 인격신으로 나타나며, 움직이고, 말하고, 명령하면서 실제로 존재하는 커다란 한 사람으로 상상되었다.
둘째, 상제는 사람들의 마음과 통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결국 사람들의 마음 밖에서 초월적으로 존재하는 자였다.
셋째, 상제도 사람처럼 욕망이 있는 자로서 사람이 그에게 현실적인 욕망을 희구할 때는 제사나 희생 등의 교역 의식을 통해야 했다.
넷째, 상제는 사람들에게 그 상벌로서 빈천·부귀·사생·이해 등의 외재적인 화와 복을 내려주는 자였다.
이러한 상제에 대한 당시인의 종교적 신앙 태도는 사람의 일에 관한 모든 것까지도 상제의 뜻에 의하여 결정하려는 상제 중심의 사고 방식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제의 뜻을 판단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점법(占法)이 성행하였다.
현존하는 10만여 편(片)의 갑골문(甲骨文)이 모두 상제와 조상신에 대한 제사라든가 전쟁·농사의 풍흉, 기우(祈雨) 등에 관한 복사(卜辭)들인 것이다.
이와 같이, 당시인 그 중에서도 특히 은인(殷人)들은 중요한 사건뿐만 아니라, 왕의 일상 생활에서의 움직임까지도 모두 점에 의한 조상이나 상제와의 대화를 통하여 판단하며, 사람의 모든 일에 대한 최후의 결정에도 결국 상제의 뜻을 묻는 점법으로서 결정하였다.
이렇게 볼 때 은대(殷代)에 있어서의 상제는 천상의 지배자인 동시에, 지상의 지배자였다. 공동체의 구심력이 되고 공동체의 의지를 결정해 주는 요소가 되어, 법률의 역할을 하고, 윤리적 선악 판단의 근거가 되고, 정치적 최고 의결 기관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상제 중심의 신앙 생활로 일관되는 이와 같은 종교 문화는 무왕(武王)의 혁명으로 봉건 국가의 예제(禮制)가 확립된 주대(周代)에 이르러서는 인간의 조직과 제도에 강세가 두어지고, 합리적인 사유가 단편적으로 나타나면서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인간문화에로 전환되었다.
그리고 상제라는 용어는 한 동안 중국 서부 지역에서 수입된 천(天)이라는 용어와 혼용되다가 차차 천으로 통일되고, 상제에 대한 관념 또한 합리적 사유에 의하여 천명 사상(天命思想)으로 전환되었다. 천명 사상이란 하늘이 명령을 내려 주는 것은 오직 사람의 도덕으로 말미암아 결정된다고 생각하는 사상이다.
그 내용은 하늘의 명령이 자신의 의사대로 어떤 특정한 사람에게만 계속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덕의 유무를 판단하여 덕이 있는 사람에게로 옮겨간다는 것이다. 공자(孔子)는 이러한 천명 사상을 발전시켜 하늘의 뜻과 인간의 마음 속에 있는 본래성의 움직임을 일치시킴으로써 천인합일사상(天人合一思想)을 창출해 냈다.
한국의 고대 문화는 중국의 동부지역에서 발원한 중국 고대의 상제 중심의 종교 문화와 동질적이거나, 아니면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었다. ≪삼국유사≫에 나타나 있는 단군에 관한 기록을 보면, 상제는 천상에서 조정 대신들을 거느리면서 지상의 만물을 감독하는 자로 설명되고 있다.
하느님인 환인이 아들 환웅에게 삼천 명의 무리를 이끌고 태백산으로 내려가 다스리게 하였는데, 그곳을 신시(神市)라고 하였다는 기록에서는 지상은 하느님의 뜻에 의하여 다스려지는 이상 사회로 기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환웅이 곰과 결합하여 단군을 낳았다는 기록에서는 인간 존재는 하늘의 요소와 땅의 요소의 결합체로 이해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홍익인간(세상을 널리 이롭게 한다.), 이화(理化 : 힘에 의하여 정복하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으로 교화하는 것) 등으로 표현되는 정치 이념을 통하여 인도주의 정신을 배경으로 한 종교적 성격을 짐작할 수 있다.
상제, 즉 하느님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종교적 성격은, 불교가 한국에 정착되게 되면서 지상에 이상 세계인 불국토(佛國土)를 건설하려는 노력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고려 말기의 성리학 수용기에 이르러 확연히 드러나게 된다.
이색(李穡)은 ‘천인무간(天人無間)’이라 하여 하늘과 사람을 일체의 매개자를 통하지 않고 직접 연결시키고 있다. 중국의 성리학에서는 하늘의 명령이 인간의 본래적인 마음의 작용과 일치하기 때문에, 하늘과 사람은 이를 매개로 하여 합일된다고 한 데 반하여, 이색은 애당초 하늘과 사람을 직접 연결시킨 것이다.
이는 천명 사상으로 발전되기 이전의 중국 고대의 상제 사상과 유사한 것이다. 그리고 고려 말기의 성리학과 조선 초기의 성리학을 연결시키는 교량역을 담당하였던 권근(權近)은 그의 저서인 ≪입학도설 入學圖說≫에서 천인심성합일지도(天人心性合一之圖)를 그렸는데, 이 그림에서 그는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설 太極圖說≫과 주희(朱熹)의 이기설을 자료로 하면서도 우주론보다는 심성론(心性論)을 전개하여 하늘과 사람의 모습을 일치시켜 설명함으로써 하늘과 사람의 관계를 설명하려 하였다.
뒤이어 정지운(鄭之雲)은 ≪천명도설 天命圖說≫을 지어 하늘과 인간의 관계를 설명하였는데, 이 ≪천명도설≫에서 “사단(四端)은 이(理)에서 나온 것이고 칠정(七情)은 기(氣)에서 나온 것”이라고 말했다.
이 말을, 이황(李滉)이 “사단은 이가 나타난 것이고 칠정은 기가 나타난 것”이라고 고친 것에서 비롯되어, 이황과 기대승(奇大升)간의 사칠논변(四七論辨)이 시작되었고, 이것이 철학사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이황은 ‘천인무간’의 명제를 ‘천아무간(天我無間)’으로 집약시켜 철학하는 주체로서의 ‘자기’를 강조하고, 현실적으로 하늘과 하나인 존재로서의 ‘자기’를 회복하기 위하여 경(敬)을 중심으로 하는 고도의 수양 철학을 완성시켰다.
그리고 이이는 조광조(趙光祖)의 지치주의 사상(至治主義思想)을 계승하여 하늘의 뜻이 펼쳐진 이상 사회의 건설을 위한 정치적 실천 운동을 전개하였다. 서양의 문물이 수용되자 정약용(丁若鏞)은 기독교의 하느님을 상제의 의미로 소화하였다.
한국에 기독교가 크게 발달하게 된 것도 근본적으로는 하느님의 개념을 수용할 수 있는 상제 사상이 전해오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늘과 사람이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보는 ‘천인무간’의 사상은 사람은 곧 하늘이라고 설명하는 천도교의 ‘인내천사상(人乃天思想)’을 낳기도 하였다.
https://naver.me/IgDDXQiT
귀신
鬼神
중국 송대 이후 신유학에서 ‘귀신(鬼神)’은 기(氣)의 움직임과 관련 지어 해석된다. 이러한 해석은 유학자들이 기존에 영혼(spirit)이나 혼령(ghost)과 같이 일반 대중에게 신앙이나 기복의 대상이 되는 신비적이고 종교적인 실재를 인정하지 않고, 이를 자연세계를 설명하는 그들의 이론 틀 속에서 설명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북송대 기철학자인 장재는 귀신에 대해 “음과 양, 두 기의 양능이다.”(二氣之良能)는 정의를 내린다.
이를 통해 그는 귀신이란 “두 기의 양능”에 불과하므로, 어떤 특정 사물이 될 수 없고, 따라서 일반사람들이 특정 사물로 인정하는 귀신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린다. 또한 정이는 “귀신은 조화의 자취이다.”(鬼神者造化之迹也)라고 정의하면서, “모이면 정기(精氣)이고, 흩어지면 유혼(遊魂)이다. 모이면 사물을 이루고, 흩어지면 변화하게 된다. 모이고 흩어진 것을 보면, ‘귀신의 정체’가 드러난다. 모든 사물의 시작과 끝은 모이고 흩어짐을 벗어나지 않을 따름이다. 귀신은 조화의 결과물(造化之功)이다.”라고 한다.
이러한 유학자들의 귀신에 대한 관점은 ‘귀(鬼)’는 ‘돌아옴[歸]’, 신(神)은 ‘펼쳐짐[伸]’과 연관된 단어로 이해한 것이다. 말하자면 귀신은 기가 돌아오고 다시 펼쳐지는 양상을 나타내는 것일 뿐, 어떤 실체를 가리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컨대 하루 중에 오전은 신이요 오후는 귀이다. 또 꽃이 피는 것은 신이요 지는 것은 귀이다. 사람은 장년까지가 신이라면 그 이후는 귀이다. 또 삶이 신이라면 죽음은 귀이다. 요컨대 귀신이란 우주만물의 생성 발전 변화의 모든 과정 혹은 그 과정의 순간순간들의 두 측면을 일컫는 말일 따름이다. 그러므로 귀신은 어떤 사물에 대한 지칭이 아니다. 즉 어떤 하나의 존재가 아닌 것이다.
이러한 귀신관은 곧 기로 구성된 세계의 전체의 운동 양상과 관련된 것이다. 이 때문에 주희는 귀신의 존재 유무에 대한 물음에 대해 “세상과 우주만물의 이치에 대한 이해가 분명해지면 귀신 문제에 대한 의혹은 저절로 풀린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즉 그는 귀신에 대해 그것의 존재 유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것이 어떠한 운동 양상이며, 어떠한 이치를 따르고 있는가를 이해하는 일이 보다 중대한 일이라고 보고 있다.
https://naver.me/IDbnZriC
상제
1. 개요
上帝
중국 상나라에서 숭배했던 신이다. 또한 하느님의 중국식 표기이기도 하다.
2. 기원
상 왕조의 신, 선왕, 위대한 왕, 혹은 황제.
상나라에서 믿었던 신으로, 현실에 존재하는 신이 아닌 현실세계와는 동떨어진 이상향의 세계에 있는 초월자로, 우주 삼계의 생명의 근원과 그 변화의 길을 일러 도(道)라고 부르는데, 이 도의 주재자라고 한다. 제(帝)라고도 불렀다. 하느님의 중국식(한자식) 단어로 볼 수 있다.
유교 문화권에서는 세계를 창조하고 이를 주재한다고 믿어지는 초자연적인 절대자이자 비, 바람, 번개 등을 지배하는 자연신이자 하늘에서 지상을 감독하고 길흉화복을 내리는 인격신이며[1], 원시 개벽하고 일월 순환광명시키고 음양을 생성하며 사시 질서를 조정하며, 만물을 화생시키고 인간의 생사(生死)를 관할하고 창생을 제도하기 위해 성현을 내려보내는 존재이다.
장자에서는 도(조물자, 일기, 일신)가 무형의 세계[2]를 지배하는 존재이면 상제는 유형의 세계를 지배하는 존재로 여기고 무형의 세계를 지배하는 도와 상제는 일이이 이이일, '하나가 둘이고 둘이 하나인' 관계에 해당된다.[3]
고대인들은 현실세계를 부정확하고 불완전한 것으로 보았는데, 만물의 주재자[4]인 신은 불완전한 현실 세계에 있을 수 없다고 보았으며, 따라서 제는 필연적으로 바깥의 이상향의 세계에 존재해야만 했다. 또한 이 세계의 존재가 아니므로 이 세계의 사람들과는 말이나 몸짓, 생각, 이성 따위로는 소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믿어졌다. 어딘가 이런 거나 이런 걸 떠올렸다면 기분 탓이 아니다. 실제로 후대에 마테오 리치가 괜히 동일존재로 여긴 게 아니다.
서경(書經)에서는 "하늘이 백성들을 도우셔서 임금을 세우고 스승을 세우니, 능히 '상제'를 도와 사방을 위무한다"(天佑下民,作之君,作之師,惟其克相上帝,寵綏四方)고 하여, 상제가 백성을 직접 다스리지 않으면서 양육하며, 직접 가르치지 않으면서 스승을 세워 교육하게 하는 것이 바로 상제가 세상을 주재하는 방법임을 제시하고 있다.
곧 상제는 세상을 직접 다스리기보다는 임금을 세워 자신의 주재를 돕게 하여 간접적으로 다스리는 방법을 취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임금은 스승의 역할을 겸하기 때문에 '군사'(君師)라 일컬어지며, 임금의 이상적 인격이 바로 '성왕'(聖王)이다. 따라서 임금이나 스승은 상제와 대중 사이에 놓여져, 상제의 명령과 주재활동이 대중에 실현되도록 하는 역할을 맡는다고 보았다.
상나라의 왕들은 제사를 통해 상제와 소통했는데, 제사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술로, 이성 즉 이쪽 세계의 사고방식을 마비시키는 술은 이쪽 세계에 묶인 인간의 정신을 초월자의 세계와 소통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으로 믿어졌기 때문이다. 신과 인간을 연결시키는 게 술이라는 상념은 동서양을 가리지 않고 있던 관념으로 실제로 동서양의 여러 제의에서 술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술을 통해 저쪽 세계와 소통할 수 있게 된 왕도 제와 곧바로 소통할 수는 없었다. 저쪽 세계에 발을 들여놓긴 했어도 이쪽 세계에 더욱 많이 묶여있었기 때문이다.
왕은 상제와 소통하기 위해 죽은 선왕과 먼저 소통한다. 저쪽 세계의 구성원이긴 하지만 죽은 지 얼마 안 돼서 이쪽 세계와도 연관성이 있어서 비교적 쉽게 소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선왕은 소통이 쉬운 그 선대왕, 또 그 선대왕... 식으로 해서 바톤터치 단계적으로 상제와 소통할 수 있었다. 후대로 갈 수록 연결이 지연되는 불편함 후에는 초월자인 상제에게서 이쪽 세계의 통치를 위임받았다는 뜻으로써 상나라의 자성子姓의 왕호에는 제가 들어가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상나라 마지막 왕인 주왕의 왕호는 제신(帝辛)이었으며, 그 아버지도 덕왕도 제을帝乙이었다. 상나라 시대 청동기의 도철문이 상제의 관념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5]
전통적으로 우주와 그 안에 있는 모든 존재들을 창조하고 우주와 모든 생명체에게 기원을 부여한 존재로 여겼고 그 힘은 천체, 자연 현상, 생명을 포함한 우주를 낳는 능력을 포함했고 장엄한 계획이나 우주 질서에 따라 우주에서 일어나는 사건의 과정을 인도하는 섭리의 궁극적 원천이었고[6] 무한하거나 모든 것들을 포괄및 아우르고 인간사에 개입해 자연의 힘을 포함한 모든 것들을 통제 및 조정, 지배하고 자연 현상과 인간사와 사건에 관여하고 모든 권능을 지니고 의지 하나로 우주와 그 안의 모든 것과 존재들을 존재하게 만큼[7] 전능한 힘을 지녔고 과거, 현재, 미래를 아우르고 시간의 제한을 받지 않는 채 영원히 존재하는 영원성과 불변성을 가지고 있었다.
과거, 현재, 미래를 모든 것을 포괄하는 최고의 지혜와 전지성을 지녔고 신성한 원칙과 윤리 기준에 따라 옳고 그름을 결정하는 정의와 도덕적 권위의 궁극적 근원에 해당되었다. 천하만물과 인간 세계와 자연 현상, 천하만물의 질서와 균형을 통제 및 지배, 조절, 유지하고 인간 세계와 자연 현상의 주요한 규율을 결정하고 지키며 인간의 운명과 사건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하고 그(상제)의 뜻과 계획은 역사의 흐름과 인간의 운명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고 죄악과 죽음의 권세를 이기는 구속적인 힘을 지녔고 예언을 통해 미래를 볼 수가 있었다.
3. 변천
후에 전국시대 말에는 진나라 제나라가 강성했는데, 두 나라의 군주를 각각 서제와 동제라고 칭하기도 했으며, 진이 전국을 통일한 뒤에는 황황한 상제라는 뜻의 황제가 군주의 칭호로 채택되었다.
16세기 말엽 중국 선교에 임한 예수회의 마테오 리치와 동료 회원들은 중국에서 우주 만물의 궁극자를 지칭하는 말이 상제上帝, 천天, 도道, 태극太極 등 다양하며 더구나 이 용어들의 의미도 시대나 학파에 따라 다른데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그들은 그리스도교에서 말하는 하느님, 즉 우주만물을 창조하고 섭리하는 인격적 절대자에 해당하는 중국말이 무엇인지를 궁구하게 되었으며, 마침내 천지 만물의 상주(上主)라는 뜻의 천주(天主)[8]가 적합한 용어라고 판단하였다. 그 때문에 한국과 중화권에서 가톨릭은 천주교라고도 불리는 것이다.
그런데 리치는 유교 경전을 깊이 연구해감에 따라 경전에서 말하는 상제는 그리스도교의 신 개념과 일치함을 깨닫게 되었으며, 그는 ≪천주실의≫(天主實義)에서 상제가 바로 그리스도교의 천주임을 여러 경전을 인용하여 주장하였다. 이는 중국이 이전부터 전해오던 신앙과 결합시켜 중국인들이 그리스도의 신앙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게 하기 위해서였다.
곧 천주실의 제2편에서 “우리나라(서양)의 천주는 중국 유교 경전에서 칭하는 상제이다(吾天主乃古經所稱上帝也).”라고 증명하였다. 또한 『중용』, 『시경』, 『주역』, 『예기』, 『상서』 등에 나온 ‘상제(上帝)’의 용례를 들어 고증(考證)하였다. 그러나 천天에 대해서는 세분하여 만일 만물의 최고 주재자로 이해한다면 천주와는 다른 개념이라고 보았다.
또한 도교나 민간 신앙에서 공경하는 옥황상제(玉皇上帝)나 주자학에서 말하는 태극 역시 천주와는 상이한 개념이라고 하였다. 그는 성리학의 철학적 입장과는 달리 그리스도교적 신앙의 관점에서 궁극적 존재의 주재적(主宰的)이고 인격적인 초월성을 강조하였다. 실제로 상나라 시대 때 상나라인들이 믿던 상제는 분명 그러한 개념이었으니까. 그저 왕의 신정국가 체제라는 차이점이 있었을 뿐이다.[9]
예수회의 유연한 선교 정책상 적응주의 입장을 취한 마테오 리치는 그리스도교의 하느님을 지칭하는 중국말은 원칙적으로 '천주'이지만 중국인에게 친숙한 '상제' 또는 주재적 의미의 '천'도 사용할 수 있다고 허용하였다. 이에 대해 도미니코회와 프란치스코회 선교사들은 '천주'만 사용할 수 있고 '상제'나 '천'은 그리스도교의 신 개념과 다르므로 사용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이 용어 문제는 소위 중국 의례논쟁(儀禮論爭)의 한 쟁점이 되어 약 100년간 논란되어 오다가 1715년 교황 클레멘스 11세의 칙서와 1742년 교황 베네딕토 14세의 칙서에 의해 '천주' 이외의 '상제', '천' 등의 용어 사용이 금지되었다.
한편 ≪천주실의≫를 통해 리치의 상제 해석에 접한 조선의 유학자들은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주자의 성리학을 고수하는 전통 유학자들은 천주가 천지를 주재하고 만물을 안양(安養)한다는 점에서는 유교 경전의 상제와 상통한다고 대체로 시인하나, 천주가 만물을 창조하였다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으며, 상제는 천지가 형성된 후에 비로소 천지간을 주재하므로 천지 만물의 근원은 상제가 아니라 태극이라고 반박하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가톨릭을 신봉하던 학자들은 리치의 상제관을 그대로 받아들인다. 이벽은 ≪성교요지≫(聖敎要旨)에서 가톨릭 교리를 요약 설명하면서 당시 유학자들에게 친숙하지 않던 '천주'보다는 '상제'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정약용의 조카인 정하상 역시 ≪상재상서≫(上梓相書)에서 만물의 주재자가 있음은 누구나 알 수 있으며 옛 성현들도 만물의 주재자인 '상제', '천'을 받들어 섬겼다고 역설하면서, "천주는 만물의 대부모(大父母)요 대주재(大主宰)이므로 옛 성현들도 극진히 섬겼는데 지금 사람들은 무슨 까닭에 모독하고 능욕하는가?"라고 천주에 대한 불신앙을 책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