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장간 여기 중기 정기 알아보기
사주는 24절기에 의해 년월지가 결정되는데 24절기는 양력이다.
월이 시작되는 것을 절기(節氣)라 하고 월의 중간을 중기(中氣)라 한다.
예컨데 정월은 입춘에서 시작하는데 입춘(立春)은 節氣이고, 우수(雨水)는 中氣이다.
계절 | 봄(春) | 여름(夏) | 가을(秋) | 겨울(冬) |
월 | 寅月 | 卯月 | 辰月 | 巳月 | 午月 | 未月 | 申月 | 酉月 | 戌月 | 亥月 | 子月 | 丑月 |
여기餘氣 | 戊 | 甲 | 乙 | 戊 | 丙 | 丁 | 戊 | 庚 | 辛 | 戊 | 壬 | 癸 |
중기中氣 | 丙 | | 癸 | 庚 | 己 | 乙 | 壬 | | 丁 | 甲 | | 辛 |
정기正氣 | 甲 | 乙 | 戊 | 丙 | 丁 | 己 | 庚 | 辛 | 戊 | 壬 | 癸 | 己 |
절기節氣 | 입춘 | 경칩 | 청명 | 입하 | 망종 | 소서 | 입추 | 백로 | 한로 | 입동 | 대설 | 소한 |
중기中氣 | 우수 | 춘분 | 곡우 | 소만 | 하지 | 대서 | 처서 | 추분 | 상강 | 소설 | 동지 | 대한 |
지장간에 있어서
여기(餘氣)란 전달의 정기가 다음달의 여기가 되는데 전달의 기운이 아직 남아있는 것을 말한다.
중기(中氣)란 그 달에 여기 다음으로 사령하는 장간인데 해당지지에 암장된 기운이다.
寅목에는 병화, 진토에는 계수, 사화에는 경금, 오화에는 기토, 미토에는 을목, 신금에는 임수
술토에는 정화, 해수에는 갑목, 축월에는 신금이 암장되어 있다.
사주를 제대로 잘 보려면 이 암장된 중기의 기운을 철저히 숙달하고 활용하여야 한다.
정기(正氣)는 그 달의 본 기운을 말한다. 육친법을 정하는 기본 천간이 된다.
예컨데 인월(寅月) 경우에는 인중 무토나 병화가 지장간으로 목왕절 중에 함유되어 있으나
묘월(卯月) 경우에는 갑목과 을목만이 있어 타 오행을 취택 할 수 없으므로 해당 명조가
土氣(토기)나 火氣(화기)가 시급하여도 장간의 혜택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지지장간은 명리학에서 중요한 것인 만큼 꼭 외워서 암기하여야 합니다. 학인이라면 암기를 통하여서 필히 숙지해야 하는 큰 이유는 사주팔자를 해석 한다는 것은 암장된 지장간을 포함하여 통변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
한국명리학술원
첫댓글 공부합니다 편안하신 한주 발원합니다, ()
지장간 여기 중기 정기 알아보기~ 감사합니다.^
사주는 24절기에 의해 년월지가 결정되는데 24절기는 양력이다.~ 감사합니다.~
월이 시작되는 것을 절기(節氣)라 하고 월의 중간을 중기(中氣)라 한다.
여기(餘氣)란 전달의 기운이 아직 남아있는 것을 말한다.~ ㅠㅠ
감사합니다. 꾸우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