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경청적(和敬淸寂)은
일본 다도의 정신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에 대한 긍정이라도 하듯
중국이나 한국의 차인들은 다투듯이
자신들의 차이미지에 알맞다고 생각되는 낱말을
자신의 나라의 고전에서 따와 정립해 보려고 애써왔다.
예컨대 한국 다도 정신은 중정(中正)이며 중국차의 정신은 정행검덕(精行儉德)이라는
등의 주장이 그러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엄밀히 살펴보면
글자만 다를 뿐 그 내용은 모두
화경청적과 크게 다를 바가 없는 것이며,
어떤 면에서는 화경청적의 모방이라는 점을 더욱 들어내어 놓은 듯 한 느낌을 주기도 한다.
왜냐하면 일본인이 세운 다도정신이라는 것은
선원의 청규처럼 조목조목 체계적으로 되어 있을 뿐 만 아니라,
화경청적이란 말 자체가 이미 400여년 전에 청규의 용어로 아예 정립이 된 상태이다.
중정이나 정행검덕 또한 비록 오래된 이론이긴 하지만
근래사람들이 고전에서 따와서 이것으로 갑자기 다도의 정신을 나타낸다고 하는 것은 아무래도 급조된 감이 없지 않기 때문이다.
화경청적이란 말은 차를 다루는 사람들의 공통용어이기 때문에 어떤 특정한 나라나
단체만이 전매적으로 써야 한다는 법칙은 없다.
가령 도(道)라는 글자의 의미를 중국이 먼저 발명하고 사용하였다고 해서
한국이나 일본은 도(道)라는 낱말을 피하고 다른 글자를 써야한다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겠는가?
도라는 것의 의미와 글자는 이미 극동 문화권에 있어 나라와 시대를 초월하여
하나의 보편화된 것으로 누구의 소유라는 개념은 없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화경청적 역시 국가나 인종의 차별 없이 차를 마시는 모든 사람의 보편적
언어일 뿐이지 특별히 일본 다도의 전유물은 아닌 것이다.
화경청적의 불교적 의미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화(和)는 화합, 혹은 조화로 이때의 화합은
일체 형상과 마음의 모든 법이 모여 화합하여
서로 여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어떠한 것이 서로간에 어긋나서 맞지 않는 것을 조절하여 일치점을 찾는 것이다.
그러므로 화는 단지 외부적으로만 적당한 섞임이 아니라
물과 젖이 섞이듯 안과 밖이
함께 어우러져야 한다.
-차인들이여 서로 화합하여라-
敬은 일체의 존재를 공경하는 것
경(敬)은 생명있는 것부터 무정물에 이르기까지
일체의 존재에 대하여 공경하는 것으로
앞의 화(和)와 유기적 관계이며
이 둘을 합하여 화경(和敬)이라고 부른다.
경을 나타내는 대표적 인물이 모든 중생을 부처의 대상으로 보아
존경한다는 상불경(常不輕)보살이며,
이러한 대승의 보살이 중생과 같이 하는데 있어
6종의 방법을 쓰는데 이것을 일러 육화경(六和敬)이라고 한다.
-차인들이여 서로 존경하거라-
淸은 자신의 내면과 외부의 모든 더러움을 깨끗이 하는 것
청(淸)은 깨끗함, 즉 청정함을 의미하는 말인데
자신의 내면세계를 깨끗이하는 자성청정(自性淸淨)과
외부의 모든 더러움을 깨끗이한다는 뜻의 이구청정(離垢淸淨) 두 가지가 있다.
-차인들이여 마음과 집안과 다구를 함께 깨끗이 하여라.-
寂은 마음에 번뇌가 없고 몸에 괴로움이 없는 해탈, 선정의 상태
적(寂)의 문자적 의미로는 고요하다는 것이지만 불교적 해석은
생사(生死)하는 인과(因果)를 없애 다시는 어두운(迷) 일을 반복하지 않는
적정(寂靜)한 경계를 말한다.
다시 말해 마음에 번뇌가 없고 몸에 괴로움이 없는 상태를 적(寂)이라고 하며 해탈,
선정(禪定)의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차인들이여 떠들기보다 묵묵히 행동으로 실천해라-
다도에 있어 화경청적을 일본인들은
화(和)와 경(敬)은 다사(茶事: 차를 다루는 일)에 있어서
주인과 손님 상호간에 느끼고 공감되는 상태들을 의미하고,
청(淸)과 적(寂)은 주로 차의 정원, 다실과 다기에 관련된 것으로 나누고 있다.
이러한 분류도 기본적으로 정진하는 마음을 유지해야 제대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도정신을 그들은 와비정신이라고 부르고 있다.
마음과 몸, 집안과 차도구가 제대로 되어 있으면
차는 언제나 중정(中正)에 들어갈 것이며,
정밀한 행(精行)과 검소한 덕(儉德)이 드러날 것은 틀림없을 것이다.
무대에서 배우가 하는 연기가 자신의 평소의 삶과는 무관하듯,
꾸준한 수행없이 차인(茶人)이라는 말을 듣기 위해
가끔씩 연출되는 화경청적은 문자 그대로 차의 행위(行茶)만 남아있을 뿐이지,
차의 도(茶道)는 없는 것이다.
첫댓글 화경청적 잘 배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