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사장계를 이끈 선두주자 김용암
17세기 중엽부터 후반까지 승장 사인비구(思印比丘)와 쌍벽을 이루며 사장계(私匠系)를 주도하였던 김애립(金愛立)은 그 계열을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던 김용암(金龍岩)에서 찾을 수 있다. 김용암은 담양의 용흥사종(龍興寺鐘, 1644), 선암사 대각암 소장 대원사종(大原寺鐘, 1657), 화순 만연사종(萬淵寺鐘, 1660)을 만든 장인이다.
그의 범종은 쌍룡의 용뉴 밑으로 불룩이 솟아오른 천판의 가장자리에 둘러진 연판문대(蓮瓣文帶)와 종신에 부조된 용무늬처럼 외형 면에서는 중국 종의 영향을 많이 반영하였다. 그러나 방형의 연곽과 그 사이마다 보살입상을 배치하고 종구(鐘口)쪽에 하대(下帶)를 장식하는 등 우리나라 전통종과의 혼합을 보여준다.
천판 위에는 쌍룡이 서로 반대로 머리를 돌리고 정상부에는 몸체 중앙부에서 솟은 여의주를 서로 받친 모습으로서 이러한 형태 역시 중국 명나라 종에서 자주 등장하지만 약간 변형된 모습이다.
연곽 사이마다 배치된 4구의 보상입상은 연화좌 위에 합장한 모습이며 하대는 종구에서 약간 올라온 곳에 2줄의 융기선을 둘러 매우 넓게 장식하였다. 이후 김용암의 범종에서는 하대와 상대 문양을 조금씩 바꿔가며 표현하는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김용암은 장인이면서 통정대부(通政大夫)라는 명예 가호를 가장 먼저 쓴 사장이라는 점에서 그의 위치를 짐작케 한다.
담양 용흥사종(龍興寺鐘)
통정대부라는 명예 가호를 가장 먼저 쓴 김용암이 만든 범종들. 1644년 조성된 보물 보물 1555호 용흥사종. 높이 100.5cm.
현재 전라남도 담양군 용흥사(龍興寺) 대웅전에 걸려 있다. 조선후기의 범종 가운데 용뉴의 위치의 변화가 있지만 거의 대부분 쌍룡으로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처럼 4마리 용으로 표현된 범종은 현재까지 조사된 바로는 이 종이 유일하다. 머리를 낮게 숙인 4마리의 용이 서로 머리를 돌린 모습으로서 이 중에서 두 마리의 용만이 몸체가 표현되어 종 고리를 만들고 정상에 여의주(如意珠)를 받쳤다. 김용암 범종에서 보이는 불룩하게 솟아오른 천판과 용뉴를 중심으로 반원형의 연판문을 둥글게 돌아가며 장식하는 의장은 김용암 범종의 두드러진 특징으로서 나중에 김애립(金愛立)이 만든 범종에까지 영향을 준다.
2줄로 둘러진 천판 외곽으로 육자광명진언(六字光明眞言)을 배치한 원권의 범자문(梵字文)으로 장식하였고 그 아래로 당초무늬로 구성된 상대를 둘렀다. 이 구름 형태의 당초무늬는 종신에 표현된 연곽대에도 그대로 사용되고 있으며 연곽 안에 돌출된 연뢰는 십자형에 가까운 도식화된 연화좌로 장식되었다. 연곽 사이마다 배치된 4구의 보상입상은 연화좌를 밟고 서서 두 손을 합장한 유려한 모습이다. 이 4구의 보살상 중 앞, 뒤쪽에 배치된 보살상 아래쪽에 왕실을 축원하는 전패형(殿牌形) 장식이 첨가되었다. 이 전패는 집 모양의 테두리에 빗금무늬가 있지만 전패 받침과 상부 장식 등은 표현되지 않아 전패의 모티브만을 채용한 것으로 보인다.
하대는 종구(鐘口)에서 약간 올라와 2줄의 융기선을 두르고 매우 넓게 장식되었다. 이 안 장식된 용무늬는 고견사종(古見寺鐘, 1630), 보광사종(普光寺鐘, 1634)과 같이 승려장인에 의해 제작된 범종에 장식되는 파도 속에 표현되는 용문과 달리 구름 속에서 여의주를 움켜쥔 운룡문(雲龍文)으로 바뀐 것은 직업 장인이란 점에서 새로운 중국 종 요소를 채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김용암의 범종은 다른 곳은 거의 동일한 모습을 유지하지만 하대와 상대 문양을 조금씩 바꿔가며 표현하는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종신 중앙부에는 방형의 명문곽을 두어 ‘순치원년사월일창평현용귀산용흥사신주종기(順治元年四月日昌平縣龍龜山龍興寺新鑄鍾記)’로 시작하는 명문이 양각되어 있어 이종이 순치 원년인 1644년 용흥사의 범종으로 주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작자로서 ‘주종 통정대부김용암(鑄鐘 通政大夫金龍岩)’ 이라고 기록되었는데, 현재까지 알려진 김용암의 범종 가운데 가장 이른 작품에 해당된다. 사장 가운데 가장 일찍 통정대부라는 명예관계를 쓴 장인이란 점에서 주목된다.
선암사 소장 대원사 부도암종
1657년 조성된 보물 1561호 선암사 소장 대원사 부도암종. 높이 82.3cm.
이 범종은 전라남도 순천시 선암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된 작품이지만 원래 대각암(大覺庵)에 보관되어 있어 대각암종으로 불렸던 작품이다.
종의 크기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종신 외형의 단정한 비례와 세부 문양의 정교함 등 김용암 종 가운데 가장 역량이 돋보이는 수작으로 평가된다. 종의 정상부에는 하나의 여의주를 중심으로 앞, 뒤로 배치된 용뉴를 두었고 용뉴를 돌아가며 둥그렇게 솟은 천판 위에는 길게 표현된 연판문을 주회시켰다.
종신의 상부에는 다른 김용암 종과 달리 원권의 범자문이 아니라 상대처럼 구획을 두고 위아래로 육자광명진언 가운데 ‘옴’과 ‘아’의 두 자만을 취한 범자문을 둥글게 돌아가며 장식하고 있는 점이 독특하다. 이 범자문 상대 바로 밑으로 비교적 크게 배치된 방형의 연곽대를 두고 이 안에는 둥그런 연화좌 위에 돌기된 연봉우리로 표현된 연뢰를 장식하였다.
다른 김용암종에 비해 이 연곽 부분이 세밀하면서 정교하게 처리되었지만 연곽대의 문양은 엽문과 같이 표현된 당초문으로 시문된 점이 색다르다.
연곽과 연곽 사이에는 몸을 옆으로 튼 채 합장한 보살입상을 1구씩 배치하였는데 다른 보살상과 달리 팔을 감싼 대의(大衣) 주위로 날개 모양의 장식을 첨가한 모습에서 조선 불화에서 볼 수 있는 제석천(帝釋天), 범천(梵天)을 묘사한 것으로 추측된다. 그런 점에서도 김용암 종은 보살상에서 새로운 도상을 채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존의 보살상 옆으로 배치되는 전패와 달리 한쪽 연곽 아래쪽으로만 삼전패(三殿牌)가 부조되어 있는데 짧은 대좌와 전패 주위의 당초문은 간략하고 도식적으로 처리되었다.
명문에는 이 종이 ‘전라도 보성군 천봉산(全羅道 寶城郡 天鳳山)의 대원사 부도암 중종(大原寺 浮屠庵 中鍾)’으로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으며 제작자로는 ‘주종화원질 통정대부 김용암(鑄鐘畵員秩 通政大夫金龍岩)’과 조역으로 보이는 ‘장사상(張士詳)’ 두 사람이다. 특히 명문에 기록된 많은 시주자 명단 가운데 ‘포시주(布施施), 철물시주(鐵物施主), 황밀시주(黃蜜施主), 숙시주(菽施主), 말장시주(末醬施主), 식염시주(食鹽施主)’와 같이 당시 종을 만들 때 다양한 시주가 이루어졌으며 황밀을 시주한 내용을 통해 조선시대 종도 밀납주조(蜜蠟鑄造)로 만들어졌음을 추측할 수 있다. 가장 말미에 ‘순치십사년정유 오월일주종(順治十四年丁酉」五月日鑄鍾)’이라는 제작시기가 기록되어 이 종이 용흥사 종보다 13년 뒤인 1657년에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화순 만연사종(萬淵寺鐘)
1660년 조성된 만연사종(萬淵寺鐘). 높이 103cm.
이 범종은 현재 전라남도 화순군 만연사에 소장된 종이다. 김용암이 만든 범종 중 가장 뒤늦은 작품으로서 쌍용의 용뉴와 정상부의 여의주, 그리고 불룩하게 솟은 천판을 지닌 김용암 범종의 특징을 그대로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작품에 비해 쌍용의 용뉴가 훨씬 앞으로 쳐들린 모습이며 전체적인 종신의 모습이 종구 쪽으로 가면서 직선화되고 구경에 비해 높이가 짧아져 둔중한 느낌을 준다. 천판의 용뉴 주위를 둥글게 돌아가며 연판문을 장식하였으며 천판이 끝나는 부분은 한 줄의 융기선으로 둘러 종신과 구별시켰다.
종신의 상부에는 상대 없이 원권(圓圈)의 범자를 둥글게 돌아가며 시문하였다. 이 아래로 사방에 방형의 연곽대를 두었는데 연곽대에 장식된 구름 형태의 당초문은 앞서 제작한 용흥사종과 동일한 형식과 모습이다. 그에 비해 연곽 안에 연뢰는 용흥사종보다 간략화 된 십자형 연화좌(蓮花座)로 처리하였다. 연곽과 연곽 사이에는 몸을 옆으로 돌려 합장한 모습의 보살입상과 그 옆으로 하나의 위패(位牌)에 구획을 나누어 ‘주상전하(主上殿下), 왕비(王妃殿下), 세자저하(世子邸下)’를 기록한 삼전패(三殿牌)를 장식하였다. 이 전패는 삼족이 달린 반듯한 대좌(臺座)와 외연을 장식한 당초문 등이 매우 유려하게 표현되었고 다른 세부 장식에 비해 크고 돋보이게 처리되었다.
특히 하대는 다른 김용암 종과 달리 종구(鐘口)에서 위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배치되었는데 연당초문을 유려하게 시문하였다. 명문에 보이는 다양한 시주자 명단 가운데 앞서의 대원사종에 없었던 ‘유철시주(鍮鐵施主)’와 ‘백탄시주(白炭施主)’가 보이며 역시 ‘포시주(布施施)와 말장시주(末醬施主), 식염시주(食鹽施主)’가 반드시 포함되는 점에서 조선시대 범종 제작 과정을 유추하는데 좋은 참고가 된다. 말미에 ‘순치십칠년경자사월 초길일 화순만연사 주성(順治十七年庚子四月 初吉日和順萬淵寺 鑄成)’이라 하여 이 종이 화순 만연사종으로 1660년에 제작된 것임을 밝히고 있다. 다만 제작자 명칭을 지금까지의 주종(鑄鐘)이 아닌 ‘주장(鑄匠) 통정대부 김용암(通政大夫金龍岩)’으로 기록하였다. 현재까지 알려진 김용암의 작품 가운데 가장 마지막에 해당되는 범종이지만 아직 보물이 아닌 지방문화재로 관리되고 있다.
[불교신문3419호/2018년8월29일자]
|
첫댓글 감사합니다....._()_
감사합니다. _()_ _(())_
대원사 부도암 종의 상단에는 옴자들로 둘러져 아주 정교하게 양각 되었고
담양 용흥사 종과 화순의 만연사 종이 상단에는
옴마니반메홈이 아주 정교하게 조각되었습니다.
범종순례를 통한 범종의 상식들 잊어버릴 때 잊어버리더라도
이렇게 접할 수 있어서 고맙습니다_()_
감사합니다. _()_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