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농민신문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
어떤 광합성
김영곤
병실에 누워있다, 깡마른 나무 한 그루 한뉘 내내 둥근 세상 사각 틀로 깎아내다 제 몸을 보굿*에 끼워 몸틀처럼 앙버티는,
무엇을 기다릴까, 천 개의 귀를 열고 한 번도 부화하지 않은 톱밥의 언어들이 끝내는 해독 못한 채 침묵 속에 갇히고,
저 왔어요 한 줌의 말 광합성이 되는 걸까 핏기 잃은 가지에서 붉은피톨 감돌 때 고집 센 심장박동기 뿌리째 팽팽해지는,
무척산에 옮겨 심은 우듬지 저류에서 썩지 않는 후회가 시간의 뺨 데우며 절단된 둘째손가락 단풍 빛깔로 손 흔드는,
*보굿:나무껍질의 순우리말.
[2025 농민신문 신춘문예 시조 당선 소감] 김영곤
“나는 피로 쓴 것만을 사랑한다” 니체의 말 되새길 터 올해는 작품을 퇴고하면서 시조의 그 깊고 오묘한 품 안에 포개지는 기분이 들었습니다. 아마 이제야 진심으로 올바른 자세로 작품에 임했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때마침 저의 깨진 틈새 사이로 한 줄기 당선 소식을 듣는 순간, 오직 ‘감사’라는 시간의 뺨만이 젖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것이 현실 맞는가요! 지난날의 실존적 고투, 아름다웠군요. 농민신문사와 심사위원께 감사드립니다. 탁월한 선택이었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더욱 정진하겠습니다. 배재대학교 대학원에서 늦깎이로 문학석사과정을 밟는 동안 사물을 낯설게 바라보라고 가르침 주신 최문자 시인님, 발견적 시선을 가지라고 질책해주신 강희안 시인님이 생각납니다. 시의 기본을 다독여주신 이승하 시인님, 경기 안성 자택에서 시를 맛있게 격려해주시던 고(故) 정진규 시인님, 가능성을 믿어주신 정종명 소설가님, 조경선 시인님도 생생히 떠오릅니다. 유튜브채널 권갑하감성TV, 백윤석 시인님의 단풍 같은 응원, 호서대학교 평생교육원 김나비 시인의 추임새가, 포기할 뻔했던 작품을 보낼 수 있었습니다. 잠들지 않는 어머니의 기도, 문득 그리워질 아버지, 충남 천안 신방도서관으로 사라지는 나를 묵묵히 지원해준 가족들, 나무껍질보다 더 단단해지도록 나를 담금질해준 고난과 시련, 절망에도 감사를 전합니다. 니체의 말을 되새깁니다. “일체의 글 가운데서 나는 피로 쓴 것만을 사랑한다.” ▲1967년 경북 청도 출생 [2025 농민신문 신춘문예 시조 심사평] 서숙희, 강현덕 시조시인
시적대상·화자 관계 오롯이…문학의 사회적 기능 보여줘 올해는 좋은 응모작들이 많아 반가웠다. 반면에 정형만 지나치게 의식해 시적 상상력이 기반이 되지 못한 작품들도 더러 보여 아쉽기도 했다. 시조는 형식이 있는 시라는 사실을 잊으면 안 되겠다. 선자들이 최종적으로 거론한 작품은 ‘아지오 구둣방’ ‘마침내 슈퍼문’ 그리고 ‘어떤 광합성’이었고, 그 결과 김영곤의 ‘어떤 광합성’이 당선의 영광을 안게 되었다. ‘아지오 구둣방’은 인간에 대한 따듯한 응시가 돋보이는 수작이었으나 상품화된 브랜드를 제목과 제재로 사용하면서 보편성을 상실하고 말았다. ‘마침내 슈퍼문’은 신선한 발상이 눈에 띄었고 마지막 수 종장이 매우 감각적이었지만 밀도가 다소 약해 내려놓았다. 두 투고자에게 힘찬 응원을 보낸다. 당선작 ‘어떤 광합성’은 “깡마른 나무 한 그루”로 지칭되는 시적 대상과 그를 안타깝게 바라보는 화자의 관계를 오롯하게 잘 드러냈는데 서사 속에서 느껴지는 깊이 있는 서정이 돋보였다. 나무를 다루는 일을 한 것으로 짐작되는 시적 대상이 나무처럼 쓰러져 병실에 누운 것은 참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화자는 그런 그를 찾으면서 그것만으로도 광합성이 되듯 다시 “붉은 피톨 감”돌게 한다고 했다. 이는 힘든 상황에 처해 있는 자들에게 관심과 사랑을 보여주자는 따스한 메시지로 읽힌다. 나무의 속성을 이용해 문학의 사회적 기능을 제대로 보여준 당선자에게 축하의 꽃다발을 보낸다.
심사위원 : 서숙희, 강현덕 심사위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