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신도시가 위치한 김포시는 수도권정비계획상 인구 및 산업의 계획적 유치, 관리가 필요한 성장관리권역에 속해있다. 서울, 인천, 일산 등과 인접한 김포시는 1998년 도·농통합시로 승격됨에 따라 균형적이고 체계적인 발전이 요구되고 있어, 대규모 계획적 개발을 통해 수도권 서북부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한 개발거점을 확보하는 동시에 기반시설 확충 및 주택공급에 기여코자 신도시 개발을 추진하게 되었다. |
![]() |
김포신도시는 서울도심과 약 26km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천국제공항, 김포공항,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등이 인접하여 수도권 서북부 지역의 교통 요충지로 성장하고 있다. 개발대상지의 약 70가 농지와 임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도48호선 국도변과 지구내 곳곳에 공장시설이 무질서하게 산재하고 잇다. 지구 북측에 운유산 등이 소재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는 농경지와 구릉지로 형성되어 있다. |
![]() |
목적 및 특성 | - 성장관리권역에 대한 계획적 도시관리 도모 - 수도권의 균형 발전을 위한 서부북 거점 - 서울~김포~강화축의 교통난 해소 |
위 치 | 서울 서북측 26㎞ 지점, 경기도 김포시 |
면 적 | 358만평 |
수용인구 | 150,000명 |
수용세대 | 53,000세대 |
사업시행자 | 한국토지공사 |
* | 김포신도시 발표 후 택지지구 지정을 위하여 국방부 등 관계기관과 세부사항을 협의하는 과정에서 김포신도시 건설계획이 군작전계획을 고려, 불가피하게 조정됨(2004.6.28) |
* |
김포신도시는 이번에 지구지정된 100만평(2004.8.31)과 김포장기, 추가 편입지구를 포함하여 통합 개발을 수립할 계획임
*시가화예정용지 신규 지정은 11곳 426만7045평 교통망 확충 계획에는 전철 계획도 반영돼 있다. 전철 계획은 노설별로 김포신도시~서울 개화동 간 경량전철, 수도권 내부순환전철, 대곡역~김포공항간 전철, 인천~강화선를 포함해 모두 4개 노선이다.
그린벨트 해제지역 등은 투자가치 높아
김포시는 이런 계획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2020년 도시기본계획’을 작성, 3월 경기도에 제출했다. 현지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경기도 인구배분계획에 따라 애초 수립했던 계획인구(72만명)가 심의 과정에서 60만명 수준으로 축소될 가능성도 있다. 현재 수도권 30여개 지자체가 수립을 완료했거나 수립 중인 ‘2020∼2025 도시기본계획’ 상의 경기도 인구는 총 20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하지만 경기도에서는 이를 과도한 것으로 보고 계획인구를 1500만명 수준으로 조정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김포시가 ‘2020년 도시기본계획’을 통해 경기도에 제출한 계획인구가 줄어들 수도 있는 것. 시 도시계획과 관계자는 “큰 틀은 변화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다산서비스 이종창 대표는 “고촌면 태리 등 그린벨트 해제가 예상되는 곳은 투자가치가 높다”고 말했다.
김포신도시 안내도 |
|
첫댓글 대단합니다 잠시 나마 많은 걸배웠습니다 앞으로도 많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