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숨기기] |
콘크리트나 철제 빔으로 이루어져 있는 한 개의 궤도거더 위를 고무타이어나 철륜이 달린 열차가 운행한다. 차량의 지지방식에 따라 과좌식(궤도 위를 열차가 달리는 방식)과 현수식(열차가 궤도에 매달려서 운행하는 방식)으로 나뉜다. 모노레일의 수송규모가 도시철도와 버스의 중간이기 때문에 중규모의 수송에 적합하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대부분의 도시교통계획에서는 경전철로 분류된다. 대도시의 보조교통수단, 중소도시의 주요교통수단으로 쓰인다.
모노레일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 달리 그 역사가 오래되었다. 세계최초의 증기기관차가 운행한 1825년 당시에 증기를 동력으로 하는 과좌식 화물용 모노레일이 런던북방에 건설된 것이 모노레일의 시초다. 이후 아일랜드에서 과좌식 증기동력 화물 모노레일이 건설되어 36년 동안 사용된 것을 포함하여 유럽각지에서 모노레일을 건설하기는 했지만 모두 소규모이고, 기술적으로도 미약하여 본격적인 교통수단은 되지 못했다. 본격적인 모노레일 시대를 연 것은, 독일인 Eugen Laugen이 1898년 고안하여 독일의 부퍼탈시에서 현수식으로 13.3km를 건설, 1901년 여객영업을 시작한 것에서 비롯한다. 이 모노레일은 현재도 쓰이고 있다. 1950년대 이후 도시화의 진전과 자동차의 증가로 인한 도시교통문제가 발생하면서 모노레일연구가 활성화 되었고, 그리하여 알웨그 과좌식, 록히드 과좌식, 사페지 현수식 등의 모노레일 궤도양식이 나왔다. 그리고 현재까지도 쓰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에서 관광용으로 쓰이고 있으며,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이 그것이다. 최근에는 우진산전에서 SMART 모노레일을 개발했다.
다음은 각 모노레일 궤도양식의 특징이다. 모노레일은 크게 현수식과 과좌식으로 나뉘며, 그 현수식과 과좌식은 다시 다음과 같이 다뉜다.
굵고 속이 빈 I형의 PS콘크리트제를 기본 궤도로 하며, 긴 경간(지주와 지주사이의 길이)이 필요한 곳에서는 강제(철제)를 궤도로 이용한다. 이 궤도위를 주행구동용 고무타이어가 타서 차량을 지지하며, 열차의 안내차륜이 궤도의 양 옆면을 주행한다. 주행로는 에폭시 수지 혼합물로 바닥위를 칠하고 다시 덧칠한 것과 강판을 깔은 것 등이 있다. 지주간격은 보통 15~22m이다.
콘크리트제 궤도거더위에 철제레일을 부설하며 그 레일위를 철제차륜을 가진 열차가 주행한다. 안내차륜도 철제이며, 궤도거더에 닿는 부분은 철제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다시말해서, 록히드 과좌식은 철제레일과 철제차륜을 이용한다. 때문에 록히드 과좌식은 다른 방식보다 고속성이 뛰어나다.
강판으로 이루어진 박스(상자)형 궤도거더의 안에 차륜을 지지할 수 있도록 대칭형의 주행로가 설치되며, 그 위를 열차의 차륜이 운행한다. 차량을 현수(지지)하기 위해 중앙부는 뚫려있고, 이 뚫린 부분의 양 옆부분에 주행로가 있다. 지주간격은 30~40m로, 과좌식보다 길다. 지주는 철로 이루어져있다.
이 중에서 보통 쓰이는 것은 알웨그 과좌식과 사페지 현수식이며, 록히드식은 잘 쓰이지 않고 있다.
모노레일은 각각 장점과 단점을 두루가지고 있으므로 도시교통계획때 이를 참고하여 계획해야한다.
모노레일은 현수식과 과좌식으로 나뉜다. 현수식은 차체가 궤도에 매달려서 운행되는 방식이고, 과좌식은 궤도위를 열차가 운행하는 방식이다. 현수식과 과좌식은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므로 딱히 어느쪽이 좋다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도시의 사정에 따라 특정한 방식으로 건설하는게 유리할 수 있다.
현수식은 과좌식보다 더 급한 곡선(과좌식의 2배)과 구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지지주는 철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점유면적이 과좌식보다 작다. 건설기간역시 과좌식보다 짧으므로 일반적으로 급곡선이 많은 도로가 많을 경우, 도로의 점유면적을 최소화 해야할 경우, 건설로 인한 교통체증을 빨리 해소해야할 경우 유리하다. 차체내에서 바라보는 전망은 현수식 쪽이 좋다.
그러나 현수식은 과좌식과 동일한 차량운행높이를 유지하려면 과좌식보다 지지주를 더 높이 건설해야하므로, 건설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수식은 곡선부 주행시 진자작용이 작용하며, 강한 돌풍에 영향을 받는다.
과좌식은 현수식보다 고속운행이 가능하며, 더 많은 수송이 가능하다. 과좌식은 곡선부에 캔트[1]를 건설할 수 있다. 현수식에서는 진동문제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며 열차를 현수하기 때문에 안전설계를 주의를 해야 하지만 과좌식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운행이 된다. 또, 과좌식은 현수식보다 분기기가 비교적 간단하다. 그러므로 과좌식은 비교적 부지에 여유가 있고, 고속주행과 비교적 대규모 수송이 필요할 때 쓰인다. 과좌식은 눈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
현수식과 과좌식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구분 | 현수식 | 과좌식 | 비고 |
---|---|---|---|
기둥의 점유 면적 |
유리 (1200㎜) |
불리 (1500㎜) |
현수식은 철제기둥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점유면적이 작음 |
기둥의 높이 | 불리 | 유리 | 현수식은 차량의 높이만큼 기둥을 높게 건설할 필요가 있으나 과좌식은 무관 |
수송력 | 불리 | 유리 | 현수식은 안정성과 제약때문에 차체에 제한이 있으며, 과좌식은 비교적 안정적이며 제약이 없어 차체를 비교적 크게 할 수 있다. |
고속주행성능 | 불리 | 유리 | |
급곡선 사용범위 |
유리 | 불리 | 과좌식은 눈의 영향을 고려해야하므로 곡선반경을 넓게 쓸 수밖에 없다. |
공기 (건설기간) |
유리 | 불리 | |
안정성 | 불리 | 유리 | 현수식은 차량동요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으나 과좌식은 비교적 안정적이다. |
곡선부 특징 | 진자작용이 강하게 작용 |
캔트 사용가능 |
|
구배율 | 유리 | 불리 | 현수식은 74퍼밀도 사용가능 |
분기기 | 불리 | 유리 | 현수식은 분기기가 복잡하나 과좌식은 비교적 간단 |
모노레일의 단점중 가장 큰 단점은, 바로 비상시 안전대책이라고 할 수 있다. 대피로 설치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모노레일 열차는 화재에 대비해 완벽한 불연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현재까지 나온 모노레일 운영중 고장시 대피방안은 다음과 같다.
|
첫댓글 참고 ----> http://ko.wikipedia.org/wiki/경전철